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

377. 犬 개 견

by kimlaw 2021. 9. 13.

《說文》 狗之有縣蹏者也。象形。孔子曰 : 視犬之字如畫狗也。
o 개가 한쪽 발을 들고 있는 모습을 측면에서 본 모양이다.

吴大澄

o 상형문자이다.

설문해자

o 개를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商代
商代
Puppy by Jeff Koons(Guggenheim, Bilbo in Spain)

o 공자는 이르기를 犬 개 견이라는 글자를 보면 마치 개를 그린 그림과 같다고 한다

商代
商代

o 犬는 大丶, 즉 大 클 대와 丶 점 주로 구성된다.
o 犬 개 견은 큰 개를 가리키고, 작은 개는 狗 개 구라 한다.
o 개는 중국에서 고대로부터 사육된 가축으로 육축(六畜 - 馬, 牛, 羊, 鶏, 犬, 豚)에 해당한다.
o 부수로 방에 사용되기도 하고, 발에 사용되기도 한다.
o 부수명칭은 「개견」이다.
o 부수로 변에 사용될 때에는 犭 큰 개 견으로 바뀌고, 부수명칭은 犭 큰 개 견의 모양이 사슴의 뿔과 비슷하므로 「개사슴록변」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いぬ(犬), 獸 짐승 수의 부수로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けものへん(獣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反犬旁(반견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dog라 한다.

[犬部]
狗 개 구 《說文》 孔子曰 : 狗,叩也。叩气吠以守。从犬句聲。
o 공자가 이르기를 狗 개 구는 叩 두드릴 고와 같은 글자라고 한다.
o 큰 개를 犬 개 견이라 하고, 작은 개를 狗 개 구라 한다(大者爲犬 小者爲狗).

dogs

o 강아지는 狗 개 구라 하고(未成豪), 망아지(새끼말)는 駒 망아지 구라 하며(馬二歲曰駒), 곰이나 호랑이의 새끼는 豿 튀기 구라 한다(熊虎之子曰豿).
o 달려들며 짖어 집을 지키는 동물이다.
《鸿范五行传》 犬、畜之以口吠守者也。
《홍범오행전》 견、축지이구폐수자야。
o 犬 개 견을 따르고, 句 글귀 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句 글귀 구는 개가 짖는 소리를 가리킨다.
獀 사냥 수 《說文》 南趙名犬獿獀。从犬叜聲。
尨 삽살개 방, 어지러울 봉 《說文》 犬之多毛者。从犬从彡。《詩》曰 : 無使尨也吠。
o 털이 많은 개(shaggy haired dog)를 가리킨다.
o 삽살개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彡 터럭 삼을 따른다.

설문해자

o 彡 터럭 삼은 털이 많다는 의미이다.
o 회의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무사방야폐(無使尨也吠), 즉 “삽살개를 짖지 못하게 하다”고 한다.
o 狵 삽살개 방, 삽살개 망은 같은 글자이다.
狡 교활할 교 《說文》 少狗也。从犬交聲。匃奴地有狡犬,巨口而黑身。
o 어린 개(강아지 young dog)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交 사귈 교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흉노(匃奴)가 사는 지역에는 교견(狡犬)이 있고, 입이 크고 몸통은 검다고 한다.
獪 교활할 쾌, 교활할 회, 어지러울 활 《說文》 狡獪也。从犬會聲。
o 간사하고 나쁜 꾀가 많다(sly, cunning, crafty).
o 犬 개 견을 따르고, 會 모일 회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猾 교활할 활 㹟 교활할 쾌는 같은 글자이다.
o 狯는 간체자이다.
㺜 삽살개 농, 삽살개 노 《說文》 犬惡毛也。从犬農聲。
o 더러운 털을 가진 개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農 농사 농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猲 개 갈, 개 할, 으를 겁 《說文》 短喙犬也。从犬曷聲。《詩》曰 : 載獫猲獢。《爾雅》曰 : 短喙犬謂之猲獢。
o 주둥이가 짧은 개(short-mouth dog)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曷 어찌 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재험갈효(載獫猲獢)라고 한다.
o 《이아》(爾雅)에서 이르기를 단훼견위지갈효(短喙犬謂之猲獢)라고 한다.
o 獦 개 갈, 개 할은 같은 글자이다.
獢 주둥이 짧은 개 효 《說文》 猲獢也。从犬喬聲。
o 주둥이가 짧은 개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喬 높을 교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獫 개 렴, 오랑캐 이름 험, 오랑캐 험 《說文》 長喙犬。一曰黑犬黃頭。从犬僉聲。
o 주둥이가 긴 개를 가리킨다.
o 일설은 누런 머리를 가진 검은 개를 가리킨다고 본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僉 다 첨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玁 오랑캐 이름 험은 같은 글자이다.
o 猃는 간체자이다.
㹥 개 주 《說文》 黃犬黑頭。从犬主聲。讀若注。
o 검은 머리를 가진 누런 개(a yellow dog with black head)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主 주인 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注 부을 주와 같게 발음한다.
猈 발바리 패, 사람 이름 비 《說文》 短脛狗。从犬卑聲。
o 목이 짧은 개를 가리킨다.
o 발바리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卑 낮을 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猗 불깐 개 의, 아름다울 의, 더할 의, 부드러울 의, 부드러울 아, 붙을 의, 고분고분할 위 《說文》 犗犬也。从犬奇聲。
o 불깐 개(castrated dog)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奇 의지할 의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䝝 불깐 개 의는 같은 글자이다.
o 불깐 돼지는 豶 불깐 돼지 분 䝐 불깐 돼지 수라 한다.
o 불깐 양은 羯 불깐 양 갈 羠 불깐 양 시, 불깐 양이라 한다.
o 거세(去勢)하거나 불깐 소는 犄 거세한 소 의라고 한다.
o 불깐 말은 䮪 불깐 말 승이라 한다.
狊 날개 펼 격 《說文》 犬視皃。从犬、目。
o 개가 노려보는 모양이다.
o 犬 개 견, 目 눈 목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𤟟 개 짖는 소리 암 《說文》 竇中犬聲。从犬从音,音亦聲。
默 잠잠할 묵 《說文》 犬暫逐人也。从犬黑聲。讀若墨。
o 개가 별안간 사람을 쫒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黑 검을 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墨 먹 묵과 같게 발음한다.
o 㱄 잠잠할 묵(still) 嘿 고요할 묵(quiet) 黙 묵묵할 묵(silent)은 같은 글자이다.
猝 갑자기 졸 《說文》 犬从艸暴出逐人也。从犬卒聲。
o 개가 풀 속에서 갑자기 나와 사람을 쫒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卒 마칠 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猩 성성이 성 《說文》 猩猩,犬吠聲。从犬星聲。
o 성성(猩猩)은 개가 짖는 소리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星 별 성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성성이는 오랑우탄(orang-utan, pongo)을 가리킨다.
㺌 개가 그치지 않고 짖어댈 혐, 싸울 혐 《說文》 犬吠不止也。从犬兼聲。讀若檻。一曰兩犬爭也。
o 개가 그치지 않고 짖어대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兼 겸할 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檻 난간 함과 같게 발음한다.
o 일설은 두 마리의 개가 다툰다는 의미로 본다.
㺖 강아지 짖는 소리 함 《說文》 小犬吠。从犬敢聲。南陽新亭有㺖鄉。
o 강아지가 짖다(bark).
o 犬 개 견을 따르고, 敢 감히 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남양 신정(南陽 新亭)에는 함향(㺖鄉)이라는 시골이 있다.
猥 함부로 외, 외람할 외 《說文》 犬吠聲。从犬畏聲。
o 개가 짖는 소리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畏 두려워할 외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獿 개 짖을 뇨(요) 《說文》 獿㺒也。从犬、夒。
㺒 개가 놀라 짖을 효, 교활할 교 《說文》 犬獿獿咳吠也。从犬翏聲。
㺑 괴물 이름 소, 해칠 삼 《說文》 犬容頭進也。从犬參聲。一曰賊疾也。
𤟌 개 부릴 장 《說文》 嗾犬厲之也。从犬,將省聲。
㹽 개가 물 찬 《說文》 齧也。从犬戔聲。
狦 호박개 산 《說文》 惡健犬也。从犬,𠛹省聲。뼈대가 굵고 털이 북실북실한 개
狠 개 싸우는 소리 한, 물 한, 물 간, 사나울 한, 원한을 품을 항 《說文》 吠鬬聲。从犬艮聲。
o 개가 짖으며 싸우는 소리이다.

two dogs are barking to each other

o 犬 개 견을 따르고, 艮 끌 흔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㺕 개 싸우는 소리 번, 개 싸우는 소리 변 《說文》 犬鬬聲。从犬番聲。
o 개가 싸우는 소리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番 차례 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狋 으르렁거릴 의 《說文》 犬怒皃。从犬示聲。一曰犬難得。代郡有狋氏縣。讀又若銀。
㹞 개 짖는 소리 은 《說文》 犬吠聲。从犬斤聲。
獡 개가 사람 따를 삭 《說文》 犬獡獡不附人也。从犬舄聲。南楚謂相驚曰獡。讀若愬。
獷 사나울 광 《說文》 犬獷獷不可附也。从犬廣聲。漁陽有獷平縣。
狀 형상 상, 형상 장, 문서 장 《說文》 犬形也。从犬爿聲。
o 개의 모양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爿 나뭇조각 장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状는 간체자이다.
𤞛 망녕되게 힘쎈 개 장 《說文》 妄彊犬也。从犬从壯,壯亦聲。
獒 개 오 《說文》 犬如人心可使者。从犬敖聲。《春秋傳》曰 : 公嗾夫獒。
o 사람의 마음을 알고 그대로 따르는 개이다.
o 짱아오(藏獒 mastiff)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敖 거만할 오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공주부오(公嗾夫獒), 즉 “진(晉)나라 영공(靈公)이 맹견(猛犬)에게 신하이며 충신인 조돈(趙盾)을 물어 죽이라 한다”.
獳 으르렁거릴 누 《說文》 怒犬皃。从犬需聲。讀若槈。
狧 핥을 시, 핥을 탑, 탐낼 탑 《說文》 犬食也。从犬从舌。讀若比目魚鲽之鲽。
狎 익숙할 압, 익숙할 합 《說文》 犬可習也。从犬甲聲。
狃 친압할 뉴(유) 《說文》 犬性驕也。从犬丑聲。
犯 범할 범 《說文》 侵也。从犬巳聲。
o 범하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巳 뱀 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일설은 㔾 병부 절을 성부로 보기도 한다.
o 형성문자이다.
猜 시기할 시, 시기할 채, 샘할 시 《說文》 恨賊也。从犬青聲。
o 도둑에 맞서서 크게 짖으며 덤벼들다.
o 집을 충실하게 지키는 개를 가리킨다고 보기도 한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青 푸를 청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猛 사나울 맹 《說文》 健犬也。从犬孟聲。
o 굳센 개(strong dog)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孟 맏 맹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勐 사나울 맹은 같은 글자이다.
犺 고슴도치 강 《說文》 健犬也。从犬亢聲。
㹤 겁낼 겁 《說文》 多畏也。从犬去聲。
獜 튼튼할 린(인) 《說文》 健也。从犬粦聲。《詩》曰 : 盧獜獜。
獧 성급할 견, 급할 환 《說文》 疾跳也。一曰急也。从犬瞏聲。
倏 갑자기 숙 《說文》 走也。从犬攸聲。讀若叔。
狟 개 돌아다닐 환, 오소리 훤, 개 다닐 환 《說文》 犬行也。从犬亘聲。《周禮》曰 : 尚狟狟。
犻 개가 성난 모양 패 《說文》 過弗取也。从犬巿聲。讀若孛。
𤟍 개 귀 벌린 모양 적 《說文》 犬張耳皃。从犬易聲。
猌 개 성낼 은 《說文》 犬張齗怒也。从犬來聲。讀又若銀。
犮 달릴 발 《說文》 走犬皃。从犬而丿之。曳其足,則剌犮也。
戾 어그러질 려(여), 돌릴 렬, 어그러질 태 《說文》 曲也。从犬出戶下。戾者,身曲戾也。
獨 홀로 독 《說文》 犬相得而鬬也。从犬蜀聲。羊為羣,犬為獨也。一曰北嚻山有獨犭谷獸,如虎,白身,豕鬣,尾如馬。
o 개는 서로 사이좋게 지내다가 싸우기도 한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蜀 나라 이름 촉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양(羊)은 떼를 지어 살고, 개는 홀로 산다.
o 일설은 북효산(北嚻山)에 독곡수(獨犭谷獸)라고 하는 짐승이 있고, 호랑이와 같고, 몸통은 희고, 돼지갈기가 있고, 꼬리는 말과 같다고 한다.
o 独은 간체자이다.
𤞞 짐승 이름 욕 《說文》 獨𤞞,獸也。从犬谷聲。
𤣔 가을사냥 선 《說文》 秋田也。从犬璽聲。
獵 사냥 렵(엽), 개 이름 작 《說文》 放獵逐禽也。从犬巤聲。
o 사냥개를 풀어 짐승을 쫒다.
o 사냥(hunt)을 가리킨다.

수렵도(무용총)

o 犬 개 견을 따르고, 巤 목 갈기 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猟 사냥 렵 猎 개 이름 작은 같은 글자이다.
獠 밤 사냥 료(요) 《說文》 獵也。从犬尞聲。
狩 사냥 수 《說文》 犬田也。从犬守聲。《易》曰 : 明夷于南狩。
o 사냥을 잘하는 개를 가리킨다.
o 겨울에 하는 사냥(hunt in winter)이다.
o 주둥이가 뾰족하여 사냥을 잘하는 개를 전견(田犬)이라 하고, 주둥이가 짧아 잘 짖어서 집을 지키는 개를 폐견(吠犬)이라 하며, 살이 많아 잡아먹기에 알맞은 개는 식견(食犬)이라 한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守 지킬 수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사냥에는 반드시 개가 필요하므로, 犬 개 견을 따른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명이우남수(明夷于南狩)라 한다.
臭 냄새 취 《說文》 禽走,臭而知其迹者,犬也。从犬从自。
o 개는 짐승이 지나가면 냄새을 맡아 그 흔적을 알 수 있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自 스스로 자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위에는 코의 모양을 상형하고, 아래에 개가 있으므로, 개는 코가 특별히 민감하여 냄새를 잘 맡는다는 의미이다.

상-은허갑골문

o 臰 냄새 취 殠 썩은 냄새 추는 같은 글자이다.
獲 얻을 획, 실심할 확 《說文》 獵所獲也。从犬蒦聲。
o 사냥으로 얻은 소득(obtain)을 의미한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蒦 자 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获은 간체자이다.
獘 넘어질 폐, 폐단 폐, 해질 폐, 닦을 별 《說文》 頓仆也。从犬敝聲。《春秋傳》曰 : 與犬,犬獘。
獻 바칠 헌, 술그릇 이름 사, 위의 있을 의, 드릴 헌 《說文》 宗廟犬名羹獻。犬肥者以獻之。从犬鬳聲。
o 종묘의 제사에 바치는 개고기를 갱헌(羹獻)이라 부른다.
o 개가 살이 찌면 바칠 수가 있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鬳 솥 권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周早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아래에 鬲 솥 력이 있고, 위에는 犬 개 견이 있으므로, 제사에 바치기 위하여 살찐 개를 잡아 솥에 삶는 모습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o 献는 간체자이다.
𤜵 사나운 개 연 《說文》 獟犬也。从犬幵聲。一曰逐虎犬也。
獟 미친 개 교 《說文》 𤜵犬也。从犬堯聲。
狾 미친 개 제 《說文》 狂犬也。从犬折聲。《春秋傳》曰 : 狾犬入華臣氏之門。
狂 미칠 광 《說文》 狾犬也。从犬㞷聲。
o 미친 개를 가리킨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㞷 심할 심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狂은 犭王, 즉 犭 개사슴록변 견과 王 임금 왕으로 구성된다.
類 무리 류(유), 치우칠 뢰 《說文》 種類相似,唯犬為甚。从犬頪聲。
o 같은 무리끼리는 서로 닮고, 유독 개는 더 심하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頪 엇비슷할 뢰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类는 간체자이다.
狄 오랑캐 적 《說文》 赤狄,本犬種。狄之為言淫辟也。从犬,亦省聲。
狻 사자 산 《說文》 狻麑,如虦貓,食虎豹者。从犬夋聲。見《爾雅》。
玃 원숭이 확 《說文》 母猴也。从犬矍聲。《爾雅》云 : 玃父善顧。攫持人也。
猶 오히려 유, 노래 요, 움직일 요 《說文》 玃屬。从犬酋聲。一曰隴西謂犬子為猷。
狙 원숭이 저 《說文》 玃屬。从犬且聲。一曰狙,犬也,暫齧人者。一曰犬不齧人也。
猴 원숭이 후 《說文》 夒也。从犬矦聲。a monkey
㺉 어미 잡아 먹는 원숭이 혹 《說文》 犬屬。𦝫已上黃,𦝫已下黑,食母猴。从犬𣪊聲。讀若構。或曰㺉似牂羊,出蜀北嚻山中,犬首而馬尾。
狼 이리 랑(낭), 땅 이름 랑 《說文》 似犬,銳頭,白頰,高前,廣後。从犬良聲。
狛 짐승 이름 박 《說文》 如狼,善驅羊。从犬白聲。讀若蘗。甯嚴讀之若淺泊。
獌 이리의 한 가지 만 《說文》 狼屬。从犬曼聲。《爾雅》曰 : 貙獌,似貍。
狐 여우 호 《說文》 䄏獸也。鬼所乘之。有三徳 : 其色中和,小前大後,死則丘首。从犬瓜聲。
o 약고 꾀바르고 의심이 많고 변덕스러운 짐승이다.
o 여우를 가리킨다.

여우

o 귀신이 타고 돌아다니는 짐승이다.
o 여우에게는 삼덕(三徳)이 있다 : 털빛이 지나치거나 치우치지 않고, 새끼를 앞세워 걷게 하고 어미는 뒤따라가며, 죽을 때에 자기가 태어난 언덕(丘)을 향하여 머리를 둔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瓜 오이 과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호가호위(狐假虎威)는 여우가 호랑이를 만나 자기의 뒤에 따라오라고 부탁한 후에 뒤에 따라오는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리다(the fox exploits the tiger's might)는 의미이고, 비유적으로 다른 사람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는 모습을 가리킨다.

호가호위

《战国策 楚策一》 虎求百兽而食之 ; 得狐。狐曰 : ‘子无敢食我也 ; 天帝使我长百兽 …… 子随我后 ; 观百兽之见我而敢不走乎?’ 虎以为然 ; 故遂与之行。兽见之皆走 ; 虎不知兽畏己而走也 ; 以为畏狐也。
《전국책 초책일》 호구백수이식지 ; 득호。호왈 : ‘자무감식아야 ; 천제사아장백수 …… 자수아후 ; 관백수지견아이감부주호?’ 호이위연 ; 고수여지행。수견지개주 ; 호부지수외기이주야 ; 이위외호야。
獺 수달 달 《說文》 如小狗也。水居食魚。从犬賴聲。
o 작은 개를 닮다.
o 수달(otter)을 가리킨다.

수달

o 물에 살며 물고기를 먹는 짐승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賴 의뢰할 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猵 수달 편 《說文》 獺屬。从犬扁聲。
猋 개 달리는 모양 표 《說文》 犬走皃。从三犬。
o 개가 달리는 모양(appearance of dogs moving)이다.

three dogs

o 세 마리의 犬 개 견을 따른다.

周中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세 마리의 개가 달아나는 토끼를 쫓는 모양을 나타낸다.
o 猋는 犬㹜, 즉 犬 개 견과 㹜 개 싸울 은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狘 놀라 달아날 월 《說文》 獸走皃。从犬戉聲。
o 짐승이 놀라 달아나는 모양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戉 도끼 월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𤟤 짐승 이름 휘 《說文》 獸名。从犬軍聲。
狷 성급할 견 《說文》 褊急也。从犬肙聲。
o 성급하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肙 요란할 연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개가 입에 고기를 물고 급하게 도망간다는 의미이다.
o 獧 급할 환은 같은 의미이다.
猰 전설상의 짐승 이름 알, 미칠 갈, 무자비할 결 《說文》 猰㺄,獸名。从犬契聲。
o 알유(猰㺄)라고 하는 사람을 잡아 먹는 전설상 짐승의 이름(a wild animal in ancient legend)이다.
o 犬 개 견을 따르고, 契 맺을 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䝟 짐승 이름 알, 짐승 이름 설은 같은 글자이다.

[犬(개 견)이 犭(개사슴록변)으로 변하여 변부수로 사용된 글자]
犯 범할 범 猛 사나울 맹 猶 오히려 유 獄 옥 옥 獨 홀로 독 獲 얻을 획

[犬(개견)이 방부수로 사용된 글자]
狀 형상 상 獸 짐승 수 獻 바칠 헌

[犬(개견)이 발부수로 사용된 글자]
獎 권면할 장

[犭(개사슴록변)과 결합되어 동물을 나타내는 글자]
狗 개 구 狐 여우 호 狙 원숭이 저 狼 이리 랑 狻 사자 산 狸 너구리 리(이) 狽 이리 패 狼 이리 랑(낭) 猊 사자 예 猫 고양이 묘 猪 멧돼지 저 獐 노루 장 獅 사자 사 猴 원숭이 후 猿 원숭이 원 獺 수달 달 獼 원숭이 미 獾 오소리 환

[犬(개 견)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伏 엎드릴 복, 안을 부 吠 짖을 폐 㧋 펼 현 汱 물 떨어질 견, 枤 홀로 서 있을 체, 키 타 㺴 옥 이름 발 肰 개고기 연 畎 밭도랑 견 紎 이색진 깁 치 䣭 미상 䭾 실을 태, 말 달릴 견 默(黙) 잠잠할 묵 鼣 쥐 이름 폐
宊 집 가, 부딪칠 돌 突 갑자기 돌 哭 울 곡 类 무리 류(유), 치우칠 뢰(뇌) 臭 냄새 취, 맡을 후
厌 싫어할 염, 누를 엽, 빠질 암 戾 어그러질 려(여), 돌릴 령(열)
迖 매끄러울 체, 통달할 달

[English] quǎn
dog
canine

[유사한자] 犬太大
犬 개 견
太 클 태
大 클 대, 큰 대, 클 태

[疊字] 犬㹜猋
犬 개 견

설문해자

㹜(犾) 개 싸울 은 rude talk, unpolished

설문해자

猋 개 달리는 모양 표 appearance of dogs moving, (literary) move rapidly

周中

 

[동의한자]

개 견

개 구

개 술


[참고한자]
飇(飆) [biāo] 폭풍 표 windstorm, whirlwind
䁭 노려볼 표
贆 뭍에 사는 조개 표
䔸 향초 이름 표

[참고] 六畜(육축)
馬 말 마
牛 소 우
羊 양 양
雞 닭 계
犬 개 견
豕 돼지 시

'第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9. 鼠 쥐 서  (0) 2021.09.13
378. 㹜 개 싸울 은  (0) 2021.09.13
376. 萈 뿔이 가는 산양 환  (0) 2021.09.13
375. 兔 토끼 토  (0) 2021.09.13
374. 㲋 짐승 이름 착  (0) 2021.09.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