《說文》 照也。从月从囧。
o 비추다.
o 月 달 월(moon)을 따르고, 囧 창 창(window)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한밤에 창살에 비친 달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o 眀 밝을 명과 동자(同字)이고, 眀은 目月, 즉 目 눈 목(eye)과 月 달 월로 구성된다.
o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는 明 밝을 명과 동자이다.
o 明은 日月, 즉 日 날 일(sun)과 月 달 월(moon)으로 구성되는 회의문자이고, 달은 아직 넘어가지 않고, 해가 막 떠오르는 새벽(dawn)을 의미한다.
o 田 밭 전과 月 달 월을 합한 글자도 明 밝을 명과 같고, 田 밭 전은 창문을 나타낸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明의 부수는 日(날일)이다.
[朙部]
𦟁 내일 황 《說文》 翌也。从明亡聲。
[English míng]
light
bright, brilliant
clear
understandable
clarify
understand
obvious, evident
intelligent, clever
eyesight, the seeing faculty
day
daybreak, dawn
state
show
assert
next ( day or year ) 明日, 明年
the Ming Dynasty 大明(1368-1644)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 夕 저녁 석 (0) | 2021.07.31 |
---|---|
240. 囧 창 창, 빛날 경 (0) | 2021.07.31 |
238. 有 있을 유 (0) | 2021.07.31 |
237. 月 달 월 (0) | 2021.07.31 |
236. 晶 밝을 정 (0) | 2021.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