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簸也。从竹;其,象形;下其丌也。
o 키질을 하는 기구(winnowing basket)를 가리킨다.
o 竹 대나무 죽(bamboo)을 따르고, 대나무를 엮어 키를 만든다는 의미이다.
o 갑골문은 고문(古文)의 모양과 같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키의 모양을 그대로 상형하기도 한다.
o 其 그 기(basket)는 키의 모양을 상형하고, 역시 箕 키 기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o 其 그 기의 아래에는 丌 책상 기이고, 위에 키를 올려 놓는 받침(base for supporting the winnowing basket above)을 나타낸다.
o 竹 대 죽(bamboo)을 따르고, 其 그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䇧 키 기는 고문(古文)이다.
o 㠱 키 기는 같은 글자이다.
o 僕 종 복은 본래 키질하는 사람을 본뜬 글자이다.
o 키(winnowing basket)는 곡식 등을 까불러서 쭉정이 혹은 티끌, 검부러기 따위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내는 데 쓰는 용구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箕의 부수는 𥫗(대죽)이다.
[箕部]
簸 까부를 파 《說文》 揚米去糠也。从箕皮聲。
o 키를 위와 아래로 흔들어 곡식의 티나 검불 따위를 날려 버리다.
o 箕 키 기를 따르고, 皮 가죽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English] jī
winnowing basket (a tool for removing chaff) 簸箕 [bòji]
sieve
dust basket
garbage basket
dustpan 畚箕 [běnjī]
non spiral lines on a fingertip
[성어]
頭會箕斂(두회기렴)
사람의 머릿수에 따라 곡식을 내게 하여 키로 쓸어 모으듯이 거두어들인다.
세금을 가혹하게 억지로 거두어 백성의 재산을 무리하게 빼앗다.
苛斂誅求(가렴주구)와 같은 의미이다.
plunder the populace, especially by excessive levies, overtax, oppress and exploit the people
'第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8. 㠭 정교할 전, 펼 전 (0) | 2021.07.06 |
---|---|
147. 工 장인 공 (0) | 2021.07.06 |
146. 左 왼 좌 (0) | 2021.07.06 |
145. 丌 책상 기, 그 기 (0) | 2021.07.06 |
143. 竹 대 죽 (0) | 2021.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