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土高也。从三土。
o 땅이 높다.
o 세 개의 土 흙 토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흙이 많이 쌓여 산처럼 높은 모양을 가리킨다.
o 鑫 기쁠 흠은 돈이 많다(金多)는 의미가 되고, 森 수풀 삼은 나무가 많다(木多), 淼 아득할 묘는 강물이 많고 넓다(水多), 焱 불곷 염은 불꽃이 세게 타다(火多)는 의미가 되다시피, 垚 높은 모양 요는 흙이 많다(土多)는 의미이다.
o 垚 요임금 요(古代皇帝名字)로도 쓰고, 堯 요임금 요와 동음동의이다.
o 尧 요임금 요의 고자(古字)이다.
o 壵 장할 장과는 다른 글자이고, 壵 장할 장은 세 개의 士 선비 사(三个“士”)를 따른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垚의 부수는 土(흙토)이다.
[垚部]
堯 요임금 요 《說文》 高也。从垚在兀上,高遠也。
o 높다.
o 兀 우뚝할 올(towering and bald) 위에 垚 높은 모양 요(tall of earth)가 있는 모양을 따르고, 높고 멀다는 의미이다.
o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위에 두 개의 土 흙 토(soil, earth)가 있고, 아래에 兀 우뚝할 올이 있는 모양( two 土 at the top and one 兀 at the bottom)을 따르기도 한다.
o 금문에서는 두 개의 土 흙 토와 두 개의 兀 우뚝할 올로 쓴 글자도 있고, 또한 土 흙 토와 兀 우뚝할 올로만 구성되기도 한다.
o 兀 우뚝할 올은 一 한 일이 人 사람 인 위에 있는 모양, 즉 사람의 머리 위에 횡선(一)이 있는 모양으로 높고 평평하다(高平 towering and level)는 의미이다.
《說文》 兀,高而上平也。
《설문》 올,고이상평야。
o 尧는 간체자이다.
o 尭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이다.
o 垚 요임금 요(a legendary ancient emperor-sage)는 같은 글자이다.
o 澆 물 댈 요 繞 두를 요 燒 불사를 소 嬈 번거로울 요(뇨), 아리따울 요 僥 요행 요, 속일 교 驍 날랠 효 曉 새벽 효 饒 넉넉할 요 顤 높고 긴 머리 효 嶢 높을 요 磽 매마른 땅 교 獟 미친 개 교 蟯 요충 요 鐃 징 뇨(요) 蕘 땔나무 요 嘵 두려워할 효 趬 사쁜사쁜 걸을 교 橈 굽을 뇨(요), 노 요 皢 새벽 효 饒 넉넉할 요 膮 돼지고깃국 효 翹 꽁지깃 교, 치켜세울 교 譊 떠들 뇨(요), 두려워할 효는 堯(요임금 요)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이다.
[English] yáo
lofty, high, hill
Emperor Yao, legendary ruler of ancient
[참고한자]
堯 요임금 요
舜 순임금 순
禹 우임금 우, 하우씨 우
[유사한자] 垚壵
垚 높은 모양 요
壵 장할 장
'第十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483. 里 마을 리 (0) | 2021.10.09 |
---|---|
482. 堇 진흙 근 (0) | 2021.10.09 |
480. 土 흙 토 (0) | 2021.10.06 |
479. 二 두 이 (0) | 2021.10.04 |
478. 卵 알 란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