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解廌,獸也,似山牛,一角。古者決訟,令觸不直。象形,从豸省。
o 해치(解廌)이고, 짐승이다.
o 산에 사는 소와 비슷하고, 뿔이 하나이다.
o 해태는 옛날 송사를 결정할 때에 정직하지 못한 사람을 뿔로 받게 한 동물이다
o 상형문자이고, 豸 해태 치의 생략형을 따른다.
o 廌는 广コ丨丨㇉一灬, 즉 广 집 엄과 コ 미상, 두 개의 丨 뚫을 곤, ㇉ 미상, 一 한 일, 灬 불 화로 구성된다.
o 獬豸(해치), 獬廌(해치), 獨角獸(독각수)라고도 불린다.
o 해태는 시비나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는 전설 속 상상의 동물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廌의 부수는 广(엄호)이다.
[廌部]
韀 언치 천 《說文》 馬鞁具也。
o 언치를 가리킨다.
o 廌 해태 치와 革 가죽 혁으로 구성된다.
o 언치는 안장이나 길마 밑에 깔아 말이나 소의 등을 덮는 방석이나 담요(saddlecloth)을 의미한다.
薦 천거할 천, 꽂을 진 《說文》 獸之所食艸。从廌从艸。古者神人以廌遺黃帝。帝曰 : 何食?何處? 曰 : 食薦 : 夏處水澤,冬處松柏。
o 짐승이 뜯어먹는 풀(grass)를 가리킨다.
o 廌 해태 치를 따르고, 艸 풀 초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옛날 신인(神人)이 황제(黃帝)에게 해태를 보낸 적이 있다.
o 황제가 해태는 어떤 음식을 먹는가? 어디에 거처하는가? 하고 묻자, 신인이 풀을 먹고, 여름에는 수택(水澤) 안에서 거처하며, 겨울에는 송백(松柏) 아래에서 거처한다고 대답한다.
o 금문을 보면 짐승이 풀밭(屮屮屮屮)을 누비며 풀을 뜯어먹는 모양을 나타낸다.
o 侟 천거할 천은 같은 글자이다.
o 荐은 간체자이다.
灋 [fǎ] 법 법 《說文》 刑也。平之如水,从水;廌,所以觸不直者;去之,从去。
o 법(law, rule, regulation, statute, norm)을 가리킨다.
o 흐르는 물과 같이 바르고 누구에게나 공평하므로, 水 물 수를 따른다.
o 廌 해태 치는 곧지 않은 사람을 뿔로 떠받는다는 의미이다.
o 해태에게 떠받친 죄인이 물에 떠내려 가므로, 去 갈 거를 따른다.
o 灋은 氵廌去, 즉 氵 물 수와 廌 해태 치, 去 갈 거로 구성된다.
o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는 동물이 해태이며, 해태가 시비곡직(是非曲直)을 따져 잘못한 사람을 뿔로 들이받아 물에 떠내려 보낸다는 의미이다.
o 法 법 법의 고자(古字)이다.
o 㳒 법 법, 佱 법 법도 동음동의이다.
灋 - 書體
法 - 書體
[廌(해태 치)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韀 언치 천 灋 법 법
薦 천거할 천, 꽂을 진
瀳 물 일 천 䍎 방추 천
[English] zhì
an animal, probably an elk
unicorn-lion
[참고] 중국의 고대전설 속의 동물
▮ 狼狽(낭패)
바라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딱하게 된 때 혹은 몹시 곤란한 상황에 놓이게 된 때를 가리켜 흔히 낭패(failure, trouble)라 한다.
狼 이리 랑은 태어날 때부터 뒷발이 없거나 혹은 앞발은 길고 뒷발이 몹시 짧아서 패(狽)가 도와야만 서서 다닐 수 있는 짐승이다. 그리고 狽 이리 패는 태어날 때부터 앞발이 전혀 없거나 혹은 앞발이 매우 짧고 뒷발은 길어서 낭(狼)과 함께라야 움직일 수 있는 짐승이다.
낭은 패가 없으면 서지 못하고, 패는 낭이 없으면 걷지 못하므로 늘 함께 다녀야 한다. 항상 낭이 패를 등에 업고 다니면서 낭과 패는 늘 한 몸과 같이 활동한다. 먹이를 잡으려 갈 때에도 낭과 패는 함께 움직인다. 낭은 용맹하지만 지혜가 부족하고, 패는 겁이 많으나 지혜가 많으므로, 패가 꾀를 써서 먹이를 찾으면 그 지시에 따라 용맹스런 낭이 달려가 먹이를 포획한다. 그러나 낭과 패가 항상 사이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는 없다. 때에 따라서는 서로 다투어 틀어지기도 한다. 만약 낭과 패가 각자 고집을 피우며 다투다가 서로 틀어지면 단순히 움직일 수도 없을뿐더러 사냥도 할 수 없으므로, 서로 쫄쫄 굶어야 하는 처지, 이제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몹시 곤란한 형편, 즉 말 그대로 낭패스러운 지경에 처하게 된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아주 난감한 처지에 빠진 경우를 狼狽不堪(낭패불감)이라 한다.
낭과 패가 함께 다니며 못된 짓을 하듯 악한(惡漢)이 모여서 못된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나쁜 짓을 하는 경우를 狼狽為奸(낭패위간)이라 한다.
▮ 狡猾(교활)
몹시 간사하고 나쁜 꾀가 많다(cunning, craftiness).
狡 짐승 이름 교(교활할 교)는 개의 모습과 같고, 온몸에는 표범처럼 얼룩무늬가 덮혀 있고, 머리에는 소의 뿔이 나 있다. 말하자면 교(狡 a beast in legend)는 개나 소도 아니고, 또한 표범도 아닌, 정체가 불분명한 동물이다. 교가 세상에 나타나면 그 해에 큰 풍년이 든다고 하여 교가 나타나길 애타게 기다리지만, 워낙 간사해서 나타날 듯 말 듯 하면서 애만 태우다가 끝내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山海經》 玉山有兽,其状如犬而豹文,其角如牛,其名曰狡,其音如吠犬,见则其国大穰。
《산해경》 옥산유수,기상여견이표문,기각여우,기명왈교,기음여폐견,견칙기국대양。
猾 짐승 이름 활(교활할 활)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온몸에 돼지털이 잔뜩 나 있고, 뼈가 없는 짐승이다. 활(猾)은 불길한 조짐으로 여겨 활이 나타나면 모두가 두려워하며, 그 울음소리가 어찌 큰지 활이 큰 소리로 울어대면 세상이 온통 큰 혼란에 빠지고 만다고 한다.
교(狡)는 옥산에 살고, 활(猾)은 요광산에 살고 있어 각자 사는 곳은 다르지만, 교가 가는 곳에는 항상 활도 따라 다닌다. 그러므로 인간이 사는 세상에는 길흉화복(吉凶禍福), 즉 교가 가져오는 좋은 일(吉)과 행복한 일(福), 활이 몰고 오는 나쁜 일(凶)과 불행한 일(禍)이 번갈아가며 반복된다고 한다.
교와 활을 합하여 교활(狡猾 artful, crafty, cunning)이라 하며, 간사하고 꾀가 많아 배은망덕을 잘 하는 사람을 가리켜 흔히 교활한 사람(treacherous person)이라 한다. 교활이 함께 길을 가다가 호랑이를 만나면 몸을 똘똘 뭉쳐 조그만 공처럼 변신하여 호랑이가 냉큼 주워 먹기를 기다린다. 호랑이가 왠 떡이야 하면서 멋모르고 교활을 덥석 삼키면 교활은 호랑이의 배속에서 내장을 마구 파먹는다. 결국 호랑이가 아픔을 참지 못해 뒹굴다가 죽으면 그제야 유유히 걸어 나와 미소를 짓는다고 하며, 그 미소가 바로 「교활한 미소」이다.
▮ 猶豫(유예) [yóuyù]
일을 바로 실행하지 않고, 날짜나 시간을 미루거나 늦춘다(hesitation).
猶 짐승 이름 유(오히려 유)는 원숭이를 닮은 동물이다. 그리고 豫 짐승 이름 예(미리 예)는 큰 코끼리(大象)라 한다.
유(猶)는 원숭이와 비슷하여 의심도 많고 겁도 많아 주위에서 부스럭하는 작은 소리만 나도 깜짝 놀라 나무 위로 기어 올라가거나 우물쭈물하면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유는 나무 위로 올라가 숨은 후에는 주위에서 아무런 소리가 나지 않아도 어찌나 의심이 많고 소심한지 차마 밑으로 내려오지 못한다. 유는 나무 위에 숨어서 주위를 살피거나, 어디 숨어 있다가 상황을 보기 위하여 살짝 나무 밖으로 모습을 내민 다음 다시 재빨리 나무 위로 올라가 어디론지 숨기를 반복하면서 선뜻 내려오지를 못하고 우물쭈물한다. 또한 예(豫)는 코끼리처럼 덩치가 무척 큰 짐승이지만 겁이 너무 많아서 늘 주저하면서 앞으로 나아가질 못하고, 매사에 망설이거나 머뭇거린다. 유와 예가 합하여 유예(猶豫)가 되면 매사 망설여 일을 결행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한다는 의미가 된다.
▮ 麒麟(기린) [qilin] a kylin
麒 기린 기는 기린의 수컷이고, 麟 기린 린는 기린의 암컷이다. 기린은 고대중국의 전설 속의 동물로, 인수(仁獸)라고도 한다.
기린은 사슴의 몸에 소의 꼬리와 발굽을 가지고 있고, 이마에는 한 개의 뿔이 달려있다. 등은 5가지 색이 섞여 있으며 노란색 또는 갈색 빛의 배를 가지고 있다. 네 발굽에는 하얀 털이 돋아 있어서 달릴 때는 마치 구름이 피어나는 듯하다. 몸의 길이는 5m에 달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몸에 용의 비늘이 솟아나오고 용의 얼굴을 가진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豼貅(비휴) [pixiū]
벽사[辟邪, bixie] 혹은 천록[天祿, tiānlu]이라고도 부른다. 전설 속의 상서로운 동물이고, 범과 비슷하다고도 하고 곰과 비슷하다고도 하는 맹수이다. 혹은 사자의 몸통과 용의 얼굴, 봉황의 날개, 기린의 꼬리를 가지고 있다고도 한다. 豼 비휴 비는 수컷이고, 貅 비휴 휴는 암컷이다.
▮ 狴犴(폐안) [bian]
용의 아홉 아들(龍生九子) 중 일곱번째 아들이다. 공명정대를 좋아하며 죄인의 죄를 실토하게 할 수 있고, 탈옥을 막아서 주로 감옥의 문에 그려지거나 새겨져 있다. 형상은 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第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5. 兔 토끼 토 (0) | 2021.09.13 |
---|---|
374. 㲋 짐승 이름 착 (0) | 2021.09.13 |
373. 麤 거칠 추, 성길 추, 클 추 (0) | 2021.09.13 |
372. 鹿 사슴 록 (0) | 2021.09.13 |
370. 馬 말 마 (0) | 2021.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