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十一月,陽气動,萬物滋,人以為偁。象形。
o 음력 11월(农历十一月 Lunar November)이다.
o 양기가 움직이는 시기이고, 만물이 번성한다.
o 사람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본래는 갓 태어난 영아(嬰兒 baby, infant)를 상형한다.
o 머리가 큰 아이가 양 팔을 벌리고 있는 모양이고, 양 다리는 없다.
o 아이가 강보(襁褓)에 덮혀 있으므로, 양 다리는 보이지 아니한다고 본다.
o 주문(籒文)에서는 머리(囟) 위에 머리카락(巛)이 있고, 팔은 北 북녘 북으로, 양 다리는 人 사람 인으로 나타내며, 几 안석 궤는 아이가 앉아 몸을 기대는 방석(stool)을 나타낸다.
o 특히 주문을 보면 머리(囟)에 머리카락이 무성하게 자란 아이를 상형한 글자가 많다.
o 역시 갑골문에서도 머리가 긴 아이를 상형한 글자가 있다.
o 㜽 아들 자는 고문(古文)이며, 巛 내 천을 따르고, 머리카락을 성형한다.
o 子는 了一, 즉 了 마칠 료와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지지(十二地支 -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에서는 子 첫째 지지 자(the first of the twelve Terrestrial Branches)로 쓴다.
o 자시(子時)는 밤 11시부터 오전 1시까지(the period of the day from 11 p.m. to 1 a.m.)를 가리킨다.
o 띠(十二生肖)에서 쥐(鼠 Rat)에 해당한다(十二生肖属鼠).
o 오행(五行)에서는 水 물 수(water)에 속한다(五行属水).
o 부수명칭은 「아들자」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こ(子), こども(子供), こへん, こどもへん, すてごへん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子字旁(자자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child라 한다.
[子部]
孕 아이 밸 잉 《說文》 褢子也。从子从几。
o 아이를 배다(be pregnant).
o 설문해자는 子 아들 자를 따르고, 几 안석 궤를 따른다고 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상형문자이고, 전체적으로 아이를 밴 여인(a pregnant woman)을 상형한다.
o 임심한 여인의 배가 불룩하게 나오고, 배 안에는 태아(fetus)가 자라고 있는 모습을 상형하기도 한다.
o 현재 사용되는 孕는 乃 이에 내와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o 㚺 임신할 잉 㞌 임신할 잉은 같은 글자이다.
㝃 해산할 만, 아이 낳을 면 《說文》 生子免身也。从子从免。
o 아이를 낳아 몸을 풀다.
o 子 아들 자를 따르고, 免 해산할 문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娩 낳을 만, 낳을 문은 같은 의미이다.
o 문신(免身)은 해산(give birth to a child)을 의미한다.
字 글자 자 《說文》 乳也。从子在宀下,子亦聲。
o 젖을 가리킨다.
o 宀 집 면 아래 子 아들 자가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子 아들 자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집(宀 house) 안에서 아이(子 child)가 태어나는 모습 혹은 집에서 아이가 태어나 자라는 모습을 상형한다.
o 현재는 회임이나 출산, 생육과 같은 본래의 의미로는 사용되지 않고, 주로 字 글자 자로 쓴다.
o 다섯 글자를 말하게 되면 文 글월 문이 되고, 글자가 2-3만자에 이르게 되면 言 말씀 언이 된다.
《汉书 艺文志》 说五字之文,至于二三万言。
《한서 예문지》 설오자지문,지우이삼만언。
o 宇 집 우 宁 뜰 저 亭 정자 정은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 글자이다.
㝅 젖 누, 젖 구 《說文》 乳也。一曰㝅瞀也。
o 젖을 빨다(suckle).
o 일설은 누무(㝅瞀), 즉 미련하고 어리석은 모양을 나타낸다고 본다.
o 啂 젖 먹을 누는 같은 글자이다.
孿 쌍둥이 산 《說文》 一乳兩子也。 从子䜌聲。
o 같은 젖을 두 아이가 빨다.
o 쌍둥이(twins)를 가리킨다.
o 子 아들 자를 따르고, 䜌 어지러울 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㝈 쌍둥이 련(twin)은 같은 글자이다.
o 孪은 간체자이다.
孺 젖먹이 유 《說文》 乳子也。一曰輸也,輸尚小也。从子需聲。
o 젖먹이를 가리킨다.
o 일설은 輸 어리석을 수와 같이 쓰고, 輸 어리석을 수는 또한 어리다, 젊다는 의미이다.
《說文解字注》 儒輸、愚也。
《설문해자주》 유수、우야。
o 子 아들 자를 다르고, 需 쓰일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季 끝 계, 계절 계 《說文》 少偁也。 从子,从稚省,稚亦聲。
o 형제에서 가장 어린 아우(小弟 youngest among brothers)를 가리킨다.
o 설문해자는 子 아륻 자를 따르고, 稚 어릴 치의 생략형을 따른다고 본다.
o 稚 어릴 치의 생략형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현재 사용되는 季는 禾 벼 화와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o 季 끝 계는 줄지어 배열된 순서에서 가장 끝(end of a series)이라는 의미이다.
o 季 계절 계(season, quarter of a year)로도 쓴다.
o 李 오얏 리와 비슷하여 혼동하기가 쉽다.
孟 맏 맹, 맹랑할 맹, 맹랑할 망 《說文》 長也。 从子皿聲。
o 여러 형제나 자매에서 맨 먼저 태어난 자식(eldest brother)을 가리킨다.
o 본래는 첩으로부터 태어난 장자(妾媵生的长子)를 孟 맏 맹이라 하고, 정처로부터 태어난 장자(正妻生的长子)를 伯 맏 백이라 하나, 후에는 모두 장자를 칭하게 된다.
o 子 아들 자를 따르고, 皿 그릇 명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갓 태어난 아이가 그릇 안에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o 伯 맏 백 兄 맏 형 昆 맏 곤 允 맏 윤은 같은 의미이다.
孼 서자 얼 《說文》 庶子也。 从子辥聲。
o 서자(son of a concubine)이다.
o 子 아들 자를 따르고, 辥 허물 설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孽 서자 얼은 같은 글자이다.
孳 새끼칠 자, 부지런할 자 《說文》 汲汲生也。 从子兹聲。
o 새끼를 낳기에 급급(汲汲)하다.
o 본래는 번식(繁殖)을 의미하고, 동물이 새끼를 많이 낳아 퍼지게 한다(breed in large numbers)는 의미이다.
o 子 아들 자를 따르고, 兹 무성할 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孶 새끼칠 자는 같은 글자이다.
孤 외로울 고 《說文》 無父也。从子瓜聲。
o 아버지가 없다(fatherless).
o 본래는 유년(幼年)에 아버지를 잃은 고아(orphan)를 의미한다.
o 늙어서 아내가 없으면 鳏 홀아버지 환이라 하고, 늙어서 남편이 없으면 寡 홀어머니 과라 하고, 늙어서 아들이 없으면 獨 홀로 독이라 하고, 어려서 부모를 잃으면 孤 외로울 고라 한다.
《孟子》 老而无妻曰鳏,老而无夫曰寡,老而无子曰独,幼而无父曰孤。
《맹자》 노이무처왈환,노이무부왈과,노이무자왈독,유이무부왈고。
o 子 아들 자를 따르고, 瓜 오이 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瓜 오이 과는 굴러 떨어진 오이 혹은 홀로 매달린 오이를 가리키므로, 아들이 부모를 잃어 굴러 떨어진 오이 혹은 홀로 매달린 오이와 같이 그 신세가 처량하고 외롭다는 의미이다.
o 子 아들 자는 孑 외로울 혈을 가리키고, 홀로 매달린 오이와 같이 외롭다는 의미라고 보기도 한다.
存 있을 존 《說文》 恤問也。 从子才聲。
o 가엽게 여겨 문안하다, 위문하다(console).
o 실제로 있다(exist)는 의미이다.
《尔雅》 存,存在也。
《이아》 존,존재야。
o 존즉재(存即在), 즉 存 있을 존이 바로 在 있을 재이다.
o 子 아들 자를 따르고, 才 재주 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存은 𠂇丨子, 즉 𠂇 왼 좌와 丨 뚫을 곤,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o 侟 있을 존은 같은 글자이다.
𡥈 본 받을 교 《說文》 放也。 从子爻聲。
疑 의심할 의, 정할 응, 설 을, 비길 의, 안정할 응 《說文》 惑也。从子、止、匕,矢聲。
o 의심하다(doubt).
o 子 아들 자(child), 止 그칠 지, 匕 비수 비(compare)를 따르고, 矢 화살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止 그칠 지는 통하지 아니한다(be obstructed)는 의미이고, 子 아들 자는 어린아이를 가리키며, 어린아이는 쉽게 믿지 않으므로, 의심을 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o 갑골문을 보면 지팡이(cane)을 가진 노인이 어디로 걸어가다가 입을 크게 벌리고 머리를 갸우뚱하며 자기가 가고 있는 방향이 옳은 방향인지에 대하여 회의(懷疑)하는 모양을 상형한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어디로 간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彳 조금 걸을 척 혹은 辵 쉬엄쉬엄 갈 착이 추가되기도 한다.
o 금문에서는 子 아들 자는 牛 소 우로 쓰는 경우가 많다.
o 우측에 있는 부분이 본래는 子 아들 자와 止 그칠 지 혹은 子 아들 자와 乙 새 을로 구성되다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글자에서는 龴 미상과 疋 짝 필로 쓴다.
[子(아들자)가 부수로 사용된 글자]
孒 짧을 궐 孑 외로울 혈 孔 구멍 공 孕 아이 밸 잉 孖 쌍둥이 자 存 있을 존 孚 미쁠 부 孜 힘쓸 자 孛 살별 패 孝 효도 효 季 끝 계 孤 외로울 고 孥 자식 노 孟 맏 맹 孩 어린아이 해 孫 손자 손 孰 누구 숙 孱 잔약할 잔 孶 새끼칠 자, 부지런할 자 孵 알 깔 부 學 배울 학 孼 서자 얼 孿 쌍둥이 련(연)
[子(아들 자)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仔 자세할 자 吇 새소리 자 好 좋을 호 㞨 산 지 汓 헤엄칠 수 𤜭 미상 䦻 땅 이름 자 杍 목수 자, 목수 재, 오얏 리(이) 㺭 옥 이름 자 矷 잔돌 자 秄 북을 돋을 자 籽 씨앗 자 耔 북 돌을 자 虸 며루 자 𧴯 업을 멸 釨 강할 자 䰵 숭어 자
存 있을 존
䢊 놀 유 覎(觃) 당 이름 엄 屘 어린 아이 만
逰 놀 유 𨘋 미상
𣫮 미상
芓 암삼 자 𢻯 배울 학 斈 배울 학 㫗 두터울 후 李 오얏 리 享 누릴 향 𩇫 가벼울 비 箰 죽순 순
㞌 임신할 잉
囝 아이 건
斿 놀 유 㳺 헤엄칠 유
[English] zǐ
child
son / offspring
seed
egg
the first of the twelve Terrestrial Branches 地支
the period of the day from 11 p.m. to 1 a.m.
Lunar November 农历 十一月
Rat 十二生肖"鼠"
water 五行"水"
a rank of the nobility equivalent to a viscount
a designation used in speaking of or to a man in former times (somewhat similar to "mister")
[疊字] 子孖孨
子 아들 자
孖[한국한자] 쌍둥이 자
孨 [zhuǎn] 삼갈 전 《說文》 謹也,从三子.
[유사한자] 子孑孓(孒)了
子 아들 자
孑 외로울 혈
孓(孒) 짧을 궐
了 마칠 료(요)
[성어]
□ 父子 天性之親, 生而育之 愛而敎之, 奉而承之 孝而養之(부자 천성지친, 생이육지 애이교지, 봉이승지 효이양지)
부모와 자식은 하늘이 정한 가깝고 정이 두터운 관계이다; 부모는 자식을 낳아서 기르고, 사랑하며 가르쳐야 한다; 자식은 부모를 받들어 그 뜻을 이어가고, 효도하며 봉양하여야 한다.
[참고] 상형문자(十二地支)
鼠牛虎兎
龍蛇馬羊
猴鷄狗猪
'第十四'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7. 孨 삼갈 전 (0) | 2021.10.21 |
---|---|
526. 了 마칠 료 (0) | 2021.10.21 |
524. 癸 북방 계 (0) | 2021.10.17 |
523. 壬 북방 임 (0) | 2021.10.17 |
522. 辡 따질 변 (0) | 2021.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