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첩자(三疊字)는 세 쌍둥이 한자(triplicated Chinese character)를 가리킨다.
삼첩자는 三角三叠字(品字结构), 上下三叠字, 左右三叠字 등으로 나뉜다.
① 三角三叠字(品字型)
驫(骉) [biāo] 떼 지어 달릴 표 许多马跑的样子 the manner of horses galloping / running / herd of horses
晶 [jīng] 맑을 정, 빛날 정, 수정 정 crystal, clear(精), bright
飍 [xiū] 태풍 휴, 놀라 달아날 휴 惊跑的样子 《玉篇》 驚走貌。
靐 [bìng] 우룃소리 빙, 구름모양 빙 雷声(뇌성)
龘 [dá] 날으는 용 답 龙腾飞的样子 古同“龖”
譶 [tà] 유창할 답, 재잘거릴 답 《說文》 疾言也。《註》 聲多也。《集韻》 言不止也。
聶 [niè] 소근거릴 섭, 낄 섭, 땅이름 섭 附耳小语 whisper
畾 [léi] 밭 갈피 뢰 古同“雷”, 古同“垒” 田间的土地 fields divided by dikes
雥 [zá] 떼새 잡, 새 떼지어 모일 잡 群鸟(군조)
馫 [xīn] 향기 흥 古同“馨” 《字彙補》 虛陵切,音興。香氣也。
焱 [yàn] 불꽂 혁 火花(화화 - 불꽃), 火焰(화염) flames
姦 [jiān] 간사할 간, 간음할 간, 거짓 간 同“奸” 《說文》 私也。一曰詐也,淫也。 《字彙》 叶音堅,非。adultery, debauchery / debauch
蟲 [chóng] 벌레 충 简体 - 虫
鱻 [xiān] 고울 선, 생선 선, 날고기 선 古同“鮮” 《說文》 新魚精也。fresh, new, delicious / rare, few
䨺 [duì] 구름모양 퇴, 구름성할 퇴 《玉篇》 徒罪切,音憝。雲貌。cloudy
轟 [hōng] 울릴 굉, 수레소리 굉 群车行驶声
淼 [miǎo] 큰 물 묘, 물 아득할 묘 同“渺” 《正韻》 大水也。a wide expanse of water
磊 [lěi] 돌 무더기 뢰(뇌) pile of rocks or stones / great
森 [sēn] 수풀 삼
o 树木众多
o forest, tall and dense of trees / be full of trees
厽 [lěi] 흙담 쌓을 루(뢰) 壘土塊為牆
刕 [lí, zhōu] 벨 리
劦 [xié] 합할 협 古同“協”
㐂 [xǐ] 기쁠 칠 同“喜”
垚(堯) [yáo] 요임금 요 古同“尧”
壵 [zhuàng] 장할 장 《字彙補》 同壯。
毳 [cuì] 솜털 취 。《說苑 尊賢篇》 背上之毛,腹下之毳。《說文解字》 獸細毛也。fine hair or fur on animals
猋 [tiān] 개 달리는 모양 표 《海篇》 音天。
犇 [bēn] 달릴 분 同“奔” 《廣韻》 博昆切,音賁。牛驚。《說文解字》 與走同意。run fast, flee / rush about / run
惢 [ruǐ] 꽃술 예 古同“蕊” [suǒ] 의심할 솨 《說文解字》 心疑也。
掱 [pá] 소매치기 수 〔掱手〕同“扒手”, 掏包的贼 pickpocket
鑫 [xīn] 기쁠 흠 旧时商店字号、人名用字,取其金多兴旺之意 prospering or good profit
飝 [fēi] 날 비
䆐 [guó] 나라 국 《字彙補》 古文國字。(ancient form of 國) a country / a nation / a kingdom / a state
厵 [yuán] 근원 원 《廣韻》 同源。a spring / source
麤 [cū] 거칠 추 同“粗” rough, coarse, big
芔 [huì] 풀 훼 古同“卉” 《說文解字》 艸之緫名也。a general term for plants
众 [zhòng] 무리 중
o 古字與「眾」同義不同音,現為「眾」的簡化
o 字意 : 许多, 许多人
o multitude, crowd / masses, public
嚞 [zhé] 밝을 철 《玉篇》 古文哲字。
皛 [xiǎo, jiǎo] 나타날 효 《說文》 顯也。《博雅》 白也。《玉篇》 明也。
矗 [chù] 우거질 촉 《廣韻》 直也。《集韻》 長直貌。《玉篇》 齊也。草木盛也。 《正韻》 高起也。straight, upright, erect, lofty / stand tall and upright / rising sharply
② 上下三叠字
彡 [shān, xiǎn] 터럭 삼 《廣韻》 毛長也。 《說文》 毛飾畫文也。
三 [sān] 석 삼
③ 左右三叠字
㴇 [shè] 건널 섭 《字彙補》 古文涉字。《崔希裕略古》 三水爲涉。 (same as 涉) wade, experience, involve / implicate
巛 [chuān] 개미허리 천 《唐韻》 川本字。《說文》 毌穿通流水也。river
'서당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叠字(오첩자) (0) | 2023.02.27 |
---|---|
四疊字(사첩자) (2) | 2023.02.26 |
한국한자(韓國漢字) (2) | 2023.02.24 |
二疊字(이첩자) (2) | 2023.01.24 |
중국에서 획이 가장 많은 한자 (2) | 2023.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