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樂之竹管,三孔,以和眾聲也。从品侖。侖,理也。
o 대나무로 만든 목관악기(short flute)이다.
o 구멍(口)이 셋이고, 그 구멍을 통하여 여러 소리가 조화를 이루게 된다.
o 피리를 가리킨다.
o 고문에서는 구멍(口)이 없거나, 두 개의 구멍과 피리의 대롱을 나타내는 모양을 따른 경우도 있다.
o 설문해자에 의하면 品 물건 품, 侖 조리세울 륜을 따른다.
o 品 물건 품은 악기(피리)에 있는 구멍(管孔)을 나타낸다.
o 구멍에 대하여는 3구멍이라는 견해가 많으나, 6구멍이나 7구멍이라는 주장도 있다.
《尔雅 释乐》 龠,乐之竹管三孔,以和众声也。
《이아 석악》 약,악지죽관삼공,이화중성야。
《旧唐书》 管三孔曰龠。
《구당서》 관삼공왈약。
《风俗通》 龠,乐之器,竹管三孔。
《풍속통》 약,악지기,죽관삼공。
朱熹 《诗集传》 龠,如笛而六孔或三孔。
주희 《시집전》 약,여적이륙공혹삼공。
《毛诗传》 龠六孔。
《모시전》 약륙공
《广雅》 龠谓之笛,有七孔
《엄아》 약위지적,유칠공
o 侖 조리세울 륜은 다스린다는 의미이고, 대나무로 만든 관(管)을 배열한 모양을 나타낸다.
o 亼 삼합 집은 입술을 피리에 대고 부는 모양을 나타낸다.
o 회의문자이다.
o 籥 피리 약의 본자(本字)이고, 후에는 대나무로 피리를 만든다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머리에 竹 대 죽을 올린 籥 피리 약(yue, short flute)이라는 글자를 사용하게 된다.
o 고대중국에서 사용한 용량의 단위(ancient measure)이다.
《汉书 律历志》 二龠为合,十合为升,十升为斗,十斗为斛。
《한서 율력지》 이약위합,십합위승,십승위두,십두위곡。
o 강희자전에 수록된 214부수 중 가장 획이 많고, 총 17획이다.
o 부수명칭은 「피리약」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やく, ふえ(笛)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flute라 한다.
[龠部]
䶴 불 취 《說文》 音律管壎之樂也。从龠炊聲。
o 흙을 구워 만든 질나발을 불어(blow) 그 소리와 가락을 즐기다.
o 龠 피리 약을 따르고, 炊 불 땔 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吹 불 취는 같은 글자이다.
䶵 피리 지 《說文》 管樂也。从龠虒聲。
o 관(管)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a bamboo flute with seven holes)이다.
o 龠 피리 약을 따르고, 虒 피리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篪 피리 지 箎 피리 지는 같은 글자이다.
龢 풍류 조화될 화 《說文》 調也。从龠禾聲。讀與和同。
o 풍류가 조화되다(harmonious).
o 龠 피리 약을 따르고, 禾 벼 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和 화할 화와 같게 발음한다.
龤 풍류 조화될 해 《說文》 樂和龤也。从龠皆聲。《虞書》曰 : 八音克龤。
o 풍류가 조화되다(harmonize).
o 龠 피리 약을 따르고, 皆 다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우서》(虞書)에서 이르기를 팔음극해(八音克龤), 즉 “금석사죽포토혁목(金石絲竹匏土革木)으로 만든 악기에서 나는 여덟 가지의 서로 다른 음(音)이 조화를 이룬다"고 한다.
o 諧 화할 해와 같은 의미이다.
[龠(피리약)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䶳 우러를 약 龡 불 취 䶳 우러를 약 龢 화할 화 龣 오음의 하나 록(녹), 오음의 하나 각 䶴 불 취 龤 조화될 해 龥 부를 유 䶵 피리 지
[龠(피리 약)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㒢 미상 瀹 데칠 약 爚 불사를 약, 불사를 삭 禴 봄 제사 약 讑 그르칠 요 䠯 뽑을 약 鑰 자물쇠 약
鸙 종달새 약
䟑 가는 모양 약
蘥 귀리 약 籥 피리 약
㿜 날지 못할 별
[English] yuè
musical instrument consisting of a bamboo tube that has three or other numbers of holes
Pandean pipes
short flute
ancient measure
[참고] 악기와 관련한 한자
鼓 북 고 琴 거문고 금 瑟 큰 거문고 슬 箏 쟁 쟁 觱 필률(피리) 필 篥 필률 률 笙 생황 생 簫 퉁소 소 笛 피리 적 琵 비파 비 琶 비파 파 壎 질나발 훈 篪 저(笛) 이름 지 筑 악기이름 축 簴 악기 다는 틀 거 絃 악기 줄 현
□ 북
나무로 짠 통에 가죽을 씌우고 채로 두드려 연주하는 악기
□ 거문고
o 대표적인 현악기로 중국 진(晉)나라의 칠현금을 고구려 때 왕산악이 개조하여 만든 악기
o 거문고를 의미하는 글자로는 琴 거문고 금 鉍 거문고 슬 䦦 거문고 금 琹 거문고 금 瑟 큰 거문고 슬이 있다.
□ 쟁
전통음악에서 쓰는 현악기로 폭이 좁고 긴 오동나무로 만든 공명관(共鳴管) 위에 명주실로 된 열세 줄의 현을 매어 만든 악기
□ 피리
o 대표적인 관악기로 관(管)에다 혀(舌)를 대고 세로로 부는 악기
o 한자로는 필률(觱篥)이라 한다.
o 피리를 의미하는 글자로는 笛 피리 적 竽 피리 우 籥 피리 약 箎 피리 지가 있다.
□ 생황
o 박에 17개의 구명을 뚫고, 각 구멍에 길이가 각각 다른 대나무를 꽂아 16가지의 음을 낼 수 있도록 만들어 이미 삼국시대 때부터 이용된 악기
o 현재는 박이 깨지기 쉽고, 오래 사용하면 속안이 썩기도 하므로, 박 대신에 나무나 금속을 사용한다.
o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김준근(金俊根)이 그린 그림을 보면 기방(妓房)에서 기생이 술상 앞에 앉아 생황을 불고 있고, 악사는 필률(피리)를 불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 비파(琵琶)
당비파와 향비파 두가지가 있다. 당비파는 중국에서 들어온 비파를 말하고, 신라에서 기존의 비파를 본떠 자체적으로 만든 비파를 향비파라 한다. 당비파는 향비파보다 배가 볼록하고, 네 줄이며 목은 굽은 모양이다. 당비파를 연주할 때에는 향악(鄕樂)은 가조각(假爪角)을 오른손에 끼고 연주하고, 당악(唐樂)은 발목(撥木)을 오른손에 쥐고 연주한다. 향비파는 다섯 줄이며 목이 곧고, 대나무로 된 술대(匙)로 연주한다.
□ 훈(질나발)
흙을 구워 만든 악기로 큰 홍시와 비슷한 모양이고, 질나발이라 한다. 구멍이 위에 하나, 앞에 셋, 뒤에 둘 모두 6개가 있다. 위에 있는 구멍에 아랫입술을 가볍게 대고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낸다. 앞뒤에 있는 다섯 구멍에 손가락을 대고,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고 열면서 음을 조절한다.
[관련한자]
侖 조리세울 륜, 둥글 륜
倫 인륜 륜(윤)
論 말할 론(논)
惀 생각할 론(논)
輪 바퀴 륜(윤)
'第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冊 책 책 (0) | 2021.06.15 |
---|---|
42. 品 물건 품 (0) | 2021.06.15 |
41. 疋 발 소, 짝 필 (0) | 2021.06.15 |
40. 足 발 족 (0) | 2021.06.14 |
39. 牙 어금니 아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