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屈也。从大,象形。
o 머리가 구부러진다는 뜻이다.
o 大 큰 대를 따르고, 상형문자이다.
o 사람의 머리가 꺽인 모습을 상형한다.
o 夨 머리가 기울 렬은 머리가 왼쪽으로 기운 모양이고, 夭 어릴 요는 머리가 오른쪽으로 기운 모양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사람이 양팔을 크게 흔들며 걷거나 뛰는을 상형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夭의 부수는 大(큰대)이다.
[夭部]
喬 높을 교 《說文》 高而曲也。从夭,从高省。《詩》曰:南有喬木。
o 높고 굽은 모양을 뜻한다.
o 夭 어릴 요를 따르고, 高省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시경》(詩經)에서 이르기를 南有喬木(南有喬木), 즉 “남쪽으로 가면 높고 굽은 나무가 있다”고 한다.
o 乔는 간체자이다.
幸 다행 행 《說文》 吉而免凶也。从屰从夭。夭,死之事。故死謂之不幸。
o 길하여 흉을 면하다(luck).
o 屰 거스를 역을 따르고, 夭 어릴 요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죄인의 손목에 채우는 수갑(手匣)을 상형한다.
o 夭 일찍 죽을 요(die young)는 아직 젊고 원기가 왕성할 때에 죽는 죽음(少壮而死曰夭)을 가리킨다.
o 요절(夭折)은 젊은 나이에 일찍 죽는다는 의미이다.
o 죽음은 불행(不幸), 즉 다행이 아니다는 의미이다.
o 㚔 다행 행 倖 요행 행은 같은 글자이다.
奔 달릴 분 《說文》 走也。从夭,賁省聲。與走同意,俱从夭。
o 달린다는 뜻이다.
o 夭 어릴 요를 따르고, 賁 클 분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위에는 大 큰 대(혹은 人 사람 인)가 있고, 아래에는 세 개의 止 발 지를 따르며, 사람이 팔을 앞뒤로 크게 흔들고 발을 크게 뛰며 달리는 모양(run quickly)을 상형한다.
o 走 달리 주와 같은 의미이고, 모두 夭 어릴 요를 따른다.
[夭(어릴 요)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妖 아리따울 요 沃 물 댈 옥咲(笑) 웃을 소
呑 삼킬 탄
笑 웃을 소
[English] yāo
young
fresh looking
tender
[English] ǎo
die young 夭折
suppress, repress
'第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4. 尢 절름발이 왕 (0) | 2021.09.16 |
---|---|
393. 交 사귈 교 (0) | 2021.09.16 |
391. 夨 머리 기울 녈(열) (0) | 2021.09.16 |
390. 亦 또 역 (0) | 2021.09.16 |
389. 大 큰 대 (0) | 2021.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