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地之吐生物者也。二象地之下、地之中,物出形也。
o 땅이 토하여 생긴 물질이고, 땅은 만물을 토하므로 吐 토할 토와 같게 발음한다.
o 설문해자는 二 두 이에서 위의 一 한 일은 지면이고, 아래의 一 한 일은 땅속이며, 丨 뚫을 곤은 물질이 나오는 모양을 나타낸다고 본다.
o 땅 위로 흙덩어리가 올라온 모양으로 볼 수도 있다.
o 땅을 의미하는 횡획(一) 위에 ◇와 같은 기둥을 세운 모양을 본뜬 글자이고, 社 토지신 사의 본자이며 통행하는 사람이나 마을사람을 재난으로부터 지키기 위하여 마을의 입구, 언덕, 길 등에 모시는 토지신상(像)을 상형한다고도 본다.
o 흙으로 도기를 만들기 위하여 물레 위에 흙덩이를 올려논 모양(a lump of clay on a potter’s wheel)으로 볼 수도 있다.
o 土는 二丨, 즉 二 두 이와 丨 뚫을 곤으로 구성된다.
o 圡 흙 토, 𡈽 흙 토도 같은 글자이다.
o 부수명칭은 「흙토」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つち(土), つちへん(土偏), どへん(土偏), 일본 사가현(佐賀県)의 방언으로는 あげつち라 하고, 중국에서는 提土旁(제토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earth라 한다.
[土部]
地 땅 지 《說文》 元气初分,輕清陽為天,重濁陰為地。萬物所陳列也。从土也聲。
o 원기가 처음 나누어져 가볍고 맑은 양기는 하늘이 되고, 묵직하고 답답한 음기는 땅이 된다.
o 만물이 죽 늘어놓여 있다.
o 인류가 생활이나 활동을 하는 장소(earth, soil, ground)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也 잇기 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也 잇기 야는 고문으로 蛇 뱀 사와 같은 글자이고, 고대중국에서는 땅 위에서 초목이 무성하게 자란 경우에 도처에서 뱀이나 벌레를볼 수 있으므로(上古时地面草木丛生, 蛇虫到处可见), 土 흙 토와 也 잇기 야를 합하여 地 땅 지라고 한다.
o 坔 땅 지 埊 땅 지 墬 땅 지 嶳 땅 지는 같은 글자이다.
o 天 하늘 천에 상대되는 글자이다.
o 규천천불응, 규지지불령(叫天天不應, 叫地地不靈)은 하늘을 향하여 울부짖어도 대답이 없고, 땅에다 대고 부르짖어도 효험이 없다(Cry out to the heavens, but the heavens don't respond. Cry out to the earth, but the earth is impervious)는 의미이다.
坤 땅 곤, 곤괘 곤 《說文》 地也。《易》之卦也。从土从申。土位在申。
o 땅(earth)이다.
o 《주역》(周易)에서는 팔괘(八卦)에 해당하고, 곤괘(坤卦)는 세 개의 음효(陰爻 --)로 성립하며, 땅(地)을 상징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申 아홉째 지지 신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土 흙 토가 申 아홉째 지지 신이 있는 자리에 있다.
o 土 흙 토가 십이지(十二支)에서 申 아홉째 지지 신에 해당되므로, 土申이 합하여 坤 땅 곤이 된다.
o 堃 땅 곤은 같은 글자이다.
垓 지경 해, 층계 해 《說文》 兼垓八極地也。《國語》曰 : 天子居九垓之田。从土亥聲。
o 팔극(八極), 즉 팔방(八方 - 東, 西, 南, 北, 東南, 西南, 西北, 東北)의 너른 지역 안에 있는 광활한 토지(octapole land)를 가리킨다(八极之内的广大土地).
o 《국어》(國語)에서 이르기를 천자거구해지전(天子居九垓之田), 즉 “천자는 구주(九州)의 모든 전답을 차지한다”고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亥 돼지 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10의 20제곱(10^20)을 나타낼 때에 한자로는 해(垓)라 한다.
《风俗通》 十亿曰兆,十兆曰京,十京曰垓。
《풍속통》 십억왈조,십조왈경,십경왈해。
o 畡 지경 해는 같은 글자이다.
o 해자(垓子)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성의 주위를 둘러서 판 못(moat)을 가리킨다.
o 해하지전(垓下之戰)은 BC 203년 12월부터 BC 202년 1월까지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이 치룬 고대중국의 역사상 가장 유명한 전쟁이다. 서초패왕으로 불리는 항우는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한 번도 패한 적이 없으나, 해하(垓下 현재의 지명은 安徽省宿州市灵璧县)에서 한나라 유방에게 포위되어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처지에 놓이게 되고, 형세가 이미 기울어져 앞날이 다한 사실을 알고는 밤중에 술을 마시면서 연인으로 지내는 우희(虞姬)를 그리워하며 부른 노래가 바로 《해하가》(垓下歌)이다.
《史記 項羽本紀》 項王軍壁垓下,兵少食盡,漢軍及諸侯兵圍之數重。夜聞漢軍四面皆楚歌,項王乃大驚曰: "漢皆已得楚乎?是何楚人之多也!" 項王則夜起,飲帳中。有美人名虞,常幸從;駿馬名騅,常騎之。於是項王乃悲歌慨,自為詩曰: "力拔山兮氣蓋世,時不利兮騅不逝。騅不逝兮可柰何,虞兮虞兮柰若何!" 歌數闋,美人和之。項王泣數行下,左右皆泣,莫能仰視。
《사기 항우본기》 항왕군벽해하,병소식진,한군급제후병위지수중。야문한군사면개초가,항왕내대경왈: "한개이득초호?시하초인지다야!" 항왕칙야기,음장중。유미인명우,상행종; 준마명추,상기지。어시항왕내비가개,자위시왈: "역발산혜기개세,시불리혜추불서。추불서혜가내하,우혜우혜내약하!" 가수결,미인화지。항왕읍수행하,좌우개읍,막능앙시。
墺 물가 오, 물가 욱 《說文》 四方土可居也。从土奧聲。
o 사방이 흙이므로, 사람이 거주할 수 있다(ecumene).
o 土 흙 토를 따르고, 奧 깊을 오, 따뜻할 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圫 물가 오, 隩 거처 욱는 같은 글자이다.
堣 땅 이름 우, 모퉁이 우 《說文》 堣夷,在冀州陽谷。立春日,日值之而出。从土禺聲。《尚書》曰 : 宅堣夷。
o 우이(堣夷)를 가리키고, 기주(冀州)의 양곡(陽谷)이라는 지방에 있다.
o 입춘을 가리키고, 해가 때를 맞추어 뜬다는 의미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禺 어리석을 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상서》(尚書)에서 이르기를 댁우이(宅堣夷)라 한다.
o 隅 모통이 우는 같은 글자이다.
坶 땅 이름 목, 기를 목 《說文》 朝歌南七十里地。《周書》 : 武王與紂戰于坶野。从土母聲。
o 조가(朝歌)에서 남쪽으로 70리 떨어진 거리에 있는 땅이다.
o 《주서》(周書)에서 이르기를 목야(坶野), 즉 목(坶)이라는 지방의 들판에서 무왕이 주왕과 싸움을 벌린 사건이 있다고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母 어머니 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坡 언덕 파, 고개 파 《說文》 阪也。从土皮聲。
o 언덕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皮 가죽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坪 평평할 평, 들 평 《說文》 地平也。从土从平,平亦聲。
o 땅이 평평하다는 뜻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平 평평할 평을 따른다.
o 平 평평할 평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均 고를 균 《說文》 平徧也。从土从勻,勻亦聲。
o 골고루 나누다(divide equally).
o 土 흙 토를 따르고, 勻 적을 균을 따른다.
o 勻 적을 균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壤 흙 양, 흙덩이 양 《說文》 柔土也。从土襄聲。
o 부드러운 흙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襄 도울 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塙 단단할 각, 자갈땅 고, 자갈땅 교, 굳을 확 《說文》 堅不可拔也。从土高聲。
o 단단하여 뽑을 수 없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高 높을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墽 메마른 땅 교, 메마른 땅 요 《說文》 磽也。从土敫聲。
o 메마른 땅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敫 노래할 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磽 메마른 땅 교 墝 메마른 땅 요, 메마른 땅 교는 같은 글자이다.
o 嶅 잔돌 많은 산 오 塙 자갈땅 고, 자갈땅 교는 같은 의미이다.
壚 흑토 로(노) 《說文》 剛土也。从土盧聲。
o 단단한 흙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盧 목로 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흑토(黑土)는 부식질이 많이 들어 있는 흑색 혹은 흑갈생의 기름진 땅을 가리킨다.
㙚 붉은 흙 성 《說文》 赤剛土也。从土,觲省聲。
o 붉고 단단한 흙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觲 뽈활 잘 쓸 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埴 찰흙 치, 찰흙 식 《說文》 黏土也。从土直聲。
o 찰흙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直 값 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坴 언덕 륙(육) 《說文》 土塊坴坴也。从土圥聲。讀若逐。一曰坴梁。
𡍦 흙 혼 《說文》 土也。洛陽有大𡍦里。从土軍聲。
墣 흙덩이 복, 흙덩이 박 《說文》 塊也。从土菐聲。
o 흙덩이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菐 번거로울 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凷 흙덩이 괴 《說文》 墣也。从土,一屈象形。
o 흙덩이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一 한 일이 굽은 모양을 상형한다.
o 凷 土凵, 즉 土 흙 토와 凵 입 벌릴 감으로 구성된다.
o 墣 흙덩이 복, 흙덩이 박 塊 덩어리 괴와 같은 의미이다.
堛 흙덩이 벽 《說文》 凷也。从土畐聲。
o 흙덩이(a lump of earth)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畐 가득할 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堫 심을 종 《說文》 穜也。一曰內其中也。从土㚇聲。
o 심다.
o 일설은 내기중(內其中)을 가리킨다고 본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㚇 오므릴 종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䎫 심을 창 䉮 심을 린 植 심을 식 㽢 심을 암 蓺 심을 예 栽 심을 재 䅤 심을 집 䎮 심을 체는 같은 의미이다.
塍 밭두둑 승, 밭두둑 증 《說文》 稻中畦也。从土朕聲。
o 논밭의 사이에 있는 두둑한 두렁(a raised path between fields)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朕 나 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坺 파 일굴 발 《說文》 治也。一曰臿土謂之坺。《詩》曰 : 武王載坺。一曰塵皃。从土犮聲。
坄 굴뚝 역 《說文》 陶竈窻也。从土,役省聲。
基 터 기 《說文》 牆始也。从土其聲。
o 담을 쌓은 터(foot of a wall)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其 그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㙋 터 기는 동음동의이다.
垣 담 원 《說文》 牆也。从土亘聲。
o 담(wall)을 가리킨다.
o 낮은 담(low wall)은 垣 담 원이라 하고, 높은 담(high wall)은 墉 담 용이라 한다(卑曰垣, 高曰墉).
《墨子 备城门》 周垣之高八尺。
《묵자 비성문》 주원지고팔척。
o 土 흙 토를 따르고, 亘 피휘 환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圪 흙더미 우뚝할 을 《說文》 牆高也。《詩》曰 : 崇墉圪圪。从土乞聲。
o 담장이 높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숭용을을(崇墉圪圪)이라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乞 빌 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屹 우뚝 솟을 흘은 같은 의미이다.
堵 담 도, 성 자, 강 이름 자 《說文》 垣也。五版為一堵。从土者聲。
o 담(wall)을 가리킨다.
o 5판(五版)을 1도(一堵)라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者 사람 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壁 벽 벽 《說文》 垣也。从土辟聲。
o 담(wall)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辟 피할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廦 담 벽은 같은 글자이다.
㙩 에워싼 담 료(요) 《說文》 周垣也。从土尞聲。
o 에워싼 담, 빙두른 담(an enclosing wall)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者 사람 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堨 보 알, 먼지 애 《說文》 壁間隙也。从土曷聲。讀若謁。
o 벽 사이에 있는 틈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曷 어찌 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謁 뵐 알과 같게 발음한다.
o 壒 티끌 애는 같은 글자이다.
o 보(洑)는 가뭄에 논에 물을 대기 위하여 물길을 막아 쌓은 둑을 가리킨다.
埒 바자울 랄(날) 《說文》 卑垣也。从土寽聲。
o 낮은 담장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寽 취할 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埓 담 랄은 같은 의미이다.
o 바자울은 대, 갈대, 수수깡, 싸리 따위를 엮은 바자로 만든 울타리를 가리킨다.
堪 견딜 감 《說文》 地突也。从土甚聲。
o 땅이 불거지다(mount).
o 土 흙 토를 따르고, 甚 심할 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堀 굴 굴, 팔 굴 《說文》 突也。《詩》曰 : 蜉蝣堀閱。从土,屈省聲。
o 구멍을 파서 뚫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부유굴열(蜉蝣堀閱)이라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屈 굽힐 굴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窟 굴 굴은 같은 글자이다.
堂 집 당 《說文》 殿也。从土尚聲。
o 큰 집을 뜻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尚 오히려 상을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㙶 집 당 坣 집 단은 같은 글자이다.
垜 살받이 타, 살받이터 타 《說文》 堂塾也。从土朵聲。 과녁의 앞뒤 좌우에 화살이 날아와 떨어지는 자리(살받이)
坫 경계 점 《說文》 屏也。从土占聲。
㙙 바를 롱, 바를 룡, 바를 몽 《說文》 涂也。从土浝聲。
垷 진흙 현 《說文》 涂也。从土見聲。
墐 매흙질할 근 《說文》 涂也。从土堇聲。
o 매흙질하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堇 진흙 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매흙질은 벽의 표면에 보드라운 진흙을 바르는 일을 가리킨다.
塈 맥질할 기 《說文》 仰涂也。从土旣聲。
o 맥질하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旣 이미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墍 맥질할 기는 같은 글자이다.
o 맥질은 벽의 표면에 보드라운 흙을 바르는 일을 가리킨다.
堊 백토 악 《說文》 白涂也。从土亞聲。
o 백토(white mud), 즉 색깔이 희고 부드러운 흙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亞 버금 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垩는 간체자이다.
墀 계단 위의 공지 지 《說文》 涂地也。从土犀聲。《禮》 : 天子赤墀。
墼 날벽돌 격 《說文》 瓴適也。一曰未燒也。从土毄聲。
𡊄 쓸어버릴 분 《說文》 埽除也。从土弁聲。讀若糞。
埽 쓸 소 《說文》 棄也。从土从帚。
在 있을 재 《說文》 存也。从土才聲。
o 있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才 재주 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흙 위에서 초목이 처음 돋아나는 모양을 나타낸다.
o 존재(存在 be living)는 사람이나 사물이 실제로 현실에 있다는 의미이다.
o 扗 있을 재는 같은 글자이다.
坐 앉을 좌 《說文》 止也。从土,从畱省。土,所止也。此與畱同意。
o 머무르다.
o 土 흙 토, 畱 머무를 류의 생략형을 따른다.
o 흙(土)이 있으므로, 머무를 수 있다.
o 회의문자이다.
o 坐 앉을 좌는 畱 머무를 류와 같은 의미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사람이 땅 위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 쉬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현재 쓰이는 坐는 土人人, 즉 土 흙 토와 人 사람 인, 人 사람 인으로 구성되며, 두 사람이 땅 위에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㘴 앉을 좌 㘸 앉을 좌 座 자리 좌는 같은 글자이다.
坁 머무를 지 《說文》 箸也。从土氏聲。
o 머무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氏 성씨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塡 메울 전, 메울 진, 진정할 진, 둘 치 《說文》 塞也。从土眞聲。
o 채우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眞 참 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坦 평평할 탄, 평탄할 탄, 너그러울 탄 《說文》 安也。从土旦聲。
o 편안하다, 마음의 평정을 얻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旦 아침 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憻 평탄할 탄은 같은 글자이다.
坒 섬돌 비 《說文》 地相次比也。衞大夫貞子名坒。从土比聲。
堤 방죽 제, 둑 제, 대개 시 《說文》 滯也。从土是聲。
o 막히다.
o 제방(dike, dye)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是 이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隄 둑 제 埞 둑 제 䧑 둑 제는 같은 글자이다.
o 제궤의혈(堤潰蟻穴)은 방죽이 개미의 구멍으로 인하여 무너진다, 즉 큰 일이 아주 사소한 일로 그르칠 수 있으므로,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신중히 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后汉书 陈忠传》 千丈之堤,以蝼蚁之穴溃;百尺之宝,以突隙之烟焚。
《후한서 진충전》 천장지제,이루의지혈궤;백척지보,이돌극지연분。
壎 질나발 훈 《說文》 樂器也。以土為之,六孔。从土熏聲。
o 악기이다.
o 흙을 구워 만들고, 구멍이 여섯 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熏 불길 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질나발(an egg-shaped, holed wind instrument)은 달걀 혹은 홍시와 비슷한 모양으로 생긴 악기로 구멍이 위에 하나, 앞에 셋, 뒤에 둘 모두 여섯 개가 있고, 위에 있는 구멍에 아랫입술을 가볍게 대고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며, 손가락으로 앞뒤에 있는 다섯 구멍을 막고 열면서 음을 조절한다.
封 봉할 봉 《說文》 爵諸矦之土也。从之从土从寸,守其制度也。公侯,百里;伯,七十里;子男,五十里。
o 제후는 일정한 영토를 가지고 그 영내의 백성을 지배하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다.
o 之 갈 지를 따르고, 土 흙 토를 따르고, 寸 마디 촌을 따른다.
o 寸 마디 촌은 제도를 지킨다는 의미이다.
o 회의문자이다.
o 공후(公侯)는 100리를 가지고, 백(伯)은 70리를 가지고, 자남(子男)는 50리를 가진다.
o 공후백자남(公侯伯子男)은 고대중국에서 제후의 계급을 가리키고, 공작(듀크), 후작(마키스), 백작(얼), 자작(바이카운트), 남작(배런)에 해당한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왼쪽은 땅 위에 무성하게 자란 나무를 상형하고, 오른쪽은 손을 상형하며, 흙 위에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o 후에 又 오른손 우가 寸 마디 촌으로 변한다.
o 고문에서는 丰 예쁠 봉(field, ear of grass)을 따르고, 又 오른손 우(hand)을 따르며, 회의문자이다.
壐 옥새 새 《說文》 王者印也。所以主土。从土爾聲。
o 임금이라는 사실을 나타내는 도장을 가리킨다.
o 옥쇄로 땅을 주관하므로, 土 흙 토를 따른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爾 너 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후에는 옥새를 옥으로 만들므로, 璽 옥새 새(imperial seal, royal seal)를 사용하게 된다.
o 옥새는 옥에 새긴 임금의 도장(the Royal seal, the Imperial seal)을 가리킨다.
墨 먹 묵, 교활할 미 《說文》 書墨也。从土从黑,黑亦聲。
o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에 사용하는 물감, 즉 먹(Chinese ink, sumi)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黑 검을 흑을 따른다.
o 黑 검을 흑은 또한 성부이다.
o 黑 검을 흑은 먹의 색깔이 흑색(黑色)이라는 의미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금문에서는 얼굴에 묵형을 새긴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묵형(墨刑)은 고대중국에서 죄인의 얼굴에 먹줄로 죄명을 써넣는 형벌을 가리킨다.
垸 바를 완, 바른 환 《說文》 以桼和灰而䰍也。从土完聲。一曰補垸。
o 옻과 회를 섞어서 바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完 완전할 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고쳐 바르다는 의미라고 본다.
o 䯘 바를 완, 바를 환은 같은 글자이다.
型 모형 형, 거푸집 형 《說文》 鑄器之法也。从土刑聲。
o 쇠를 부어 그릇을 만드는 모형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刑 형벌 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坓 모형 형은 같은 글자이다.
o 거푸집은 만들려는 물건의 모양대로 속을 비워 거기에 쇠붙이를 녹여 부어 원하는 물건을 만드는 틀을 가리킨다.
埻 과녁 준, 나라 이름 각 《說文》 射臬也。从土享聲。讀若準。
o 화살을 쏘아 맞추는 과녁(the target for archery)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享 누릴 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準 준할 준과 같게 발음한다.
塒 깃 시, 홰 시 《說文》 雞棲垣為塒。从土時聲。
o 닭이 그 속에 들어 살게 만든 보금자리를 塒 깃 시라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時 때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埘 홰 시는 같은 글자이다.
o 깃은 짚이나 마른 나뭇가지, 마른 풀 따위로 담이나 울타리를 만들어 닭이나 새가 깃들이어 살게 한 보금자리를 가리킨다.
o 홰는 닭이나 새가 올라 앉도록 닭장이나 새장 속에 가로지른 막대를 가리킨다.
城 성 성, 재 성 《說文》 以盛民也。从土从成,成亦聲。
o 백성이 많이 모여 살게 하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成 이룰 성을 따른다.
o 成 이룰 성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城 성 성(city wall)으로 쓰고, 성벽(城壁)을 가리킨다.
o 금문을 보면 무기를 들고 성곽(城郭)을 지키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墉 담 용 《說文》 城垣也。从土庸聲。
𡑢 성가퀴 첩 《說文》 城上女垣也。从土葉聲。
坎 구덩이 감 《說文》 陷也。从土欠聲。
o 땅이 움푹 파이다.
o 구덩이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欠 하품 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埳 구덩이 감은 같은 글자이다.
墊 빠질 점 《說文》 下也。《春秋傳》曰 : 墊隘。从土執聲。
坻 모래섬 지 《說文》 小渚也。《詩》曰 : 宛在水中坻。从土氐聲。
㙷 더할 칩, 곡식이 익을 접 《說文》 下入也。从土㬎聲。
垎 마를 격, 굳을 핵 《說文》 水乾也。一曰堅也。从土各聲。
垐 길에 흙 돋울 자 《說文》 以土增大道上。从土次聲。
增 불을 증, 더할 증, 겹칠 층 《說文》 益也。从土曾聲。
o 더하다(add).
o 土 흙 토를 따르고, 曾 일찍 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埤 더할 비 《說文》 增也。从土卑聲。
坿 붙일 부 《說文》 益也。从土付聲。
塞 막을 색, 막힐 색, 변방 새 《說文》 隔也。从土从𡨄。
o 막다, 막히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𡨄 틈 하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은 宀 집 면 혹은 冖 덮을 멱 아래에 손으로 막는 물건을 나타내는 工 장인 공을 쌓는 모양을 나타낸다.
o 후에 금문에서는 네 개의 工 장인 공을 쌓은 모양을 나타낸다.
o 㩙 막힐 색은 같은 글자이다.
圣 힘쓸 골 《說文》 汝潁之閒謂致力於地曰圣。从土从又。讀若兔窟。
垍 굳은 흙 게, 굳은 흙 기 《說文》 堅土也。从土自聲。讀若臮。
埱 땅에서 김 오를 숙 《說文》 气出土也。一曰始也。从土叔聲。
埵 언덕 타 《說文》 堅土也。从土𡍮聲。讀若朵。
埐 땅 이름 침 《說文》 地也。从土𠬶聲。
埾 흙 쌓을 추 《說文》 土積也。从土,从聚省。
壔 성채 도 《說文》 保也。高土也。从土𠷎聲。讀若毒。
培 북돋울 배 《說文》 培敦。土田山川也。从土咅聲。
o 도탑게 북돋우다.
o 토전산천(土田山川)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咅 침 뱉을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㟝 북돋울 배는 같은 글자이다.
埩 밭 갈 정 《說文》 治也。从土爭聲。
墇 막을 장 《說文》 擁也。从土章聲。
𡍫 가로막혀 떨어질 측 《說文》 遏遮也。从土則聲。
垠 지경 은 《說文》 地垠也。一曰岸也。从土艮聲。
o 땅끝을 가리킨다.
o 일설은 岸 언덕 안을 의미한다고 본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艮 은 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㙬 지경 은 圻 지경 은 垦 지경 은은 같은 글자이다.
o 지경(地境)은 땅의 가장자리, 경계를 가리킨다.
墠 제터 선, 제사 터 선, 느릿할 천 《說文》 野土也。从土單聲。
垑 땅을 믿을 치 《說文》 恃也。从土多聲。
壘 진 루, 보루 루, 이을 루, 끌밋할 뢰, 신 이름 률, 귀신 이름 률 《說文》 軍壁也。从土畾聲。
o 군대가 공격과 방어를 위하여 쌓은 성벽(military wall)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畾 밭 갈피 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㙼 진 루 塁 보루 루는 같은 글자이다.
o 垒는 간체자이다.
垝 허물어질 궤 《說文》 毀垣也。从土危聲。《詩》曰 : 乘彼垝垣。
圮 무너질 비 《說文》 毀也。《虞書》曰 : 方命圮族。从土己聲。
垔 막을 인 《說文》 塞也。《尚書》曰 : 鯀垔洪水。从土西聲。
塹 구덩이 참 《說文》 阬也。一曰大也。从土斬聲。
埂 구덩이 경 《說文》 秦謂阬為埂。从土更聲。讀若井汲綆。
壙 광 광 《說文》 塹穴也。一曰大也。从土廣聲。
塏 높고 건조할 개 《說文》 高燥也。从土豈聲。
毀 헐 훼 《說文》 缺也。从土,毇省聲。
壓 누를 압, 싫어할 염 《說文》 壞也。一曰塞補。从土厭聲。
o 무너지다(collapse).
o 일성은 기워 메운다는 의미라고 본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厭 누를 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圧은 일본에서 사용되는 신자체(약자)이다.
o 压은 간체자이다.
壞 무너질 괴, 땅 이름 회, 앓을 회 《說文》 敗也。从土褱聲。
o 무너지다(collapse).
o 土 흙 토를 따르고, 褱 품을 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건물이 허물어진다는 의미이고, 고대에는 건물을 주로 흙으로 지으므로 土 흙 토를 따른다.
o 坏 무너질 괴 壊 무너질 괴는 같은 글자이다.
坷 평탄하지 않을 가 《說文》 坎坷也。梁國寕陵有坷亭。从土可聲。
o 땅이 움푹 파이고 평탄하지 않다.
o 양(梁)나라에는 영릉(寕陵)이라는 지방에 가정(坷亭)이 있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可 옳을 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㙤 틈 하 《說文》 𡍩也。从土虖聲。
o 갈라지다.
o 틈, 틈새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虖 울부짖을 호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坼 터질 탁 《說文》 裂也。《詩》曰 : 不坼不疈。从土㡿聲。
o 터지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불탁불벽(不坼不疈)이라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㡿 물리칠 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𡍩 터질 탁은 같은 글자이다.
坱 먼지 앙 《說文》 塵埃也。从土央聲。
o 진애(塵埃), 즉 티끌과 먼지(dust)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央 가운데 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塺 티끌 매 《說文》 塵也。从土麻聲。
o 티끌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麻 삼 마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塿 언덕 루(누) 《說文》 塺土也。从土婁聲。
o 티끌이 쌓인 땅을 가리킨다.
o 작은 언덕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婁 끌 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坋 뿌릴 분, 쓸 분 《說文》 塵也。从土分聲。一曰大防也。
o 먼지, 티끌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分 나눌 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큰 둑을 가리킨다고 본다.
𡌦 티끌 비 《說文》 塵也。从土非聲。
埃 티끌 애 《說文》 塵也。从土矣聲。
o 티끌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矣 어조사 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㙠 티끌 예 《說文》 塵埃也。从土殹聲。
o 티끌과 먼지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殹 앓는 소리 예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垽 앙금 은 《說文》 澱也。从土沂聲。
o 앙금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沂 지경 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앙금은 아주 잘고 부드러운 가루가 물에 가라앉아 생긴 층이다.
垢 때 구 《說文》 濁也。从土后聲。
o 더럽다.
o 때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后 뒤 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㙪 흙먼지 일 예, 날 흐릴 의 《說文》 天陰塵也。《詩》曰 : 㙪㙪其陰。从土壹聲。
o 날이 흐리고 흙먼지가 일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예예기음(㙪㙪其陰)이라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壹 혼돈 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坏 언덕 배 《說文》 丘再成者也。一曰瓦未燒。从土不聲。
o 언덕이 다시 생기다.
o 일설은 아직 굽지 않은 와기를 가리킨다고 본다(瓦 기와 와는 이미 구워진 토지를 총칭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不 아닐 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현재는 壞 무너질 괴(collapse)의 간체자로 쓰인다.
o 坯 언덕 배는 같은 글자이다.
垤 개밋둑 질 《說文》 螘封也。《詩》曰 : 鸛鳴于垤。从土至聲。
o 개미가 흙더미를 쌓다.
o 개밋둑을 가리킨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관명우질(鸛鳴于垤)이라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至 덜렁대는 모양 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개밋둑은 개미가 땅속에 집을 지으면서 파낸 흙가루가 땅 위에 쌓여 생긴 두둑을 가리킨다.
坥 토해 놓은 흙 저 《說文》 益州部謂螾場曰坥。从土且聲。
o 익주(益州)라는 지방에서는 지렁이가 토해 놓은 흙을 가리켜 坥 토해 놓은 흙 저라고 한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且 또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埍 여자 가두는 옥 현 《說文》 徒隸所居也。一曰女牢。一曰亭部。从土肙聲。
o 하인이 거처하는 행랑방, 즉 하인청(下人廳)을 가리킨다.
o 일설은 여자를 가두는 감옥을 의미한다고 본다.
o 일설은 亭 정자 정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肙 요란할 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𧷎 탈출할 활, 뚫고 나올 골 《說文》 囚突出也。从土㕢聲。
o 죄를 짓고 갇힌 사람이 빠져나오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㕢 견실할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瘞 묻을 예 《說文》 幽薶也。从土㾜聲。
o 깊게 묻어 제사를 지내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㾜 앓는 숨결 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堋 광중 붕 《說文》 喪葬下土也。从土朋聲。《春秋傳》曰 : 朝而堋。《禮》謂之封,《周官》謂之窆。《虞書》曰 : 堋淫于家。
垗 묏자리 조 《說文》 畔也。為四畤界,祭其中。《周禮》曰 : 垗五帝於四郊。从土兆聲。
塋 무덤 영 《說文》 墓也。从土,熒省聲。
o 무덤(tomb)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熒 등불 형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茔는 간체자이다.
墓 무덤 묘 《說文》 丘也。从土莫聲。
o 무덤(grave)을 가리킨다.
《广雅》 墓,冢也。
《엄아》 묘,총야。
《论衡 讥日》 墓,土也。
《논형 기일》 묘,토야。
o 墓 무덤 묘는 나무를 심지 않고 흙을 쌓지 않은 무덤을 가리키고, 墳 무덤 분은 흙을 쌓아 장식한 무덤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莫 저물 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莫 저물 모(dusk)는 해가 수풀 속으로 저무는 모양(the sun 日 sinking into the bushes 屮屮屮屮)을 나타내고, 暮 저물 모의 본자(original form)이다.
o 墓 무덤 묘는 土 흙 토 위에 莫 없을 막이 있고, 고대중국에서는 무덤을 웅덩이에 관을 묻고 평탄하게 흙으로 덮어 나무를 자라지 않는 모양으로 조성하므로, 땅 위가 비어 있고 전혀 물체가 없다는 의미이다.
o 塋 무덤 영 塚 무덤 총 墳 무덤 분은 모두 무덤을 가리킨다.
墳 무덤 분 《說文》 墓也。从土賁聲。
o 무덤을 가리킨다.
o 墳 무덤 분은 흙을 쌓아 장식한 무덤으로 귀족의 무덤, 陵 무덤 릉은 임금이나 왕후의 무덤, 園 능 원은 왕세자, 왕세자빈, 왕의 부모의 무덤을 가리키고, 塚 무덤 총은 고분(天馬冢, 舞踊塚) 중 규모가 크지만 주인을 알 수 없는 무덤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賁 클 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坟은 간체자이다.
壟 언덕 롱(농) 《說文》 丘壠也。从土龍聲。
壇 단 단, 평탄할 탄, 소제할 선 《說文》 祭場也。从土亶聲。
o 제단(altar)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亶 믿음 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䃪 단 단은 같은 글자이다.
o 坛은 간체자이다.
場 마당 장 《說文》 祭神道也。一曰田不耕。一曰治穀田也。从土昜聲。
o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당(ground beside altar)을 가리킨다.
o 일설은 경작하지 않는 논밭을 의미한다고 본다.
o 익은 곡식이 가득한 논밭을 의미한다고도 본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昜 볕 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㘯 마당 장 㙊 마당 장 塲 마당 장은 같은 글자이다.
o 场는 간체자이다.
圭 홀 규 《說文》 瑞玉也。上圜下方。公執桓圭,九寸 ; 矦執信圭,伯執躬圭,皆七寸 ; 子執穀璧,男執蒲璧,皆五寸。以封諸矦。从重土。楚爵有執圭。
o 서옥이다.
o 설문해자는 위는 원형이고, 아래는 모가 난 모양이이라고 하나,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로 된 형태도 있다.
o 왕은 진규(鎭圭)라는 홀을 들고, 길이는 1척2치이다.
o 공작은 환규(桓圭)라는 홀을 들고, 길이가 9치이다.
o 후작은 신규(信圭)라는 홀을 들고, 백작은 궁규(躬圭)라는 홀을 들며, 길이는 모두 7치이다.
o 자작은 곡벽(穀璧)이라는 홀을 들고, 남작은 포벽(蒲璧)이라는 홀을 들며, 길이는 모두 5치이다.
o 임금이 봉하여 제후가 된다.
o 土 흙 토를 중복하여 따르고, 초(楚)나라에서는 작위가 있는 사람은 홀을 든다.
o 홀(笏)은 고대중국에서 제후나 대신이 입조할 때에 조복에 갖추어 손에 든 신부(信符)를 가리킨다.
圯 흙다리 이 《說文》 東楚謂橋為圯。从土巳聲。
垂 드리울 수 《說文》 遠邊也。从土垂聲。
o 먼 변방(frontier)을 가리킨다.
《广韵》 垂,疆也。
《엄운》 수,강야。
o 土 흙 토를 따르고, 垂 드리울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埀 드리울 수는 같은 글자이다.
o 陲 변방 수는 같은 의미이다.
堀 굴 굴, 팔 굴 《說文》 兔堀也。从土屈聲。
o 토끼굴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屈 굽힐 굴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窟 굴 굴은 같은 글자이다.
塗 진흙 도, 칠할 도, 길 도 《說文》 泥也。从土涂聲。
o 진흙(mud)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涂 길 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塓 맥질할 멱 《說文》 塗也。从土冥聲。
埏 땅 끝 연 《說文》 八方之地也。从土延聲。
埸 밭두둑 역 《說文》 疆也。从土易聲。
境 지경 경 《說文》 疆也。从土竟聲。經典通用竟。
o 지경(地境), 즉 두 지역이 서로 맞닿아 있는 경계를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竟 지경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경전(經典)에서는 竟 지경 경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塾 글방 숙 《說文》 門側堂也。从土孰聲。
o 대문의 곁에 있는 집(side house)을 가리킨다.
o 옛날 공식적인 기관이 아닌 개인이 사사로이 설립하여 한문을 가르친 글방(village school, private tutorage)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孰 누구 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墾 따비할 간 《說文》 耕也。从土豤聲。
o 논밭을 일구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豤 정성스러울 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垦은 간체자이다.
o 따비는 논밭을 가는 원시적인 농구를 가리킨다.
塘 못 당 《說文》 隄也。从土唐聲。
o 못(pond)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唐 당나라 당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䧜 못 당 溏 못 당은 같은 글자이다.
坳 우묵할 요 《說文》 地不平也。从土幼聲。
o 땅이 평평하지 않고, 우묵하게 패어 들어가다(a hollow in the ground).
o 土 흙 토를 따르고, 幼 그윽할 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㘬 우묵할 요 㘭 팬 곳 요 垇 팬 곳 요는 같은 글자이다.
壒 티끌 애 《說文》 塵也。从土蓋聲。
o 티끌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蓋 덮을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堨 먼지 애는 같은 의미이다.
墜 떨어질 추 《說文》 陊也。从土隊聲。古通用䃍。
o 떨어지다, 사태(沙汰)가 나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隊 떨어질 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고문으로 䃍 떨어질 추와 통용된다.
o 礈 떨어질 추는 같은 글자이다.
o 坠는 간체자이다.
塔 탑 탑 《說文》 西域浮屠也。从土荅聲。
o 서역(西域)에 있는 부도(浮屠 Budhhist pagoda)를 가리킨다.
o 여러 층으로 지은 탑(tower, tall building)을 가리킨다.
o 土 흙 토를 따르고, 荅 좀콩 답을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墖 탑 탑 㙮 탑 탑은 같은 글자이다.
坊 동네 방 《說文》 邑里之名。从土方聲。古通用埅。
[土(흙토)가 부수로 들어간 한자]
墾 따비할 간 堪 견딜 감 坎 구덩이 감 堈 언덕 강 坑 구덩이 갱 堅 굳을 견 坰 들 경 境 지경 경 堺 지경 계 坤 땅 곤 壙 광 광 壞 무너질 괴 塊 흙덩이 괴 垢 때 구 坵 언덕 구 圭 홀 규 均 고를 균 圻 경기 기 基 터 기 埼 험할 기 壟 언덕 농(롱) 壇 단 단 坍 무너질 담 塘 못 당 坮 대 대 垈 터 대 堵 담 도 塗 진흙 도 墩 돈대 돈 墓 무덤 묘 墨 먹 묵 培 북돋울 배 壁 벽 벽 報 갚을 보 堡 작은 성 보 埠 선창 부 墳 무덤 분 塞 변방 새 墅 농막 서 城 성 성 塑 토우 소 垂 드리울 수 塾 글방 숙 堊 백토 악 壓 누를 압 埃 티끌 애 壤 흙 양 堰 방죽 언 域 지경 역 堧 빈터 연 塋 무덤 영 塢 둑 오 墺 물가 오 壅 막을 옹 堯 요임금 요 埇 길 돋울 용 墉 담 용 垣 담 원 垠 끝 은 墻 담 장 場 마당 장 在 있을 재 塡 메울 전 塼 벽돌 전 堤 둑 제 坐 앉을 좌 埈 가파를 준 增 불을 증 地 땅 지 址 터 지 塵 티끌 진 執 잡을 집 埰 영지 채 堞 성가퀴 첩 塚 무덤 총 墜 떨어질 추 墮 떨어질 타 坼 터질 탁 塔 탑 탑 坦 평평할 탄 堆 언덕 퇴 坡 고개 파 坂 비탈 판 坪 평평할 평 壑 골 학 墟 언덕 허 壺 병 호 壕 해자 호 塤 질나발 훈 壎 질나발 훈
[土(흙 토)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吐 토할 토 扗 있을 재 汢 물 이름 토 肚 배 두 杜 막을 두 灶 부엌 조 牡 수컷 모 𤣰 옥그릇 보 社 모일 사, 토지신 사 䝅 돼지가 땅을 팔 회 釷(钍) 토륨 토 靯 수레 안의 깔개 도 𩵚 미상 𪐢 미상
切 끊을 절, 온통 체 𤬪 큰 동이 두 壻 사위 서 䲧 두견이 두 䵺 밭두둑 정
㐋(한국한자) 음역자 톨 去 갈 거 𠮷 길할 길 寺 절 사, 관청 시 灻 붉을 적 赤 붉을 적 走 달릴 주 赱 달릴 주 幸 다행 행 𥸮 미상
尘 티끌 진 芏 왕골 토 至 이를 지, 덜렁대는 모양 질 茔 장사지낼 토, 무덤 영 里 마을 리(이), 속 리(이) 𦯀 풀로 경계 지을 분 烾 붉을 적 𤍢 미상 墨 먹 묵, 교활할 미 皨 별 성 䜃 꾸짖을 퇴, 쌓을 퇴, 꾸짖을 최, 꾸짖을 망
䦌 곧바로 열 추
凷 흙덩이 괴
庄 엄할 장 㽵 엄할 장
㦱 미상
[English] tǔ
earth
soil
clay
land / territory / domain
local / native
indigenous / unrefined / unenlightened
rustic / countrified
crude opium 烟土
an abbreviation for Turkey 土耳其
the Tujia ethnic group 土家族 [Tǔjiāzú]
투쟈족(土家族)은 중국소수민족이며, 2010년의 인구통계에 의하면 투쟈족에 속하는 인구의 수는 8,353,912명에 달한다. 투쟈족은 주로 후난성이나 후베이성 등에 거주하며, 중국 장가계를 여행할 때 투쟈족을 만날 수 있다.
the Tu ethnic group(Monguor people, White Mongol) 土族 [Tǔzú]
투족(土族)은 인구가 비교적 적은 중국소수민족으로 2010년의 인구통계에 의하면 토족에 속하는 인구의 수는 총 289,565명이다. 토족은 선비족의 계열이며, 지역마다 부르는 칭호가 서로 달라 몽골이(蒙古尔), 몽골이공(蒙古尔孔), 찰한몽골이(察汗蒙古尔)라고도 부르고, 토곤(土昆)이나 토민(土民) 혹은 훠얼(霍尔), 토호가(土户家)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식적으로는 중국정부에 의하여 투족으로 분류된다. 투족은 주로 칭하이성과 간쑤성 등에 분포한다.
[유사한자] 土士
土 흙 토
士 선비 사
[疊字] 土圭垚㙓
土 [tǔ] 흙 토
圭 [guī] 쌍토 규, 홀 규
垚(堯) [yáo] 요임금 요
㙓 [zhuàng] 흙 규
o 㙓는 土土土土, 즉 네 개의 土 흙 토로 구성된다.
o 㙓는 垚土, 즉 垚 요임금 요와 土 흙 토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earth, land, soil, ground
'第十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482. 堇 진흙 근 (0) | 2021.10.09 |
---|---|
481. 垚 높은 모양 요 (0) | 2021.10.06 |
479. 二 두 이 (0) | 2021.10.04 |
478. 卵 알 란 (0) | 2021.10.04 |
477. 黽 맹꽁이 맹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