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

180. 食 밥 식

by kimlaw 2021. 7. 9.

《說文》 一米也。从皀亼聲。或說亼皀也。
o 쌀알을 가리킨다.
o 곡식의 향기를 의미하는 皀 고소할 급을 따르고, 亼 삼합 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설문해자는 형성문자라고 본다.
o 혹설은 위에는 입(亼)이고, 아래는 흰 쌀밥을 숟가락으로 뜬 모양(皀)이므로, 쌀밥을 먹다는 의미라고 본다.

元-赵孟頫

o 皀 고소할 급은 받침(匕)이 있는 그릇(bowl of rice on a stand)이라고 보며, 전체적으로 받침이 있는 그릇에 쌀밥이 가득 담겨있고 그 위에 입(亼 mouth)이 모양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商-殷墟甲骨文

o 亼은 그릇의 덮개(蓋)를 나타내며, 그릇에 쌀밥을 가득 담은 후에 덮개(뚜껑)를 닫은 모양을 상형하는 글자라는 견해도 있다.

商-殷墟甲骨文

o 食은 人良, 즉 人 사람 인과 良 어질 량으로 구성된다.
o 혹설은 세 개(亼)의 고소한 향기가 나는 곡식(皀)을 의미한다고도 본다.
o 食 밥 사(cooked cereals, especially rice)라고도 하며, 簞食瓢飲(단사표음)은 소쿠리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의미로 매우 소박한 생활을 가리킨다.
o 일식이나 월식과 같이 태양과 달이 없어지는 현상을 의미하기도 하나, 후에 蝕 좀먹을 식이 그 의미를 대신하게 된다.
《易 豐卦》 月盈則食。
《역 풍괘》 월영칙식。
《春秋 隱三年》 日有食之。
《춘추 은삼년》 일유식지。
o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𩙿, 飠, 饣과 같은 모양으로 변하기도 한다.
o 부수명칭은 「밥식」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しょく, しょくへん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食字旁(식자방), 食字底(식자저)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eat라 한다.

[食部]
𩞑 쉰밥 뜨물 분 《說文》 滫飯也。从食𠦪聲。
𩞷 밥 뜸 들 류(유) 《說文》 飯气蒸也。从食畱聲。
飪 익힐 임 《說文》 大孰也。从食壬聲。
𩟷 밥 쉴 옹 《說文》 孰食也。从食雝聲。
飴 엿 이 《說文》 米糱煎也。从食台聲。
𩛿 엿 성 《說文》 飴和饊者也。从食易聲。
𩟴 산자 산 《說文》 熬稻粻䅣也。从食𢿱聲。
餅 떡 병 《說文》 麪餈也。从食并聲。
餈 인절미 자 《說文》 稻餅也。从食次聲。
饘 죽 전 《說文》 糜也。从食亶聲。周謂之饘,宋謂之餬。
𩝍 말린 밥 후 《說文》 乾食也。从食矦聲。《周書》曰 : 峙乃𩝍粻。
餥 보리밥 먹을 비 《說文》 𩝍也。从食非聲。陳楚之閒相謁食麥飯曰餥。
饎 주식 희, 주식 치 《說文》 酒食也。从食喜聲。《詩》曰 : 可以饙饎。
籑 반찬 찬 《說文》 具食也。从食算聲。
養 기를 양 《說文》 供養也。从食羊聲。
o 받들어 모시며 섬기다.
o 먹여 기르다(飼養).
o 食 밥 식을 따르고, 羊 양 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飬 기를 양은 같은 글자이다.
o 养은 간체자이다.
飯 밥 반 《說文》 食也。从食反聲。
o 밥(cooked rice, food, meal)을 가리킨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反 돌이킬 반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飰 밥 반 飯 밥 반은 같은 글자이다.
o 饭는 간체자이다.
𩚖 비빔밥 유 《說文》 雜飯也。从食丑聲。
飤 먹일 사 《說文》 糧也。从人、食。
o 양식(糧食)을 가리킨다.
o 人 사람 인, 食 밥 식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밥이 담긴 그릇이 사람 앞에 있는 모양으로 사람에게 밥을 먹게 한다는 의미이다.

상-은허갑골문
周早

饡 국밥 찬 《說文》 以羹澆飯也。从食贊聲。
o 밥에 물을 붓고 끓여 만든 국밥을 가리킨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贊 도울 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𩞧 점심 상 《說文》 晝食也。从食象聲。
저녁밥 손 《說文》 餔也。从夕、食。
o 저녁밥(evening meal)을 가리킨다.
o 夕 저녁 석, 食 밥 식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餔 저녁밥 포는 같은 글자이다.
餔 새참 포 《說文》 日加申時食也。从食甫聲。
o 하루에 더하여 신시(申時 오후 세 시부터 오후 다섯 시까지)에 먹는 밥, 즉 새참을 가리킨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甫 채마밭 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餐 밥 찬, 물말이할 손 《說文》 吞也,从食𣦼声。
䭑 흉년 들 렴(염), 흉년 들 겸, 떡소 함 《說文》 嘰也。从食兼聲。讀若風溓溓。一曰廉潔也。
饁 들밥 엽 《說文》 餉田也。从食盍聲。《詩》曰 : 饁彼南畝。
饟 건량 양, 건량 향 《說文》 周人謂餉曰饟。从食襄聲。
o 주나라에 사는 사람은 餉 건량 향을 饟 건량 양, 건량 향이라 일컫는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襄 도울 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건량(乾糧)은 가지고 다니기 쉽게 만든 음식을 가리킨다.
餉 건량 향 《說文》 饟也。从食向聲。
o 건량을 가리킨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向 향할 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饋 보낼 궤, 먹일 궤 《說文》 餉也。从食貴聲。
o 음식을 보내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貴 귀할 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饗 잔치할 향 《說文》 鄉人飲酒也。从食从鄉,鄉亦聲。
o 마을에 같이 사는 사람이 술을 마시며 성대한 잔치를 벌인다는 뜻이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鄉 시골 향을 따른다.

설문해자

o 鄉 시골 향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飨 잔치할 향은 같은 글자이다.
그릇에 가득찬 모양 몽, 수북이 담을 몽 《說文》 盛器滿皃。从食蒙聲。《詩》曰 : 有饛簋飧。
o 그릇에 가득찬 모양이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蒙 어두울 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유몽궤손(有饛簋飧)이라 한다.
o 䀄 그릇에 가득찬 모양 몽은 같은 글자이다.
飵 먹을 작, 먹을 조, 보리죽 작 《說文》 楚人相謁食麥曰飵。从食乍聲。
o 초나라에 사는 사람은 보리죽(麦粥 wheat gruel)으로 사람을 접대하는 경우를 飵 보리죽 작이라 한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乍 잠깐 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䬯 서로 만나 밥 먹을 념(염) 《說文》 相謁食麥也。从食占聲。
o 서로 만나 보리죽을 먹다(have congee with friends in old times).
o 食 밥 식을 따르고, 占 점령할 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䭡 초대할 은, 초대한 안 《說文》 秦人謂相謁而食麥曰䭡䭓。从食㥯聲。
o 진나라에 사는 사람은 친구를 초대하여 보리죽을 서로 먹는 경우(have wheat gruel to welcome the guest in old times)를 은온(䭡䭓), 즉 䭡 초대할 은, 초대할 안과 䭓 서로 먹을 온, 배불리 먹을 안이라 한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㥯 삼갈 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䭓 보리를 서로 먹을 온, 배불리 먹을 안 《說文》 䭡䭓也。从食豈聲。
o 䭡 초대할 은, 초대할 안은 䭓 서로 먹을 온, 배불리 먹을 안과 같은 글자이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豈 어찌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䅱 배부를 온, 배부를 안은 같은 글자이다.
餬 죽 호, 풀칠할 호, 기식할 호 《說文》 寄食也。从食胡聲。
o 다른 사람의 집에서 밥을 얻어먹고 지내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胡 되 호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糊 죽호, 풀칠할 호는 같은 글자이다.
o 䭅 된죽 고 䭌 된죽 호(thick congee, thick gruel) 䭍 미음 호는 같은 의미이다.
飶 음식 냄새 필 《說文》 食之香也。从食必聲。《詩》曰 : 有飶其香。
o 음식에서 나는 향기로운 냄새(odour)를 가리킨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必 반드시 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유필기향(有飶其香)라 한다.
𩜈 물릴 어 《說文》 燕食也。从食芺聲。《詩》曰 : 飲酒之𩜈。
飽 물릴 포 《說文》 猒也。从食包聲。
䬼 물릴 연 《說文》 猒也。从食肙聲。
饒 넉넉할 요 《說文》 飽也。从食堯聲。
餘 남을 여 《說文》 饒也。从食余聲。
餀 더러운 냄새 해 《說文》 食臭也。从食艾聲。《爾雅》曰 : 餀謂之喙。
餞 전별할 전 《說文》 送去也。从食戔聲。《詩》曰 : 顯父餞之。
餫 보낼 운 《說文》 野饋曰餫。从食軍聲。
館 객사 관 《說文》 客舍也。从食官聲。《周禮》 : 五十里有市,市有館,館有積,以待朝聘之客。
o 객사를 가리킨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官 벼슬 관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주례》는 50리마다 저자가 있고, 저자에는 객사가 있고, 객사에는 곡식을 쌓아 놓고 사신으로 오는 손님을 기다린다고 한다.
o 馆는 간체자이다.
饕 탐할 도 《說文》 貪也。从食號聲。
飻 탐할 철 《說文》 貪也。从食,殄省聲。《春秋傳》曰 : 謂之饕飻。
饖 쉴 예 《說文》 飯傷𤍠也。从食歲聲。
饐 쉴 의 《說文》 飯傷溼也。从食壹聲。
餲 쉴 애 《說文》 飯餲也。从食曷聲。《論語》曰 : 食饐而餲。
o 음식이 쉬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曷 어찌 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논어》에서 공자가 이르기를 식의이애, 불식(食饐而餲, 不食), 즉 “쉰 밥은 먹지 아니한다”고 한다.
饑 주릴 기 《說文》 穀不孰為饑。从食幾聲。
饉 흉년 들 근 《說文》 蔬不孰為饉。从食堇聲。
𩚬 주릴 액 《說文》 飢也。从食戹聲。讀若楚人言恚人。
餧 먹일 위 《說文》 飢也。从食委聲。一曰魚敗曰餧。
飢 주릴 기 《說文》 餓也。从食几聲。
o 굶주리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几 안석 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餓 주릴 아 《說文》 飢也。从食我聲。
o 굶주리다.
o 食 밥 식을 따르고, 我 나 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餽 보낼 궤 《說文》 吳人謂祭曰餽。从食从鬼,鬼亦聲。
餟 군신제 체 《說文》 𥙊酹也。从食叕聲。
䬽 강신제 세 《說文》 小餟也。从食兌聲。
𩜁 땀 흘릴 릉 《說文》 馬食穀多,气流四下也。从食夌聲。
䬴 말 먹이 말 《說文》 食馬穀也。从食末聲。
餕 대궁 준 《說文》 食之餘也。从食夋聲。
餻 떡 고 《說文》 餌屬。从食羔聲。

[食(밥식)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飢 주릴 기 飯 밥 반 飮 마실 음 飾 꾸밀 식 飽 물릴 포 養 기를 양 餓 주릴 아 餘 남을 여 館 객사 관

[食(밥 식)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喰 먹을 식, 밥 찬, 물말이할 손 湌 먹을 찬, 물말이할 손
䓹 쉴 의 篒 대밥통 식

[English] shí
eat 吃饭
food 饭菜
meal
livelihood / living
(an old usage) salary
pay
same as 蝕
o 月球运行至地球和太阳之间遮蔽了太阳,或地球运行至太阳与月球之间遮蔽了月球时,地面上所看到的日月亏缺或完全看不到的现象
o eclipse

개기일식(total solar eclipse)
월식(lunar eclipse)


[유사한자]
食 밥 식
良 어질 량(양)

[성어]
▯ 無爲徒食(무위도식)
하는 일 없이 헛되이 먹기만 하다.
게으르거나 능력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다.

▯ 朝不食夕不食(조불식석불식)
아침도 안 먹고 저녁도 안 먹는다.
생활이 아주 구차하여 늘 끼니를 거른다.

▯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동쪽에 있는 집에서 먹고 서쪽에 있는 집에서 잔다.
먹을 곳도 잘 곳도 없이 떠돌아다니며 이집 저집에서 얻어먹고 지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다.

▯ 器有飮食, 不與勿食(기유음식, 불여물식)
그릇에 음식이 있더라도 주지 않으면 먹을 수 없다.

《論語 鄉黨》 食不厭精,膾不厭細。食饐而餲,魚餒而肉敗,不食。色惡,不食。臭惡,不食。失飪,不食。不時,不食。割不正,不食。不得其醬,不食。肉雖多,不使勝食氣。惟酒無量,不及亂。沽酒市脯不食。不撤薑食。不多食。祭於公,不宿肉。祭肉不出三日。出三日,不食之矣。食不語,寢不言。雖疏食菜羹,瓜祭,必齊如也。
《논어 향당》 사불염정,회불염세。식의이애,어뇌이육패,불식。색악,불식。취악,불식。실임,불식。불시,불식。할불정,불식。부득기장,불식。육수다,불사승사기。유주무량,불급란。고주시포불식。불철강식。부다식。제어공,불숙육。제육불출삼일。출삼일,불식지의。식불어,침불언。수소식채갱,과제,필제여야。
공자는 정갈한 식사를 싫어하지 아니하고, 또한 잘게 썬 고기를 마다하지 아니한다. 쉰 밥이나 상한 생선, 부패한 고기는 먹지 아니한다. 빛깔이 좋지 않은 음식을 먹지 아니한다. 냄새가 고약한 음식을 먹지 아니한다.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을 먹지 아니한다. 제철에 나지 않은 음식은 먹지 아니한다. 바르게 자르지 않은 음식은 먹지 아니한다. 음식에 걸맞는 적절한 장(醬 sauce)이 없으면 먹지 아니한다. 고기가 아무리 많더라도 밥보다 많이 먹지 아니한다. 술을 마실 때에는 미리 일정한 양을 정하고 마시지는 아니하나, 취하여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아니한다. 주점에서 파는 술을 마시지 아니하고, 시장에서 파는 포육(脯肉)을 먹지 아니한다. 생강을 먹기를 그만두지 아니한다. 많이 먹지 아니한다. 나라의 제사를 돕고 받은 고기는 하루를 넘겨 보관하지 아니한다. 제사를 지낸 고기는 3일을 넘기지 아니한다. 3일이 지난 고기는 먹지 아니한다. 음식을 먹을 때에는 말을 하지 아니하고, 잠을 잘 때도 말을 하지 아니한다. 비록 거친 밥과 나물국이라 하더라도 음식을 먹기 전에는 반드시 조금 떼어 고수레(고시레)하고 허공에 던지며 마음을 가지런히 한다.
He did not dislike to have his rice finely cleaned, nor to have his mince meat cut quite small. He did not eat rice which had been injured by heat or damp and turned sour, nor fish or flesh which was gone. He did not eat what was discolored, or what was of a bad flavor, nor anything which was ill-cooked, or was not in season. He did not eat meat which was not cut properly, nor what was served without its proper sauce. Though there might be a large quantity of meat, he would not allow what he took to exceed the due proportion for the rice. It was only in wine that he laid down no limit for himself, but he did not allow himself to be confused by it. He did not partake of wine and dried meat bought in the market. He was never without ginger when he ate. He did not eat much. When he had been assisting at the prince's sacrifice, he did not keep the flesh which he received overnight. The flesh of his family sacrifice he did not keep over three days. If kept over three days, people could not eat it. When eating, he did not converse. When in bed, he did not speak. Although his food might be coarse rice and vegetable soup, he would offer a little of it in sacrifice with a grave, respectful air.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2. 會 모일 회  (0) 2021.07.09
181. 亼 삼합 집  (0) 2021.07.09
179. 鬯 울창주 창  (0) 2021.07.09
178. 皀 향기로울 향  (0) 2021.07.08
177. 井 우물 정  (0) 2021.07.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