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陳也。樹穀曰田。象四囗。十,阡陌之制也。
o 밭(field)이 가지런하게 늘어서 있다.
o 곡식을 심는 지역을 田 밭 전이라 한다.
o 네 개의 囗 둘레 위를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중앙에 있는 十 열 십은 밭 사이에 난 두둑이고, 천백(阡陌)의 제도를 가리키며, 남북(세로)으로 난 두둑을 천(阡)이라 하고, 동서(가로)로 난 두둑을 백(陌)이라 한다.
o 갑골문을 보면 두둑(밭과 밭 사이에 경계를 만들려고 흙을 약간 불룩하게 쌓은 언덕)에 의하여 여러 밭(囗)으로 나누어진 모양을 나타낸다.
o 일설은 밭 사이에 있는 두둑(raised path between fields)을 가리키며, 塍 밭두둑 승, 밭두둑 증 堘 밭두둑 승, 밭두둑 증이 본자(本字)라고 보기도 한다.
o 田은 囗十, 즉 囗 둘레 위와 十 열 십으로 구성된다.
o 畠 밭 전은 같은 글자이다.
o 佃 밭 갈 전 畋 밭 갈 전은 같은 의미이다.
o 국내에서는 밭과 논을 구분하여 전답(田畓)과 같이 논(rice paddy)에는 畓 논 답을 쓰고 밭에만 田을 쓰나, 중국에서는 논을 수전(水田)이라고도 하지만 田 밭 전은 논밭(field)을 아울러 가리킨다.
o 부수명칭은 「밭전」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た(田)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field라 한다.
[田部]
町 밭두둑 정, 빈 터 전, 사슴발자국 전 《說文》 田踐處曰町。从田丁聲。
o 밭에서 밟고 다니는 두둑(raised path between fields)을 町 밭두둑 정이라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丁 고무래 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䵺 밭두둑 정 甼 논두렁 정은 같은 글자이다.
𤲬 성 밑 밭 연 《說文》 城下田也。一曰𤲬,郤也。从田耎聲。
疇 두둑 주, 이랑 주, 누구 주 《說文》 耕治之田也。从田,象耕屈之形。
o 밭을 가꾸고 다스리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밭을 갈아 놓아 고랑과 두둑, 즉 이랑이 만들어진 모양을 상형한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구불구불한 이랑을 상형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壽 목숨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疇 누구 주로도 쓰이고, 㿧 누구 주 嚋 누구 주는 같은 글자이다.
o 畴는 간체자이다.
疁 화전 류(유) 《說文》 燒穜也。《漢律》曰 : 疁田茠艸。从田翏聲。
o 산에 있는 초목에 불을 지르고 그 자리를 파 일구어 농사를 짓는 밭(field with burned grass as fertilizer)을 가리킨다.
o 화전(火田)을 가리킨다.
o 《한률》(漢律)에서 이르기를 유전휴초(疁田茠艸)라고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翏 높이 날 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畬 새밭 여 《說文》 三歲治田也。《易》曰 : 不葘,畬田。从田余聲。
o 개간하여 세 해를 가꾼 새밭(fields in the third year of cultivation)을 가리킨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불치, 여전(不葘, 畬田)라고 한다.
o 한 해 된 밭을 葘 북정치 밭이라 하고, 두 해 된 밭을 신정(新田)이라 하며, 세 해 된 밭을 畬 새밭 여라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余 나 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畭 새밭 여 畲 새밭 여는 같은 글자이다.
㽥 비옥한 밭 유 《說文》 和田也。从田柔聲。
o 비옥한 밭을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余 나 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畸 뙈기밭 기 《說文》 殘田也。从田奇聲。
o 뙈기밭, 즉 큰 토지에 딸린 조그만 밭(irregular land)을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奇 기특할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㽨 자투리 땅 차 《說文》 殘田也。《詩》曰 : 天方薦㽨。从田差聲。
o 일정한 용도로 쓰고 남는 자투리의 밭을 가리킨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천방천차(天方薦㽨)라고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差 다를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畮 이랑 무, 이랑 묘 《說文》 六尺為步,步百為畮。从田每聲。
o 6척을 步 걸음 보라 하고, 100보는 畮 이랑 무라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每 매양 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이랑은 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the ridge and the furrow)을 가리킨다.
甸 경기 전 《說文》 天子五百里地。从田,包省。
o 천자가 지배하는 왕도의 주위 500리 이내의 토지를 가리킨다.
o 田 밭 전, 包 쌀 포의 생략형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畿 경기 기 《說文》 天子千里地。以遠近言之,則言畿也。从田,幾省聲。
o 고대중국에서 천자가 지배하는 왕도의 주위 1,000리 이내의 토지를 가진다.
o 원근을 말할 때에 수도로부터 천리 이내의 지역(district in and around the royal capital)을 畿 경기 기라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幾 기미 기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田 밭 전은 수도를 중심으로 천리 이내의 지역이 곡창지대라는 의미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畦 밭두둑 휴 《說文》 田五十畝曰畦。从田圭聲。
o 밭의 쉰 이랑을 畦 밭두둑 휴라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圭 서옥 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㽯 밭두둑 휴는 같은 글자이다.
畹 밭 면적 단위 원 《說文》 田三十畝也。从田宛聲。
o 밭의 서른 이랑을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宛 완연 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畔 두둑 반 《說文》 田界也。从田半聲。
o 밭의 경계(the border of field)를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半 반 반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畍 지경 계 《說文》 境也。从田介聲。
o 지경을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介 낄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㽘 지경 강 《說文》 境也。一曰陌也。趙魏謂陌為㽘。从田亢聲。
o 지경을 가리킨다.
o 일설은 동서(가로)로 난 두둑(두렁)을 가리키며, 陌 두렁 백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조(趙)나라와 위(魏)나라에서는 陌 두렁 백을 㽘 지경 강이라고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亢 높을 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畷 밭두둑 길 철, 밭두둑 길 체 《說文》 兩陌閒道也,廣六尺。从田叕聲。
o 양 두둑 사이에 난 길을 가리킨다.
o 폭이 6척이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叕 연할 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畛 두렁길 진 《說文》 井田閒陌也。从田㐱聲。
o 논이나 밭의 가장자리에 있는 두렁 위로 난 길을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㐱 숱 많고 검을 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畤 제터 치, 제사터 치, 제사터 지, 모종 낼 시 《說文》 天地五帝所基址,祭地。从田寺聲。右扶風有五畤。好畤、鄜畤,皆黃帝時祭。或曰秦文公立也。
o 오제(五帝)가 천지신령(天地神靈)에게 제사를 지낸 자리(place to worship heaven and earth), 즉 제터를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寺 절 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부풍(扶風)이라는 지방의 우측에 오치(五畤)가 있다.
o 호치(好畤), 부치(鄜畤)는 모두 황제(黃帝)가 다스릴 때에 제사를 지낸 제터이다.,
o 혹설은 진(秦)나라 문고(文公)가 세운 제터라고 한다.
o 蒔 모종 낼 시는 같은 글자이다.
略 다스릴 략(약), 간략할 략(약) 《說文》 經略土地也。从田各聲。
o 다른 나라나 지방을 공략하여 점령한 토지를 다스리다.
o 田 밭 전(field)을 따르고, 各 각각 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畧 다스릴 략과 같은 글자이다.
當 당할 당 《說文》 田相值也。从田尚聲。
o 밭이 서로 걸맞는 가치가 있다(fields facing each other).
o 두 밭의 가치가 서로 대등하다(equal, vis-à-vis)는 의미이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尚 오히려 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当는 간체자이다.
畯 농부 준 《說文》 農夫也。从田夋聲。
o 농부를 가리킨다.
o 농관(農官), 즉 고대중국에서 농사를 담당하는 관리(ancient officer responsible for agriculture)를 가리킨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夋 천천히 걷는 모양 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관리가 논밭을 살피는 모습을 상형한다.
甿 백성 맹 《說文》 田民也。从田亡聲。
o 밭을 가꾸는 백성(farming people, peasant)이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亡 망할 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백성을 가리키는 글자로는 民 백성 민, 氓 백성 맹, 䇇 백성 맹이 있다.
疄 밭두둑 린(인) 《說文》 轢田也。从田粦聲。
o 밭에서 수레를 끌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粦 도깨비불 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畱 머무를 류, 기다릴 류 《說文》 止也。从田丣聲。
o 머물다(stay).
o 田 밭 전을 따르고, 丣 닭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물이 도랑을 따라 흐르다가 밭 사이에서 잠시 멈춘다는 의미이다.
o 丣 닭 유는 밭의 주위에 있는 구불구불한 도랑(沟渠)을 가리킨다.
o 留 머무를 류 畄 머무를 류는 같은 글자이다.
畜 쌓을 축, 가축 축, 짐승 축, 기를 휵 《說文》 田畜也。《淮南子》曰 : 玄田為畜。
o 밭에 쌓다.
o 《회남자》(淮南子)는 이르기를 현전(玄田), 즉 검은 밭을 畜 쌓을 축이라 한다.
o 갑골문을 보면 상형문자이고, 田 밭 전은 곡식을 담은 자루(bag of feed)를 가리키고, 玄 검을 현은 자루를 묶는 끈(rope tying the bag)을 가리킨다.
o 우리 안에 가축을 가두어 놓고 키우는 모양을 상형한다고 보기도 한다.
o 소가 숨을 내쉴 때 콧구멍에서 나오는 더운 기운, 즉 콧김을 상형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확대해석하여 가축(farm animal, livestock)을 의미한다고 본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玄 검을 현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疃 마당 탄 《說文》 禽獸所踐處也。《詩》曰 : 町疃鹿場。从田童聲。
o 짐승이 밝고 다니는 장소(track)를 가리킨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정탄록장(町疃鹿場)이라고 한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童 아이 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畼 곡식 나지 않을 창 《說文》 不生也。从田昜聲。
o 곡식이 나지 않다.
o 田 밭 전을 따르고, 昜 볕 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田(밭전)이 부수로 사용된 한자]
甲 껍질 갑, 첫째 천간 갑 申 펼 신, 아홉째 지지 신 由 말미암을 유 男 사내 남 畓 논 답 界 지경 계 畏 두려워할 외 留 머무를 류(유) 畜 쌓을 축 略 다스릴 략(약) 畢 마칠 필 番 갈마들 번 異 다를 이 畫 그림 화 當 당할 당 畿 경기 기
[田(밭 전)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佃 밭 갈 전 𡊰 미상 㚼 성씨 호, 아가씨 뉴(유) 沺 수세 광대할 전 䧃 땅 이름 전 細(细) 가늘 세 䟧 땅 밟는 소리 전 䡒 시끄러울 전 鈿(钿) 비녀 전 𦹸 미상
毗 도울 비 鴫 도요새 전
里 마을 리(이), 속 리(이) 㚻 비역 기 思 생각 사, 수염 많을 새 毘 도울 비 胃 위장 위 累 묶을 루(누), 여러 루(누), 벌거벗을 라(나), 땅 이름 렵(엽) 累卵之危(누란지위)
塁 보루 루(누), 끌밋할 뢰(뇌), 귀신 이름 률(율) 𣫕 미상
亩 이랑 무, 이랑 묘 备 갖출 비 奋 바다물 못 강, 떨칠 분 苗 모 묘 畠 밭 전 畨 차례 번 葘 묵정밭 치, 재앙 재 雷 우레 뢰(뇌) 附和雷同(부화뇌동) 榃 논두렁 험, 논두렁 담
曽 일직 증 兽 짐승 수 魚(鱼) 물고기 어 𩵋 물고기 어
疐 꼭지 체, 재체기할 체, 굽힐 치 㚄 엎드려질 체
嚔 재채기 체, 걸려 넘어질 치
縄 노근 승 蝿 파리 승
湽 검은빛 치 輺 짐수레 차 鍿 저울눈 치
㙒 들 야
屇 구멍 전 㧂 구멍 전
乪 물굽이 낭
𤷒 저릴 비 盧 성시 로(노), 목로 로(노)
奮 떨칠 분
[English] tián
agricultural land
cultivated land
a rice field
farmland / cropland
[疊字] 田畕畾
田 밭 전
畕 [jiāng] 나란한 두 밭 강
o 疆 지경 강과 같은 의미이다.
o 畺 지경 강과도 같은 의미이다.
畾 [léi] 밭 사이 뢰, 밭 갈피 뢰
o 畾地 [らいち] - 일본에서는 남아서 비어 있는 땅, 즉 공지(空地)를 일컫는다,
o fields divided by dikes
[유사한자] 田由甲申
田 밭 전
由 말미암을 유
甲 첫째 천간 갑
申 아홉째 지지 신
[참고한자] 畓榃
畓 논 답 a rice field
o 한국한자(韩国汉字), 즉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이다.
o 중국에서도 畓结(水田税), 畓榖(水稻)。畓农(水田农), 畓主(水田主)。畓土(水田地) 등과 같은 단어에 사용된다.
o 중국에서는 논을 보통 수전(水田)이라 한다.
榃 논두렁 험, 논두렁 담 a raised path between fields
[참고] 畾(밭 사이 뢰)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儡 영락할 뢰(뇌)
櫑 바위 뢰
瓃 옥그릇 뢰
礧 바위너설 뢰
礨 작은 구멍 뢰
罍 술독 뢰
攂(擂) 갈 뢰
讄 뇌사 뢰
o 誄 뇌사 뢰와 같은 글자이다.
o 誄詞(뇌사) - 죽은 이가 생전에 쌓은 공덕을 치하·칭송하며 조상하는 글
蠝 날다람쥐 뢰
鼺 날 다람쥐 루
壘 진 루
櫐 덩굴풀 루
'第十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486. 黃 누를 황 (0) | 2021.10.09 |
---|---|
485. 畕 나란히 있는 밭 강 (0) | 2021.10.09 |
483. 里 마을 리 (0) | 2021.10.09 |
482. 堇 진흙 근 (0) | 2021.10.09 |
481. 垚 높은 모양 요 (0) | 2021.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