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九

357. 石 돌 석

by kimlaw 2021. 9. 11.

《說文》 山石也。在厂之下;囗,象形。
o 산돌을 가리킨다.

o 벼랑을 의미하는 厂 기슭 엄 아래 암석이 있는 모양(a stone beneath a cliff)을 상형한다.

설문해자
상-은허갑골문
周中
周晩

o 囗 둘레 위는 돌의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절벽이나 산의 기슭에 있는 동굴(cave)을 본뜬 글자로 볼 수도 있고, 口 둘레 위는 깍아지른 절벽에 있는 동굴의 입구를 상형한다고 본다.

상-은허갑골문
동굴

o 설문해자에서는 厂 기슭 엄과 囗 둘레 위를 따른다고 보나, 후에 厂 → 丆로 변한다.
o 현재 사용하는 石 돌 석은 丆口, 즉 丆 면 면과 口 입 구로 구성된다.

唐-颜真卿

o 䂖 돌 석 䄷 섬 석은 이체자이다.
o 부수명칭은 「돌석」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いし(石), いしへん(石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石字旁(석자방), 石字底(석자저)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stone이라 한다.

[石部]
磺 쇳돌 광, 유황 황 《說文》 銅鐵樸石也。从石黃聲。讀若穬。
o 구리나 쇠와 같은 성분이 들어 있는 돌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黃 누를 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礦 쇳돌 광은 같은 글자이다.
碭 무늬 있는 돌 탕 《說文》 文石也。从石昜聲。
o 무늬가 있는 돌(brilliantly colored stone with veined patterns in it)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昜 볕 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砀는 간체자이다.
碝 옥돌 연 《說文》 石次玉者。从石耎聲。
o 옥 다음가는 돌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耎 가냘플 연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瑌 옥돌 연 礝 옥돌 연은 같은 글자이다.
砮 돌살촉 노 《說文》 石,可以為矢鏃。从石奴聲。《夏書》曰 : 梁州貢砮丹。《春秋國語》曰 : 肅愼氏貢楛矢石砮。
o 돌이고, 화살촉(cluster of stone-arrow)으로 쓸 수 있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奴 종 노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하서》(夏書)에서 이르기를 양주공노단(梁州貢砮丹)이라 한다.
o 《춘추국어》에서 이르기를 숙신씨공고시석노(肅愼氏貢楛矢石砮)라고 한다.
o 돌살촉은 석기시대에 돌로 만든 화살촉을 가리킨다.

돌살촉

礜 독이 있는 돌 여 《說文》 毒石也。出漢中。从石與聲。
o 독이 있는 돌을 가리킨다.
o 한(漢)나라 안에서 난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與 더불 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碣 우뚝 선 돌 갈, 선돌 게, 둥근 비석 갈, 크게 노할 알, 비 갈, 돌, 세울 게 《說文》 特立之石。東海有碣石山。从石曷聲。
o 우뚝 선 돌(high rock)을 가리킨다.

장가계(중국 후난)

o 동해(東海)에 갈석산(碣石山)이 있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曷 어찌 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磏 거친 숫돌 렴(염) 《說文》 厲石也。一曰赤色。从石兼聲。讀若鎌。
o 숫돌을 가리킨다.

숫돌

o 일설은 적색(赤色)을 가리킨다고 본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兼 겸할 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鎌 낫 겸과 같게 발음한다.
o 숫돌은 연장을 갈아 날을 세우는 데 쓰는 돌을 가리킨다.
碬 숫돌 하 《說文》 厲石也。从石叚聲。《春秋傳》曰 : 鄭公孫碬字子石。
o 숫돌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叚 빌릴 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정공손하자자석(鄭公孫碬字子石)이라 한다.
礫 조약돌 력(역), 뛰어날 락 《說文》 小石也。从石樂聲。
o 잔돌, 조약돌(gravel)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樂 노래 악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조약돌은 작고 동글동글한 돌을 가리킨다.

조약돌

o 砾는 간체자이다.
䂬 물가의 돌 공 《說文》 水邊石。从石巩聲。《春秋傳》曰 : 闕䂬之甲。
o 물가에 있는 돌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巩 굳을 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궐공지갑(闕䂬之甲)이라 한다.
磧 서덜 적, 자갈밭 적 《說文》 水陼有石者。从石責聲。
o 냇가나 강가 등 물가에서 돌이 많은 장소, 즉 서덜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責 꾸짖을 책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碑 비석 비, 돌기둥 비 《說文》 豎石也。从石卑聲。
o 세운 돌(upright stone), 즉 비석(gravestone)이나 돌기둥을 가리킨다.

광개토대왕비(碑)

o 石 돌 석을 따르고, 卑 낮을 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唐-颜真卿(해서)
清-金农(예서)

o 형성문자이다.
o 비림(碑林)은 중국 산시성(陝西省) 서안(西安)에 있는 비석박물관이다. 글과 그림을 새긴 비석이 열대의 우림처럼 빽빽하여 비석의 우림(Forest of Steles), 즉 비림(碑林)으로 불린다. 모두 1,095기(基)의 석비(石碑)가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서예를 공부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모범으로 삼는 왕희지(王羲之, 303-361), 구양순(欧阳询, 557-641), 안진경(颜真卿, 709-785), 조맹부(赵孟頫, 1254-1322) 등 중국의 저명한 서예가의 필체를 담은 비석이 모두 비림에 모여 있다. 서예를 배우는 사람이 교본으로 삼는 조전비(曹全碑)를 비롯하여 장천비(张迁碑), 예기비(礼器碑), 사농비(史晨碑), 장맹룡비(张猛龙碑) 등 예서(隶书)와 해서(楷书)의 원형을 담고 있는 비석이 즐비하다.

碑林(비림, 중국 서안)

비림의 정문 위를 보면 碑林이라는 편액이 보인다. 청나라의 정치가 임칙서(林則徐)가 쓴 글씨이다. 임칙서는 영국과 중국 사이의 아편전쟁(1839-1842)을 촉발시킨 일련의 사건을 일으킨 인물로 유명하다. 碑林이라는 글씨를 자세히 보면 碑에서 오른쪽 위에 있는 삐침(丿)이 빠져 있다. 임칙서가 碑를 쓰면서 삐침(丿)을 빼고 쓴 이유에 관하여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임칙서는 아편전쟁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물어 관직을 박탈당하고 신장으로 유배까지 떠나게 된다. 유배를 떠나기 전에 비림의 현판을 써달라는 부탁을 받은 임칙서는 편액에 글씨를 쓰면서 자기가 꼭 돌아와 남겨둔 삐침(丿)을 화룡점정(畵龍點睛)처럼 완성한다는 생각으로 삐침(丿)을 빼고 쓴 후, 임칙서가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는 도중에 사망하여 결국 현판을 완성하지 못한채 현재의 상태로 남아 있다고 한다. 관직을 박탈당하여 머리에 항상 쓰고 있던 관모를 벗은 현실을 비유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碑에서 일부러 삐침(丿)을 빼고 썼다는 설명도 있다. 그러나 비림에 보관되어 있는 비석을 자세히 살펴보면 당나라 안진경(顏眞卿)의 다보탑비(多寶塔碑)나 안근례비(顔勤禮碑), 역시 당나라 유공권(柳公权)의 현비탑비(玄秘塔碑) 등에서 삐침(丿)이 빠진 碑를 얼마든지 볼 수 있으므로, 임칙서도 당시 상용으로 쓰인 삐침(丿)이 빠진 碑를 그대로 따라서 쓴 경우로 보는 견해가 정확하다.
䃍 떨어질 대 《說文》 陖也。从石㒸聲。
o 가파르게 떨어지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㒸 드디어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磒 떨어질 운 《說文》 落也。从石員聲。《春秋傳》曰 : 磒石于宋五。
o 떨어지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員 인원 원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춘추전》에서 이르기를 운석우송오(磒石于宋五)라고 한다.
o 운석(隕石)은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진 별똥을 가리킨다.

운석

䂹 부스러진 돌 색 《說文》 碎石磒聲。从石炙聲。
o 부스러진 돌이 떨어지는 소리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炙 구울 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硞 돌 소리 곡 《說文》 石聲。从石告聲。
o 돌에서 나는 소리이다.
o 石 돌 석을 다르고, 告 고할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硠 돌 부딪는 소리 랑(낭) 《說文》 石聲。从石良聲。
o 돌이 부딪쳐 나는 소리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良 어질 량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礐 돌 소리 각 《說文》 石聲。从石,學省聲。
o 돌에서 나는 소리이다.
o 石 돌 석을 다르고, 學 배울 학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硈 견고할 할, 견고할 갈 《說文》 石堅也。从石吉聲。一曰突也。
o 돌이 단단하다.
o 부스러진 돌이 떨어지는 소리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吉 길할 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突 갑자기 돌을 의미한다고 본다.
磕 돌 부딪는 소리 개, 돌 부딪치는 소리 갑, 돌 부딪치는 소리 갈 《說文》 石聲。从石盍聲。
o 돌이 부딪치는 소리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盍 덮을 합, 한단 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硻 굳을 갱, 돌 두드리는 소리 경 《說文》 餘堅者。从石,堅省。
磿 돌의 작은 소리 력(역), 조약돌 대그락대그락할 력() 《說文》 石聲也。从石厤聲。
o 돌이 굴러가는 소리를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厤 책력 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磛 산 험할 참 《說文》 礹,石也。从石斬聲。
o 돌이나 바위가 많은 돌산이고, 돌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斬 벨 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礹 돌산 암 《說文》 石山也。从石嚴聲。
o 돌산을 가리킨다.

돌산

o 石 돌 석을 따르고, 嚴 엄할 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礊 단단할 격, 채찍 소리 핵 《說文》 堅也。从石毄聲。
o 단단하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毄 부딪칠 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确 자갈땅 학, 바위 많을 각 《說文》 礊石也。从石角聲。
o 단단하게 굳은 돌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角 뿔 각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磽 메마른 땅 교 《說文》 礊石也。从石堯聲。
o 단단하게 굳은 돌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堯 높을 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硪 바위 아 《說文》 石巖也。从石我聲。
o 바위, 즉 매우 부피가 큰 돌을 가리킨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我 나 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상-은허갑골문

o 형성문자이다.
碞 험할 암 《說文》 磛嵒也。从石、品。《周書》曰 : 畏于民碞。讀與巖同。
o 험한 바위를 가리킨다.
o 石 돌 석, 品 물건 품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주서》에서 이르기를 외우민암(畏于民碞)이라 한다.
o 巖 바위 암과 같게 발음한다.
磬 경쇠 경 《說文》 樂石也。从石、殸。象縣虡之形。殳,擊之也。古者母句氏作磬。
o 돌로 만든 악기(chime stone, musical stone)이다.

편경

o 石 돌 석, 殸 소리 성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殳 몽둥이 수는 친다는 의미이다.
o 갑골문에서는 상형문자이고, 손에 막대를 들고 악기(편경)를 치는 모양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옛날 편경(編磬)를 처음 만든 사람은 모구씨(母句氏)이다.
o 편경은 ㄱ과 같은 모양의 돌을 매달아 치면서 소리가 나는 악기이다.

편경

o 편종은 쇠로 만든 종을 매달아 치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편종

礙 거리낄 애 《說文》 止也。从石疑聲。
硩 던질 척 《說文》 上摘巖空青、珊瑚墮之。从石折聲。《周禮》有硩蔟氏。
硟 다듬잇돌 천 《說文》 以石扞繒也。从石延聲。
o 다듬잇돌이다.

다듬잇돌

o 石 돌 석을 다르고, 延 늘일 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다듬잇돌은 옷감 따위를 다듬거나 바로잡기 위하여 두드릴 때 밑에 받치는 돌을 가리킨다.
碎 부술 쇄 《說文》 䃺也。从石卒聲。
o 돌을 갈다, 즉 돌을 단단한 물건 사이에 넣어 으깨다.
o 부수다(smash, break to pieces).
o 石 돌 석을 따르고, 卒 마칠 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破 깨뜨릴 파, 무너질 비, 무너질 피 《說文》 石碎也。从石皮聲。
o 돌을 부수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皮 가죽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礱 갈 롱(농) 《說文》 䃺也。从石龍聲。天子之桷,椓而礱之。
o 갈다.
o 멧돌을 가리키기도 한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龍 용 룡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천자의 써까래는 치고 갈아서 만든다.
《穀梁傳 莊公》 禮, 天子之桷, 斫之礱之, 加密石焉。 諸侯之桷, 斫之礱之。大夫斫之。 士斫本。
《곡량전 장공》 예, 천자지각, 작지롱지, 가밀석언。 제후지각, 작지롱지。대부작지。 사작본。
o 砻는 간체자이다.
研 갈 연, 벼루 연, 관 이름 형 《說文》 䃺也。从石幵聲。
o 갈다(grind, rub).
o 石 돌 석을 따르고, 幵 평평할 견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䂴 갈 연. 벼루 연 揅 갈 연 硏 갈 연, 벼루 연 硯 벼루 연, 갈 연은 같은 글자이다.
䃺 갈 마 《說文》 石磑也。从石靡聲。
o 맷돌을 가리킨다.

맷돌

o 石 돌 석을 따르고, 靡 갈 마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磑 맷돌 애 《說文》 䃺也。从石豈聲。古者公輸班作磑。
o 맷돌을 가리킨다.

맷돌에 곡물을 갈아 가루로 만드는 모습

o 石 돌 석을 따르고, 豈 어찌 기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옛날 처음 맷돌을 만든 사람은 공수반(公輸班)이다.
o 맷돌은 팥, 콩, 메밀, 녹두 등 곡물을 갈아 가루로 만들 때 사용하는 용구를 가리킨다.
碓 방아 대 《說文》 舂也。从石隹聲。
o 방아를 찧다(pound with a pestle).
o 용미(舂米)를 대미(碓米)라고도 한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隹 새 추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搗 찧을 도는 같은 의미이다.
o 방아(pestle)는 곡식 따위를 찧거나 빻는 기구를 가키키고, 특히 발로 디디어 곡식을 찧거나 빻게 된 방아를 디딜방아라 한다.
䂿 다시 찧을 답 《說文》 舂已,復擣之曰䂿。从石沓聲。
o 이미 찧어 둥글게 된 낟알을 다시 찧는 경우(refine)를 일컬어 䂿 다시 찧을 답이라 한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沓 겹칠 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磻 강 이름 반 《說文》 以石箸隿𦅾也。从石番聲。
𥗁 쪼갤 착 《說文》 斫也。从石箸聲。
硯 벼루 연, 갈 연, 곱고 윤택한 돌 견 《說文》 石滑也。从石見聲。
o 반드러운 돌, 매끄러운 돌을 가리킨다.
o 벼루(inkstone)이다.

벼루(중국)

o 石 돌 석을 따르고, 見 볼 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䂩 벼루 연 研 벼루 연은 같은 글자이다.
o 砚는 간체자이다.
砭 돌침 폄 《說文》 以石刺病也。从石乏聲。
o 병을 고치기 위하여 돌을 가지고 놓는 침을 가리킨다.
o 돌침(石針 stone needle used in acupuncture)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乏 모자랄 핍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䃒 자갈땅 핵, 자갈땅 격 《說文》 石也。惡也。从石鬲聲。
o 돌을 가리킨다.
o 차지지 아니하고 나쁜 땅(poor and barren of land, field which is not arable)이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鬲 막을 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砢 돌 쌓일 라(나), 마노 가 《說文》 磊砢也。从石可聲。
o 돌을 쌓다.

磊砢

o 石 돌 석을 따르고, 可 옳을 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磊 돌무더기 뢰(뇌) 《說文》 眾石也。从三石。
o 돌무더기를 가리킨다.

돌탑(마이산, 전북 진안)

o 세 개의 石 돌 석을 따른다.

설문해자
石石石

o 셋(三)은 많다는 의미이므로, 많은 바위가 무더기를 이루며 쌓여있다는 의미이다.
礪 거친 숫돌 려(여) 《說文》 䃺也。从石厲聲。經典通用厲。
碏 삼갈 작 《說文》 《左氏傳》 : 衞大夫石碏。《唐韻》云 : 敬也。从石,未詳。昔聲。
磯 물가 기 《說文》 大石激水也。从石幾聲。
碌 돌 모양 록(녹) 《說文》 石皃。从石彔聲。
砧 다듬잇돌 침 《說文》 石柎也。从石占聲。
砌 섬돌 체 《說文》 階甃也。从石切聲。
o 섬돌(stone steps)을 가리킨다.

섬돌

o 石 돌 석을 따르고, 切 끊을 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섬돌은 집채의 마루와 뜰을 오르내릴 수 있게 돌로 만든 층계을 가리킨다.
礩 주춧돌 질 《說文》 柱下石也。从石質聲。
礎 주춧돌 초 《說文》 礩也。从石楚聲。
o 주춧돌을 가리킨다.

주춧돌

o 石 돌 석을 따르고, 楚 초나라 초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주춧돌(foundation stone, footstone)은 건물의 기초를 튼튼히 하기 위해 기둥 밑에 괴는 돌이다.
硾 찧을 추 《說文》 擣也。从石垂聲。
o 찧다.
o 石 돌 석을 따르고, 垂 드리울 수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石(돌석)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破 깨뜨릴 파 砲 돌쇠뇌 포 硏 갈 연 硬 굳을 경 硯 벼루 연 碑 돌기둥 비 碧 푸를 벽 確 굳을 확 磨 갈 마 礎 주춧돌 초

[石(돌 석)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佦 미상 㓈 나는 소리 빙 𠰴 미상 坧 터 척 妬 샘낼 투 拓 넓힐 척, 주울 척, 박을 탁 沰 떨어뜨릴 탁 柘 산뽕나무 자 炻 오지그릇 석 祏 위패 석 䄷 섬 석 䇉 헥토리터 립(입) 袥 잠방이 탁 䖨 곤충 이름 석 䞠 갈 척 跖 밟을 척 鉐 놋쇠 석 鮖 지명 석 鼫 석서 석
劯 강할 저 斫 벨 작 䲽 할미새 석
宕 호탕할 탕 䦒 문이 열리지 아니할 탕
岩 바위 암 沯 찰랑거릴 석 雼 굴방 탕
乭(한국한자) 이름 돌 㸴(한국한자) 음역자 소 𧵔 미상 𨀂 미상
唘 열 계 䀾 많을 도 㻹 틈 현

[English] shí
rocks / stones / minerals, etc.
calculus, as a kidney calculus (commonly known as a kidney stone)
stone tablets / medicines
barren, as a barren woman
name of an ancient musical instrument
[English] dàn
a dry measure for grains roughly equivalent to 1 20-1 60 pounds
a weight measure equivalent to about 1

[疊字] 石砳磊
石 돌 석
砳 [lè] 돌소리 력
磊 [lěi] 돌무더기 뢰 《說文》 眾石也。从三石。

[成語]

水落石出(수락석출)

물이 마르니 돌이 드러나다.

일의 진상이 밝혀지다.

the water recedes and the rocks appear

truth being revealed

 

欧阳修 《醉翁亭记》 野芳发出幽香;佳木秀而繁阴;风霜高洁;水落而石出者;山间之四时也。

구양수 《취옹정기》 야방발출유향;가목수이번음;풍상고길;수락이석출자;산간지사시야。

 

試劍石(시검석) 
검이 얼마나 날카로운지를 시험한 돌을 시검석(sword testing rock)이라 한다.
중국 소주에 있는 호구(虎丘 Tiger Hill)에는 춘추전국시대에 명검을 좋아한 오왕합려가 간장(干將)이라는 장인이 만든 명검을 시험한 시검석이 있고, 오왕합려가 내려친 명검에 의하여 둘로 갈라져 있는 바위가 아직까지도 그대로 있다.

중국에서는 자연적인 풍화작용에 의하여 둘로 갈라진 바위를 흔히 시검석이라 부른다.


三生石(삼생석) [sān shēng shí]
전생(前生)의 인연을 연결시켜 주는 바위
중국 항주에 있는 천축사(天竺寺)라고 하는 사찰에 있는 바위이며, 당나라의 고승 원택(圓澤)과 이원선(李源善)이라는 사람이 친한 친구 사이로 지내다가 원택이 입적(入寂 - 승려의 죽음을 높여 부르는 용어)한 후에 임신한 지 3년이 지난 부인의 아기로 환생하게 되고, 그로부터 13년이 지나 다시 이원선과 재회하여 전생의 인연이 이루어진 장소라 한다.

三生石

 

'第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9. 勿 말 물  (0) 2021.09.11
358. 長 길 장  (0) 2021.09.11
356. 危 위태할 위  (0) 2021.09.11
355. 丸 둥글 환  (0) 2021.09.11
354. 厂 기슭 엄  (0) 2021.09.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