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당상식

한자부수의 종류

by kimlaw 2023. 1. 19.

한자부수는 글자의 어느 위치에 놓이는가에 따라서 그 명칭이 다르다.

「변」, 「방」, 「머리」, 「발」, 「받침」, 「엄」 혹은 「엄호」, 「몸」 혹은 「에운담」, 「제부수」의 여덟 가지로 분류된다.


① 변(邊) left radical

부수가 글자의 왼쪽에 있는 경우를 변이라 한다.

왼쪽이 부수이다.

인변 亻(人)

仁 어질 인 仙 신선 선 任 맡길 임
두인변 彳

役 부릴 역 往 갈 왕 待 기다릴 대
심방변 忄(心)

忙 바쁠 망 快 쾌할 쾌 怖 두려워할 포
재방변 扌(手)

扶 도울 부 指 손가락 지 持 가질 지
삼수변 氵(水)

江 강 강 河 강 이름 하 海 바다 해
옷의변 衤(衣)

衫 적삼 삼 袖 소매 수 被 이불 피
좌부변 ⻏ (阜)

防 막을 방 阿 언덕 아 陸 뭍 륙(육) 隣 이웃 린

참고로 阜 언덕 부의 부수인 ⻏는 왼쪽에 위치하면서도 좌부변이라고 하지 않고 좌부방이라고도 일컫고, 邑 고을 읍의 부수인 ⻏는 우측에 위치하며 우부방이라 하고, 鄰 이웃 린은 우부방이다.

 

② 방(傍) right radical

부수가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경우를 방이라 한다.

오른쪽이 부수이다.

선칼도방 刂(刀)

利 날카로울 리 刻 새길 각 刺 찌를 자
병부절 卩(㔾 卪)

印 도장 인 却 물리칠 각 卽 곧 즉
등글월문 攵

收 거둘 수 改 고칠 개 放 놓을 방

참고로 夂(뒤져올치)는 부수의 위치가 머리, 夊(천천히걸을쇠)는 발, 攴=攵(등글월문)은 4획으로 방(右)이고, 다만 變 변할 변은 攵이 발에 있고, 부수는 言(말씀언)이다.
우부방 ⻏(邑)

部 거느릴 부 邦 나라 방 邱 언덕 구 鄰 이웃 린

참고로 隣 이웃 린은 阝(좌부변)에 속하고, 阝(좌부변)은 阜(𨸏) 언덕 부의 부수이고, ⻏(우부방)은 邑 고을 읍의 부수이다.

 

③ 머리 top radical

부수가 글자의 위에 있는 경우를 머리라 한다.

위가 부수이다.
두 글자가 위와 아래로 합쳐져 이루어진 한자에서 부수가 그 글자의 위쪽을 이루는 경우이다.

갓머리(집면머리) 宀

家 집 가 安 편안할 안 宇 집 우 守 지킬 수 定 정할 정
민갓머리(덮을멱머리) 冖

冠 갓 관 冥 어두울 명 冤 원통할 원
초두머리(풀초머리) 艹 (艸)

花 꽃 화 苗 피리 적 草 풀 초 茶 차 다 蘿 무 라 薄 엷을 박
돼지해머리(돼지해머리 두) 亠

亡 망할 망 亢 목 항 交 사귈 교
대죽머리 ⺮ (竹)

笛 피리 적 筒 대롱 통 筆 붓 필
비우머리 ⻗ (雨)

雪 눈 설 雲 구름 운 電 번개 전

 

④ 발 bottom radical

부수가 글자의 아래에 있는 경우를 발이라 한다.

아래가 부수이다.

부수가 그 글자의 밑을 이루는 경우이다.

마음심발 心

思 생각할 사 念 생각할 념 忠 충성 충 憙 기뻐할 희
연화발 灬(火)

烈 세찰 렬 焦 그을릴 초 無 없을 무 熹 성할 희
그릇명발 皿

益 더할 익 盛 담을 성 盟 맹세할 맹
어진사람인발 儿

兄 맏 형 充 찰 충 先 먼저 선

 

⑤ 받침

부수가 왼쪽과 아래에 걸쳐있는 경우를 받침이라 한다.

왼쪽과 아래가 부수이다.

부수가 글자의 왼쪽에서 아래를 받치는 경우이다.

책받침 辶(辵)

近 가까울 근 通 통할 통 道 길 도
민책받침 廴

延 끌 연 廷 조정 정 建 세울 건
달릴주 走

起 일어날 기 超 넘을 초 趣 뜻 취

 

⑥ 엄(엄호)

부수가 위와 왼쪽에 걸쳐있는 경우를 엄 혹은 엄호라 한다.

위와 왼쪽이 부수이다.

민엄호 厂

厚 두터울 후 原 근원 원 厭 싫을 염
엄호 广

序 차례 서 座 앉을 좌 庭 뜰 정 廣 넓을 광
병질엄 疒

疾 병질 질 病 병 병 瘧 학질 학 癌 암 암 療 병 고칠 료(요) 症 증세 증
범호엄 虍

虎 범 호 號 부를 호 虐 사나울 학 虛 빌 허 處 살 처 虢 범 발자국 괵, 나라 이름 괵 虜 포로 로(노) 虞 헤아릴 우

다만 彪(→彡 삐친석삼) 무늬 표 爐(→火 불화) 화로 로는 부수가 범호엄 虍이 아니다.
주검시 尸

尾 꼬리 미 居 살 거 屈 굽을 굴
지게호 戶 

房 방 방 扁 넓적할 편 扇 부채 선

 

⑦ 몸(에운담)

부수가 글자를 둘러싸고 있는 경우를 몸 혹은 에운담이라 한다.

바깥쪽이 부수이다.

부수가 글자의 둘레를 에워싸거나 아래(밑)나 위, 옆이 터진 3면을 감싸거나 변(邊)과 방(傍)의 양쪽에 부수가 나뉘어 붙어 있다.

큰입구(몸) 囗

囟 정수리 신 圅 함 함 囱 굴뚝 창 囪 굴뚝 창
터진에운담 匸 (匸 감출 혜)

匹 필 필 匿 숨을 익 區 지경 구
튼입구몸 匚 (匚 상자 방)

匣 갑 갑 匱 함 궤 匡 바를 광, 광주리 광
위튼입구몸 凵 (凵 입법릴 감)

凶 흉할 흉
멀경몸 冂 (冂 멀 경)

內 안 내 罔 그물 망 冏 빛날 경(창 경)
문문 門

開 열 개 閉 닫을 폐 間 틈 간 閔 위문할 민 關 빗장 관 閑 막을 한 闢 열 벽 闁 기릴 포 闀 골목 항 闂 길거리 항 閏 윤달 윤 閣 문설주 각 閨 도장방 규 閥 공훈 벌

다만 問(→口 입구) 물을 문 聞(→耳 귀이) 들을 문은 부수가 문문 門이 아니다.
갈행 行

術 꾀 술 街 거리 가 衛 지킬 위 衙 마을 아 衝 찌를 충 衡 저울대 형 䘕 즐거울 항 衖 거리 항 衒 팔 현 衍 넘칠 연

다만 愆(→心 마음심) 허물 건은 부수가 갈행 行이 아니다.

 

⑧ 제부수

부수 자체가 글자인 경우를 제부수라 한다.

강희자전 214부수는 모두 제부수이다.

一 한 일 → 한일

丨 뚫을 곤 → 뚫을곤
丶 점 주 → 점
丿 삐침 별 → 삐침

乙 새 을 → 새을
亅 갈고리 궐 → 갈고리궐

亠 토 두(돼지해머리 두, 돼지해밑 두) → 돼지해머리 
冖 덮을 멱 → 민갓머리
冫얼 빙 → 이수변
凵 입 벌릴 감 → 위터진입구몸
刀 칼 도 – 선칼도방(刂) 
力 힘 력 → 힘력

匕 술 비 → 비수비
匚 상자 방 → 터진입구몸 
匸 감출 혜 → 터진에운담
厂 언덕 엄 → 민엄호
厶 사사로울 사 → 마늘모 

宀 집 면 → 갓머리 
屮 싹날 철 → 왼손좌
巛 내 천 → 개미허리
广 집 엄 → 엄호
廴끌 인 → 민책받침
廾 바칠 공 → 스물입발(혹은 밑스물입) 
彑 돼지머리 계 → 터진가로왈(彐)
彡 터럭 삼 → 삐친석삼
彳 자축거릴 척 → 두인변
尸 주검 시 → 주검시 

心 마음 심 → 마음심 
手 손 수 → 손수

攴 칠 복 → 등글월문
斤 도끼 근 → 도끼근 
殳 칠 수 → 갖은등글월문
水 물 수 → 물수 
火 불 화 → 연화발( 灬) 
爿 나뭇조각 장 → 장수장(혹은 장수장변)
牛 소 우 → 소우

犬 개 견 → 개견 혹은 개사슴록변(犭)  

爪 손톱 조 → 손톱조(爫)

爻 효 효 → 효효 

玉(王) 구슬 옥 임금왕변

疋 필 필 필필

疒 병들어 기댇 녁 병질밑(혹은 병질엄)

癶 등질 발  필발밑(혹은 필발머리) 

网 그물 망 → 그물망머리(罒) 혹은 그물망(罓 㓁)
羊 양 양 → 양양변(⺷) 
老 늙을 로 → 늙을노엄(耂) 
肉 고기 육 → 육달월(月) 
臼 절구구 → 절구구 
艸 풀 초 → 초두머리(艹) 
衣 옷 의 →  옷의변(衤) 

言 말씀 언 → 말씀언(訁)
辵 쉬엄쉬엄 갈 착 → 책받침(⻍ 辶) 
邑 고을 읍 → 우부방(⻏)
長 긴 장 → 긴장(镸)
阜 언덕 부 →  좌부변(阝)

食 밥 식 → 밥식 혹은 밥식변(𩙿 飠) 

支 지탱할 지 → 지탱할지

龍 용 룡 → 용룡

龠 피리 약 → 피리약

 

 

한자의 부수

한자에는 부수(部首 radical in Chinese characters)가 있다. 부수는 한자를 정리하고 배열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보통 각 한자로부터 그 구성요소를 분리하고, 뜻을 나타내는 부분이 같은 글자를

hanzischool.tistory.com

  

 

한자부수의 이해

한자의 부수를 결정하는 기준이 뚜렷하지는 않다. 어떤 한자를 어느 부수에 배치하는지는 각 자전마다 차이가 있고, 항상 일치하지는 아니한다. 각 자전이 각 부수에 해당하는 한자를 배치한 이

hanzischool.tistory.com

 

'서당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疊字(이첩자)  (2) 2023.01.24
중국에서 획이 가장 많은 한자  (2) 2023.01.23
서예법서  (0) 2023.01.11
파자(破字)하여 사람의 나이를 가리키는 한자  (1) 2022.12.30
중국의 왕조  (0) 2022.12.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