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精光也。从三日。
o 밝게 빛나다.
o 세 개의 日 날 일(sun)을 따른다.
o 晶은 日昍, 즉 日 날 일과 昍 밝을 훤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晶 밝을 정은 본래 星 별 성의 본자(本字)이며, 밤하늘에서 밝게 반짝이는 별의 무리를 나타낸다.
o 고문에서는 日 날 일을 ○ 혹은 口로 쓰기도 하며, ○이나 口은 日 날 일과 같은 글자이다.
o 晶 밝을 정이 별의 무리를 나타내는 본래의 의미가 상실된 후, 晶 밝을 정에 生 날 생을 합하여 曐 별 성이 만들어져 같은 방향에서 늘 함께 보이는 별의 무리를 의미하게 된다.
o 고문에서는 晶 밝을 정(three-stars)이 星 별 성과 같은 의미로 통용된다.
o 晟 밝을 성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日(날일)이 부수이다.
[晶部]
曐 별 성 《說文》 萬物之精,上為列星。从晶生聲。一曰象形。从口,古口復注中,故與日同。
o 만물의 정수(精髓)이다.
o 하늘에 떠 있는 무수한 별을 나타낸다.
o 晶 밝을 정을 따르고, 生 날 생을 성부이다.
o 설문해자는 형성문자로 본다.
o 일설은 상형문자로 본다.
o 고문에서는 위에 있는 日 날 일을 ○ 혹은 口로 쓰기도 하며, ○이나 口은 日 날 일과 같은 글자이다.
o 㽮 별 성, 皨 별 성도 같은 글자이다.
o 현재 사용되는 星 별 성의 고자(古字)이고, 星은 日生, 즉 日 날 일과 生 날 생으로 구성된다.
參 참여할 참, 간여할 참, 석 삼 《說文》 商星也。从晶㐱聲。
o 상성(商星)을 가리킨다.
o 본래 삼성(參星)은 호랑이의 별자리, 상성(商星)은 용의 별자리로 삼성이 하늘에 뜨면 상성이 지고, 상선이 뜨면 삼성이 지므로, 두 별은 같은 하늘에 떠 있을 수 없다고 하며, 바로 두 사람이 멀리 떨어져 있어 서로 만나기 어려워 함숨을 쉬며 탄식하는 경우를 상지탄(參商之歎)이라 한다.
o 晶 밝을 정을 따르고, 㐱 숱 많고 검을 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사람의 머리 위에 장식을 꼽은 모습을 나타낸다.
o 三 석 삼 㕘 참여할 참, 석 삼 参 참여할 참, 석 삼 叄 참여할 참, 석삼 叅 석 삼 曑 별 이름 삼은 같은 글자이다.
o 參 인삼 삼으로도 쓰고, 葠 인삼 삼 蓡 인삼 삼 蔘 삼 삼과 같은 의미이다.
曟 새벽 신 《說文》 房星;為民田時者。从晶辰聲。
o 방성(房星)을 가리키고, 방성은 이십팔수(二十八宿)의 넷째 별자리이다.
o 백성이 논밭에 나가 일을 시작하는 시간이다.
o 晶 밝을 정을 따르고, 辰 별 진은 성부이다.
o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 辰 별 진은 농구(農具)을 나타낸다.
o 晨 새벽 신, 䢅 새벽 신과 동음동의이다.
o 갑골문에서는 曟(晨) 새벽 신과 䢉(農) 농사 농은 그 모양이 같다.
曡 거듭 첩, 겹쳐질 첩 《說文》 楊雄說:以為古理官決罪,三日得其宜乃行之。从晶从宜。亡新以為曡从三日太盛,改為三田。
o 양웅(楊雄)은 관리가 죄를 결정하고, 日 해 일이 세 개가 있으므로 3일 내에 마땅히 행하여야 한다는 의미라고 주장한다.
o 晶 밝을 정을 따르고, 宜 마땅 의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제사(祭祀)를 지낼 때에 제기(祭器) 위에 제물을 겹쳐지게 담은 모양을 나타낸다.
o 후에는 세 개의 日 해 일이 세 개의 田 밭 전으로 고쳐져 疊 거듭 첩, 겹쳐질 첩으로 쓰게 된다.
o 叠 [dié] 거듭 첩 疉 거듭 첩, 겹쳐질 첩(pile, be piled up, fold up)도 같은 글자이다.
[English] jīng
crystal
bright
clear
brilliant
radiant
glittering
[晶(밝을 정)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橸 지명 정
曐 별 성 曑 별 이름 삼 曟 새벽 신 曡 거듭 첩, 겹쳐질 첩 㬪 거듭 첩, 겹쳐질 첩
蕌 채소 이름 류(유)
[참고한자]
辰 별 진, 지지 진 《說文》 震也。三月,陽气動,靁電振,民農時也。物皆生,从乙、匕,象芒達;厂,聲也。辰,房星,天時也。从二,二,古文上字。
o 십이지지(the twelve Earthly Branches)를 총칭하기도 하고, 십이지지의 제5위를 가리키기도 한다.
o 음력으로 3월을 가리키고, 양기가 일어나고, 뇌성과 번개가 떨어지며, 백성은 농사를 시작할 시기이다.
o 만물이 새싹을 틔우므로, 乙 새 을을 따르고, 匕 비수 비는 곡식의 이삭을 상형한다.
o 갑골문자를 보면 발을 갈거나 잡초를 제거할 때에 사용하는 농구를 상형한다.
o 해(日), 달(月), 별(星)을 삼진(三辰 celestial bodies)이라 한다.
o 황화수은(HgS)으로 구성되고 진홍색을 띠는 광물을 辰砂(진사 chénshā cinnabar)라 하며, 달리 주사(朱砂) 또는 단사(丹砂)라고도 한다.
o 오전 7시에서 9시 사이(7 a.m. - 9 a.m.)를 辰時(진시 chénshí)라 한다.
o 蜃 무명조개 신(큰 조개 신)의 본자라고 본다.
䢉 [nóng] 농사 농 《說文》 耕也。从䢅囟聲。
o 경작한다.
o 䢉은 䢅囟, 즉 䢅 새벽 신과 囟 정수리 신을 따른다.
o 설문해자는 형성문자로 보고, 囟 정수리 신은 성부로 본다.
o 欁 농사 농, 莀 농사 농, 辳 농사 농도 같은 글자이다.
o 현재 사용하는 農 농사 농의 고자(古字)이고, 農은 曲 굽을 곡과 辰 별 진으로 구성된다.
o 农은 간체자이다.
o agriculture / peasant, farmer / assiduous, diligent, hardworking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8. 有 있을 유 (0) | 2021.07.31 |
---|---|
237. 月 달 월 (0) | 2021.07.31 |
235. 冥 어두울 명 (0) | 2021.07.31 |
234. 㫃 깃발 나부낄 언 (0) | 2021.07.31 |
233. 倝 햇빛이 빛나는 모양 간 (0) | 2021.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