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四

113. 苜 눈 바르지 못할 말

by kimlaw 2021. 7. 2.

《說文》 目不正也。从⻀从目。萈从此。讀若末。
o 눈이 바르지 못하다.
o ⻀ 양뿔 개를 따르고, 目 눈 목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萈 뿔 가는 산양 환은 苜 눈 바르지 못할 말을 따른 글자이다.
o 末 끝 말과 같게 발음한다.

[苜部]
瞢 어두울 몽, 소경 맹, 먼눈 맹 《說文》 目不明也。从苜从䀏。䀏,目數搖也。

o 눈이 어둡다(eyesight obscured).

o 눈 바르지 못할 말을 따르고, 깜박일 현을 따른다.

설문해자

o 깜박일 현은 눈을 자주 깜박인다는 의미이다.

o 艹罒冖目, 초두머리 초와 눈 목, 덮을 멱, 눈 목으로 구성된다.

o 어두울 몽 맹인 맹(blind), 눈멀 맹, 바라볼 망은 같은 의미이다.

𤊾 불 희미할 멸 《說文》 火不明也。从苜从火,苜亦聲。
蔑 업신여길 멸 《說文》 勞目無精也。从苜,人勞則蔑然;从戍。

o 피로하여 눈에 눈동자가 없다.

o 사람이 지쳐서 눈이 충혈되고 빨갛게 부어올라(be red and swolle in eye) 잘 보지 못한다(can not see clearly)는 의미이다.

o 눈 바르지 못할 말을 따르고, 사람이 너무 힘든 일을 하여 지치면 당연히 잘 볼 수 없다는 의미이다.

o 수자리 수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사람 인 위에 눈썹이 있는 큰 눈이 있고, 그 사람(person)의 다리를 무기(dagger-axe)로 치는 모양(a weapon striking a person's leg)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周早

o 현재 사용되는 업신여길 멸에서는 눈썹이 있는 큰 눈은 초두머리 초와 눈 목으로 나타내고, 사람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무기를 가리키는 창 과를 합하여 수자리 수로 표현한다.

o 艹罒戍, 초두머리 초와 눈 목, 수자리 수로 구성된다.

o 업신여길 멸 업신여길 멸은 같은 글자이다.


[유사한자] 苜苜
苜 눈 바르지 못할 말
苜 거여목 목 clover, snailclover, trefoil
o 거여목은 달리 개자리, 금지초(金枝草), 광풍채(光風菜), 목률(木栗), 목숙(苜蓿 牧蓿), 게목 등으로 불린다.
o 《本草》 苜蓿, 一名牧蓿, 謂其宿根自生, 可飼牧牛馬也。

개자리

'第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5. 羴 양 누린내 전, 양 노린내 전  (0) 2021.07.02
114. 羊 양 양  (0) 2021.07.02
112. 卝 양뿔 개  (0) 2021.07.02
111. 雈 수리부엉이 환  (0) 2021.07.02
110. 奞 날개 칠 순, 새 날개 펴 떨칠 순  (0) 2021.07.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