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34. 㫃 깃발 나부낄 언

by kimlaw 2021. 7. 31.

《說文》 旌旗之游,㫃蹇之皃。从屮,曲而下,垂㫃相出入也。
o 깃발이 바람에 나부껴 펄럭이는 모양(flags flying)이다.

마로산성(전남 광양)

o 屮 싹날 철을 따르고, 구부러지고 아래로 들리워져 깃발이 펄럭이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o 偃 나부낄 언의 고문(ancient form)이다.
o 㫃은 方人, 즉 方 모 방과 人 사람 인으로 구성된다.
o 㫃 깃발 나부낄 언은 사전에는 실려 있지만 실제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생피한자(生僻漢字)이며, 다만 다른 글자와 합쳐져 깃발과 관련된 의미를 갖는 한자를 만들 수 있다. 예컨대 旗 기 기、旌 기 정、旄 깃대 장식 모、旆 기 패는 㫃 깃발 나부낄 언이 들어간 형성문자이며, 其、生、毛、巿는 각각 성부이다. 그리고 族 겨레 족、旋 돌 선、旅 군사 려는 㫃 깃발 나부낄 언을 의부(意符)로 하는 회의문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㫃 깃발 나부낄 언이 부수에서 빠지고, 부수로는 方(모방)에 속한다.

[㫃部]
旐 기 조 《說文》 龜蛇四游,以象營室,游游而長。从㫃兆聲。

o 거북과 뱀을 그린 폭이 넓은 기(a long, square flag with design of tortoise or snake)로 네 자루를 세우고, 진영(陣營)을 나타내며, 아주 길게 드리워져 펄럭이는 모양이다.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조 조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旗 기 기 《說文》 熊旗五游,以象罰星,士卒以為期。从㫃其聲。

o 곰을 그린 기(bear-figured flag)로 다섯 자루를 세우고, 벌성(罰星)을 나타내며, 사졸(士卒)이 만나는 장소에 대한 표지로 삼는다.

熊旗(Bear Flag, California USA)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그 기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旆 기 패 《說文》 繼旐之旗也,沛然而垂。从㫃巿聲。

o 기가 끊이지 않고 잇달아 세워진 모양을 가리키고, 성대하게 드리워져 있다.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巿 슬갑 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旌 기 정 《說文》 游車載旌,析羽注旄首,所以精進士卒。从㫃生聲。

o 기를 실은 수레에 나부끼는 깃발이다.

깃발

o 머리에 가른 새털을 장식한 기(flag adorned with feathers)이다.

o 왕명을 받은 신하에게 신임의 표시로 주는 기를 가리킨다.

o 천자(天子)가 사기를 고무할 때에 사용한 기를 가리킨다.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날 생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기 정은 같은 글자이다.

旟 기 여 《說文》 錯革畫鳥其上,所以進士衆。旟旟,衆也。从㫃與聲。

o 붉은 비단에 송골매를 그려 넣은 기()이고, 선비와 백성에게 준다.

o 여여(旟旟), 즉 기를 세워 백성을 모이게 한다는 의미이다.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더불 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周早

o 형성문자이다.

旂 기 기 《說文》 旗有衆鈴,以令衆也。从㫃斤聲。

o 기에 많은 방울이 달려 있고, 방울소리로 백성에게 알리거나 백성을 모이게 한다.

o 날아오르는 용과 내려오는 용을 그린 붉은 기()이다.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도끼 근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周早

o 형성문자이다.

旞 기 수 《說文》 導車所以載。全羽以為允。允,進也。从㫃遂聲。
旝 기 괴 《說文》 建大木,置石其上,發以機,以追敵也。从㫃會聲。
旃 기 전 《說文》 旗曲柄也。所以旃表士衆。从㫃丹聲。

㫍 깃발 유, 깃발 요 《說文》 旌旗之流也。从㫃攸聲。
㫏 기 요 《說文》 旗屬。从㫃要聲。
施 베풀 시, 은혜 시, 버릴 시, 옮길 이, 옮을 이, 기울 이 《說文》 旗皃。从㫃也聲。亝欒施字子旗,知施者旗也。

o 기가 펄럭이는 모양(wave)이다.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대야 이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旖 깃발 펄럭일 의, 기 나부낄 의 《說文》 旗旖施也。从㫃奇聲。
旚 깃발 번득일 표 《說文》 旌旗旚繇也。从㫃票聲。
𣄠 펄럭일 표 《說文》 旌旗飛揚皃。从㫃猋聲。
游 놀 유, 깃발 류, 헤엄칠 유 《說文》 旌旗之流也。从㫃汓聲。

o 정기(旌旗)가 흔들리다.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헤엄칠 수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나부끼는 깃발 아래에서 아이가 놀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깃잘 류 헤엄칠 류, 깃발 류 헤엄칠 수 놀 유는 같은 글자이다.

旇 깃발이 휘날릴 피 《說文》 旌旗披靡也。从㫃皮聲。
旋 돌 선 《說文》 周旋,旌旗之指麾也。从㫃从疋。疋,足也。

o 주위를 돌다(revolve, turn).

o 다른 장소에서 정기(旌旗)가 흔들리는 장소로 돌아오다(move in orbit, come back).

小尔雅还也

소이아환야

字林回也

자림회야

o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발 소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발 소는 발을 가리킨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나부끼는 깃발()을 향하여 발()을 내딛으며 걸어가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商代
周早

旄 깃대장식 모, 늙은이 모 《說文》 幢也。从㫃从毛,毛亦聲。
旛 기 번 《說文》 幅胡也。从㫃番聲。
旅 군사 려(여), 나그네 려(여) 《說文》 軍之五百人為旅。从㫃从从。从,俱也。
o 중국 주나라에서 500명의 군사를 일단으로 하는 군대(army)를 가리킨다.
o 현재도 여단(旅團)은 군대의 편성단위이고, 여단은 사단보다 작고 연대보다는 큰 부대이다.
o 㫃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从 좇을 종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从 좇을 종은 함께, 모두를 의미한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깃발 아래 두 사람이 모여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斿 깃발 유는 깃발 아래 한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旅 나그네 려( trip, journey, travel, traveler)로도 쓰고, 수레를 타고 멀리 간다는 의미를 가진다.

o 산천과 사방에 제사를 지내는 의제를 의미한다고도 보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서 본묘 외에 지어진 곳을 여궁(旅宮)이라고 하며, 그 제사에 사용하는 기물을 여기(旅器)라고 한다.

o 나라에 역질이 돌 때에 여귀에게 지내는 제사를 의미하는 祣 여제 려와 같은 글자로도 사용된다.
族 겨레 족, 음률 주, 풍류 가락 주 《說文》 矢鋒也。束之族族也。从㫃从矢。
o 시봉(矢鋒), 즉 화살촉(arrowhead)을 가리킨다
o 많은 화살촉이 함께 묶여 있다는 의미이다.
o 㫃 깃발 나부낄 언을 따르고, 矢 화살 시를 따른다.

설문해자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사람이 깃발을 들고 있는 모습, 깃발 아래 모여 있는 모습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周中

o 깃발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라는 의미이고, 矢 화살 시는 사람의 모습과 비슷하므로, 사람이 많이 모여 산다는 의미로 종족이나 겨레, 집단, 가족 등을 가리킨다.
o 전투를 할 때에 군진(軍陣)의 깃발이 나부끼는 곳에는 화살(矢)이 집중적으로 날아와 쌓이므로, 族 겨레 족은 모여 산다는 의미를 가진다는 주장도 있다.

o 겨레 족은 같은 글자이다.


[English] yǎn
flags flying
long bands or ribbons attached to flags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6. 晶 밝을 정  (0) 2021.07.31
235. 冥 어두울 명  (0) 2021.07.31
233. 倝 햇빛이 빛나는 모양 간  (0) 2021.07.31
232. 旦 아침 단  (0) 2021.07.31
231. 日 날 일, 해 일  (0) 2021.07.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