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交也。象《易》六爻頭交也。
o 서로 교차하다, 어긋나다.
o 역경에서 육효(hexagram)의 머리가 서로 교차하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은(殷)나라에서는 점을 칠 때에 거북의 배껍질이나 소의 어깨뼈를 사용하나, 주(周)나라에서는 풀을 사용하며, 그 풀을 서(筮) 혹은 시초(蓍草)라 한다. 우선 시초 50개를 준비하여 대통에 담아두고 50개 전부를 두 손에 모아 잡은 후에 임의로 1개를 뽑아 대통에 넣는다. 그리고 나머지 49개의 시초를 동시에, 즉 한번에 오른손과 왼손 양쪽으로 나눈 후 6개의 시초를 뽑아 그 시초(六爻라 한다)를 가지고 점괘를 해석한다(蓍草占卜).
o 양(陽)은 긴 시초로 표현하며 양효(陽爻 ─)라 부르고, 음(陰)은 중간이 끊어진 시초로 표현하고 음효(陰爻 --)라 부른다.
o 일설은 學 배울 학의 본자이고, 건물의 지붕에 있는 합각머리 위에 X형으로 교차시킨 나무(일본에서는 千木이라 한다)를 본뜬 글자라고 주장한다.
o 갑골문을 보면 위와 아래에 거듭 乂 [yì] 벨 예가 놓여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는 㐅乂, 즉 㐅 다섯 오와 乂 벨 예로 구성된다.
o 부수명칭은 「점괘효」, 「효효」라 부른다.
o 일본에서는 부수명칭을 카타카나로 'メ'가 두 개라는 의미에서 めめ라 하고, 영어로는 두 개의 X가 있다는 의미에서 radical double X라 한다.
[爻部]
棥 울타리 번 《說文》 藩也。从爻从林。《詩》曰 : 營營青蠅,止于棥。
o 울타리(fence)이다.
o 爻 점괘 효를 따르고, 林 수풀 림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樊 울타리 번은 동음동의이다.
o 攀 더위 잡을 반 襻 옷끈 반 礬 명반 반, 명반 번 蠜 메뚜기 번은 棥(울타리 번)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이다.
[爻(점괘효)가 부수로 사용된 글자]
爽 밝을 상, 시원할 상 爾 너 이 (다만 交(→亠 돼지해머리) 사귈 교 敎(→攵 등글월문) 가르칠 교 學(→子 아들자) 배울 학)
[爻(점괘 효)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㤊 쾌할 효 䂚 돌이 고르지 아니할 효 䋂 녹색 효 覐 깨달을 각 訤 삼가지 않을 효 䡈 비교할 교, 가름대 각 駁(驳) 논박할 박, 얼룩말 박
希(→巾 수건건) 바랄 희 肴(→月 육달월) 안주 효
䒝 기름새 뿌리 효 笅 단소 효, 대 새끼 교
棥 울타리 번 𦥯 배울 학
[English] yáo
interwinled
explanations of diagrams for divination
line in eight trigrams “—”爲陽爻,“--”爲陰爻。每三爻合成一卦,可得八卦;兩卦(六爻)相重則得六十四卦。
single and divided lines in eight groups of three lines each as specified in the Book of Changes 陽爻 yang yao - the long line (─) ; 陰爻 yin yao - two broken short lines (--)
a figure composed of six stacked horizontal lines, a hexagram of the I Ching
[참고한자]
乂(刈) [yì] 벨 예
刖 벨 월
刕 벨 리
斬 벨 참
[疊字] 乂爻㸚
乂 [yì] 벨 예, 다스릴 예, 징계할 애 《說文》 芟艸也。从丿从乀,相交。
o 풀을 베다.
o 丿삐침 별을 따르고, 乀 파임 불을 따르며 서로 교차한다.
o 상형(pictogram)문자이다.
o 刈 [yì] 벨 예(weed, mow)의 본자(original form)이다.
o 艾 다스릴 예(govern, control, manage)와 같은 의미이다.
o 乂 징계할 애(punish)로도 쓴다.
o 유사한자로 义(義) 옳을 의, 父 아비 부가 있다.
爻 점괘 효, 사귈 효, 효 효
㸚 그칠 려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59. 䇂 허물 건 (1) | 2022.10.05 |
---|---|
97. 㸚 밝을 모양 리(이), 그칠 려(여) (0) | 2021.06.28 |
95. 用 쓸 용 (0) | 2021.06.28 |
94. 卜 점 복 (0) | 2021.06.27 |
93. 教 가르칠 교 (0) | 2021.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