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31. 日 날 일, 해 일

by kimlaw 2021. 7. 31.

《說文》 實也。太陽之精不虧。从囗一。象形。
o 가득 차 있다.
o 태양의 빛은 어그러지지 아니한다.
o 囗 둘레 위, 一 한 일을 따른다.

설문해자
秦-李斯 《峄山刻石》

o 대표적인 상형문자이고, 해(Sun)를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戰國

o 曰 가로 왈과 혼동하기 쉬우나, 曰 가로 왈은 日 날 일보다 더 넓고 더 작다(wider and shorter).
o 囸 날 일은 고문이다.
o 囗 둘레 위와 乙 새 을을 따르고, 해 안에 새(乙)가 날아가는 모양을 본뜬 글자도 있다.

元-赵孟頫
达受

o 전설상 해에는 삼족오(三足烏)가 산다고 하며, 해를 달리 금오(金烏)라고도 한다.
o 囸 날 일은 고자(古字)이다.
o 부수명칭은 「날일」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にち, ひへん, にちへん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日字旁(일자방), 日字頭(일자두)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sun이라 한다.

[日部]
旻 하늘 민, 가을 하늘 민 《說文》 秋天也。从日文聲。
o 가을 하늘을 뜻한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文 글월 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旼 하늘 민은 동음동의이다.
時 때 시 《說文》 四時也。从日寺聲。
o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season)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寺 절 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秦-李斯 《峄山刻石》

o 형성문자이다.
o 旹 때 시는 고자(古字)이다.

戰國

o 㫭 때 시는 동음동의이다.
o 时는 간체자이다.
早 일찍 조, 이를 조 《說文》 晨也。从日在甲上。
o 해가 나오는 새벽(early morning)을 뜻한다.
o 甲 갑옷 갑 위에 해(日)가 떠 있는 모양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甲 갑옷 갑은 첫째 천간(天干)으로서 처음(first)이라는 의미이므로, 해가 처음 떠오르다(the sun first rises)고 하는 의미가 된다.
o 상형문자로 도토리를 나태내고, 남의 집에 매여 일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皂 하인 조의 본자(original form)라고 보며, 하인은 새벽부터 일을 하므로, 가차되어 早 새벽 조로 사용되고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o 후에 금문에서는 日 해 일을 따르고, 棗 대추 조 혹은 朿 가시 자를 성부로 하는 형성문자로 쓰기도 한다.
o 아래에 있는 甲 갑옷 갑이 후에는 十 열 십으로 변하고, 十 열 십은 해가 떠올라 어둠을 물리치고 햇살이 동서남북의 사방으로 퍼져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o 早는 日十, 즉 日 해 일과 十 열 십으로 구성된다.
昒 새벽 물, 새벽 홀 《說文》 尚冥也。从日勿聲。
o 아직 어둡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勿 말 물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昧 어두울 매 《說文》 爽,旦明也。从日未聲。一曰闇也。
o 날이 새다, 즉 해가 뜨기 직전의 어둑어둑한 새벽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未 아닐 미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闇 숨을 암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금문을 보면 해(日)가 나무를 나타내는 未 아닐 미 아래에 있으므로, 아직 해가 뜨지 않아 어둡다는 의미이다.

戰國

o 어둑새벽, 즉 밤이 샐 무렵을 가리키므로, 아직 날이 어둡다는 의미이다.
《广雅》 昧,冥也。
《엄아》 매,명야。
暏 새벽 서, 먼동 틀 도 《說文》 旦明也。从日者聲。
o 해가 뜨기 직전의 어둑어둑한 새벽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者 사람 자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曙 새벽 서는 같은 글자이다.
晢 밝을 절, 별 빛날 제, 별 반짝반짝할 제 《說文》 昭晣,明也。从日折聲。
o 소절(昭晣)이라 하고, 밝다(bright)는 의미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折 꺽을 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晣 밝을 절 㫼 별빛 제( light of stars)는 같은 글자이다.
昭 밝을 소, 밝을 조, 비출 조 《說文》 日明也。从日召聲。
o 해가 밝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召 부를 소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晤 밝을 오, 총명할 오, 만날 오 《說文》 明也。从日吾聲。
o 밝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吾 나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旳 밝을 적 《說文》 明也。从日勺聲。
o 밝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勺 구기 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晄 밝을 황 《說文》 明也。从日光聲。
o 밝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光 빛 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晃 밝을 황 兤 불 밝을 황은 같은 글자이다.
曠 밝을 광, 빌 광 《說文》 明也。从日廣聲。
o 밝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廣 넓을 광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昿 밝을 광, 빌 광 懬 밝을 광, 빌 광은 같은 그라이다.
o 爌 불빛 환할 광, 밝을 황은 같은 의미이다.
o 旷는 간체자이다.
旭 아침 해 욱 《說文》 日旦出皃。从日九聲。若勖。一曰明也。
o 아침에 해가 나오는 모양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九 아홉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勖 힘쓸 욱과 같게 발음한다.
o 일설은 明 밝을 명과 같은 글자라고 본다.
晉 [jìn] 나아갈 진, 나라 이름 진, 진나라 진 《說文》 進也。日出萬物進。从日从臸。
o 나아가다(advance, increase, promote).
o 해가 나오면 만물이 자라며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周晩

o 日 날 일을 따르고, 臸 이를 진을 따른다.

戰國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晉 나라 이름 진, 진나라 진으로도 쓰고, 진나라(晉國 Chinese feudal state of Jin (11th century B.C.E.–376 B.C.E.), a state of the Zhou Dynasty in northern China )와 진왕조(晉朝 Chinese Jin dynasty (265–420) )를 가리킨다.

 

 

중국의 왕조

중국역사에서의 왕조(Dynasties in Chinese history) ▮ 하(夏 Xia) 2070 – 1600 B.C.E. ▮ 상(商 Shang, 殷 Yin) 1600 – 1046 B.C.E. ▮ 주(周 Zhou) 1046 – 256 B.C.E. ▯ 서주(西周 Western Zhou) ▯ 동주(東周 Eastern Zhou) 춘추(

hanzischool.tistory.com

 

暘 해돋이 양 《說文》 日出也。从日昜聲。
o 해가 막 솓아오르다.
o 해돋이(rising sun)를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昜 볕 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旸는 간체자이다.
晵 비 갤 계 《說文》 雨而晝夝也。从日,啓省聲。
o 비가 오다가 낮이 되어 개다.
o 비가 오다가 밤에 별이 뜨면(雨而夜除星見) 夝 맑을 청이라 하고, 비가 오다가 낮에 해가 뜨면(雨而晝除見日) 晵 비 갤 계라 한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啓 열 개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비가 갠 후에 창문을 열어 해가 방 안으로 들어오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晹 해 반짝 날 역 《說文》 日覆雲暫見也。从日易聲。
o 구름에 덮힌 해가 반짝 나오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易 바꿀 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昫 따듯할 후, 따뜻할 구 《說文》 日出溫也。从日句聲。北地有昫衍縣。
해가 돋아 따뜻하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句 글귀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북쪽에 있는 지방에 구연현(昫衍)이라는 고을이 있다.
晛 햇살 현, 햇살 년 《說文》 日見也。从日从見,見亦聲。
o 해가 나다.
o 햇살(sunlight)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見 나타날 현을 따른다.

설문해자

o 見 나타날 현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㬗 햇살 년은 같은 글자이다.
晏 늦을 안 《說文》 天清也。从日安聲。
o 하늘이 맑다(sunny).
o 日 해 일을 따르고, 安 편안할 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晏 늦을 안(late in the day)으로도 쓰이고, 旰 해 질 간, 해 질 한과 통한다.
《論語 子路》 冉子退朝。子曰 : 何晏也?
《논어 자로》 염자퇴조。자왈 : 하안야?
염자(공자의 제자)가 조정에서 물러난다. 마침 염자를 만난 공자가 “어찌 그리 늦게 퇴조(退朝)하는가” 하고 묻다.
The disciple Ran returning from the court, the Master said to him, "How are you so late?“
㬫 날이 갤 연 《說文》 星無雲也。从日燕聲。
o 별이 뜨고 구름은 없는 맑은 하늘(clear sky)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燕 제비 연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曣 청명할 연(a fine day)은 같은 글자이다.
景 볕 경, 그림자 영 《說文》 光也。从日京聲。
o 볕(sunlight)을 뜻한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京 서울 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暻 볕 경은 같은 글자이다.
晧 밝을 호 《說文》 日出皃。从日告聲。
o 해가 떠오르는 모양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告 고할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暤 밝을 호, 짖을 호 《說文》 晧旰也。从日臯聲。
𣋌 빛날 엽 《說文》 光也。从日从𠌶。
暉 빛 휘 《說文》 光也。从日軍聲。
o 빛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軍 군사 군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輝 빛날 휘는 같은 의미이다.
o 晖는 간체자이다.
旰 해 질 간 《說文》 晚也。从日干聲。
o 해가 저물다(sunset).
o 日 해 일을 따르고, 干 방패 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暆 해 기울 이 《說文》 日行暆暆也。从日施聲。樂浪有東暆縣。
晷 그림자 구, 그림자 귀 《說文》 日景也。从日咎聲。
昃 기울 측 《說文》 日在西方時。側也。从日仄聲。
o 해가 자오선을 넘어 서쪽으로 기우는 무렵(the sun in the afternoon sky)이다.
o 側 기울 측과 같은 의미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仄 기울 측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사람(大)의 아래 혹은 어깨 넘어로 해(日)가 기울고 있는 모양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戰國

o 昃는 日厂人, 즉 日 해 일과 厂 기슭 엄, 人 사람 인으로 구성되고, 기슭 아래에 사람이 모여 살고, 그 기슭 위로 해가 넘어간다는 의미이다.
o 昗 기울 측과 동음동의이다.
o 측식소의(昃食宵衣)는 “해가 진 뒤에야 밥을 먹고, 아직 날이 새기도 전에 옷을 입다”, 즉 임금이 침식을 잊고 나라 일에 열중한다는 의미이다.
晚 늦을 만 《說文》 莫也。从日免聲。
o 해가 저물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免 면할 면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昏 어두울 혼 《說文》 日冥也。从日氐省。氐者,下也。一曰民聲。
o 해가 져서 어둡다.
o 日 해 일, 氐 근본 저의 생략형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氐 근본 저는 아래를 가리킨다.
o 해(日)가 아래(氐)로 가라앉고 있다는 의미이다.
o 일설은 백성의 소리라고 한다.
o 昏는 氏日, 즉 氏 각시 씨와 日 해 일로 구성된다.
o 황혼(黃昏)은 해질 무렵(dusk)을 가리킨다.
o 昬 어두울 혼은 같은 글자이다.
曫 땅거미 질 란(난) 《說文》 日旦昏時。从日䜌聲。
o 해가 진 뒤 어스레한 동안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䜌 어지러울 란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晻 어두울 암, 음우 엄, 햇빛 침침할 엄 《說文》 不明也。从日奄聲。
o 어둡다(dark).
o 日 해 일을 따르고, 奄 문득 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暗 어두울 암은 같은 글자이다.
暗 어두울 암 《說文》 日無光也。从日音聲。
o 햇빛이 없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音 소리 음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晻 어두울 암 隌 어두울 암 闇 어두울 암은 같은 글자이다.
o 明 밝을 명에 상대되는 글자이다.
晦 그믐 회 《說文》 月盡也。从日每聲。
o 달이 다 없어지다.
o 그믐(last day of the lunar month)을 가리킨다.
《论衡 四讳》 三十日日月合宿,谓之晦。
《논형 사휘》 삼십일일월합숙,위지회。
o 日 해 일을 따르고, 每 매양 매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𣉘 흐릴 내 《說文》 埃𣉘,日無光也。从日能聲。
曀 구름 낄 예, 음산할 에, 티끌 예 《說文》 陰而風也。从日壹聲。《詩》曰: 終風且曀。
旱 가물 한 《說文》 不雨也。从日干聲。
o 오래도록 비가 오지 않다.
o 가물(drought)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干 일꾼 한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晘 가물 한은 같은 글자이다.
㫐 아득히 합할 요 《說文》 望遠合也。从日、匕。匕,合也。
昴 별자리 이름 묘 《說文》 白虎宿星。从日卯聲。
曏 접때 향, 향할 향, 성씨 상 《說文》 不久也。从日鄉聲。
曩 접때 낭 《說文》 曏也。从日襄聲。
昨 어제 작 《說文》 壘日也。从日乍聲。
o 오늘의 바로 전날(上一天 yesterday)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乍 일어날 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暇 겨를 가, 틈 가《說文》 閑也。从日叚聲。
o 한가하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叚 빌릴 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暫 잠시 잠, 잠깐 잠 《說文》 不久也。从日斬聲。
o 오래지 않다.
o 잠시, 잠깐(temporary)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斬 벨 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蹔 잠시 잠은 같은 글자이다.
o 暂은 간체자이다.
昪 기뻐할 변 《說文》 喜樂皃。从日弁聲。
昌 창성 창, 창성할 창 《說文》 美言也。从日从曰。一曰日光也。《詩》曰 : 東方昌矣。
o 듣기 좋은 말씀, 훌륭한 말씀을 가리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曰 가로 왈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일설은 햇빛(light of sun)을 가리킨다고 본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동방창의(東方昌矣), 즉 “동방이 창성한다”고 한다.
暀 빛 고울 왕 《說文》 光美也。从日往聲。
o 빛이 곱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往 갈 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昄 클 판 《說文》 大也。从日反聲。
o 크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反 돌이킬 반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昱 햇빛 밝을 욱 《說文》 明日也。从日立聲。
o 밝은 햇빛(bright sunlight)을 가리킨다.
o 昱 빛날 욱으로도 쓰인다.
《太玄》 日以昱乎昼,月以昱乎夜。
《태현》 일이욱호주,월이욱호야。
해가 빛나면 晝 낮 주라고 부르고, 달이 빛나면 夜 밤 야라고 부른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叚 빌릴 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煜 빛날 욱은 같은 글자이다.
㫱 찔 난 《說文》 溫溼也。从日,赧省聲。讀與赧同。
o 따뜻한 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赧 얼굴 붉힐 난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赧 얼굴 붉힐 난과 같게 발음한다.
暍 더위 먹을 갈, 더위 먹을 알 《說文》 傷暑也。从日曷聲。
o 더위를 먹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曷 어찌 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暑 더울 서 《說文》 熱也。从日者聲。
o 덥다(hot).
o 日 해 일을 따르고, 者 사람 자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찰 한에 상대되는 글자이다.

易 系辞一寒一暑

역 계사일한일서

o 日耂丶日, 날 일과 늙을로엄 로, 점 주, 날 일로 구성된다.

o 사람 자를 쓸 때에 한국에서는 강희자전과 같이 해 일 위에 점 주를 찍으나, 현재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점 주 없이 해 일로만 쓴다.

o 마을 서와 비슷하나, 서로 다른 글자이다.

㬮 따뜻할 난 《說文》 安㬮,温也。从日難聲。
㬎 드러날 현 《說文》 衆微杪也。从日中視絲。古文以為顯字。或曰衆口皃。讀若唫唫。或以為繭;繭者,絮中往往有小繭也。
㬥 사나울 포 《說文》 晞也。从日从出,从𠬞从米。
曬 쬘 쇄 《說文》 㬥也。从日麗聲。
暵 말릴 한, 마를 한 《說文》 乾也。耕㬥田曰暵。从日堇聲。《易》曰 : 燥萬物者莫暵于離。
晞 마를 희 《說文》 乾也。从日希聲。
o 마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希 바랄 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昔 예 석, 섞일 착 《說文》 乾肉也。从殘肉,日以晞之。與俎同意。
o 마른 고기를 뜻한다.
o 설문해자는 남은 고기(殘肉 仌仌)를 따르고, 햇볕(日)에 말리는 모양이라고 본다.

商-殷墟甲骨文
설문해자

o 腊 포 석의 본자(original form)라고 본다.
o 홍수가 넘쳐 해(日 sun)가 물속에 잠긴 모양을 상형하고, 옛적(the former times)을 의미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商-殷墟甲骨文

o 㫺 예 석(long ago)은 고자(古字 ancient form)이다.
o 昔은 龷日, 즉 龷 미상과 日 날 일로 구성된다.
o 借 빌릴 차 徣 빌릴 차 惜 아낄 석 醋 초 초 錯 어긋날 착 耤 짓밟을 적 猎 개 이름 작, 짐승 이름 석, 사냥 렵(엽)은 昔예 석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이다.
o 俎 도마 조와도 같은 의미이다.
暱 친할 닐(일) 《說文》 日近也。从日匿聲。《春秋傳》曰 : 私降暱燕。
𣊓 행동이 거만하고 무례할 설 《說文》 日狎習相慢也。从日執聲。
㫘 숨을 밀, 희미할 밀 《說文》 不見也。从日,否省聲。
o 나타나지 않고, 숨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否 막힐 비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㫘는 不日, 즉 不 아닐 불과 日 해 일로 구성된다.
o 㸓 희미할 밀은 같은 글자이다.
昆 형 곤, 맏 곤, 벌레 곤, 뒤섞일 혼 《說文》 同也。从日从比。
o 같이하다(together).
o 日 해 일을 따르고, 比 견줄 비를 따른다.

설문해자

o 두 사람이 햇빛을 받으며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걸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o 회의문자이다.
o 昆 형 곤, 맏 곤(elder brother)으로도 쓰이고, 㒭 형 곤 晜 형 곤은 같은 글자이다.
《广韵》 昆,兄也。
《엄운》 곤,형야。
晐 갖출 해. 갖출 개 《說文》 兼晐也。从日亥聲。
普 두루 보, 널리 보, 넓을 보 《說文》 日無色也。从日从並。
o 햇빛이 없다(dusky)
o 日 해 일을 따르고, 並 나란히 병을 따르다.

설문해자

o 해(日)가 아래에 있으므로, 해가 저물어 어둡다는 의미이고, 어두워 원근(遠近)을 구별할 수 없으므로, 두 사람이 나란히 서 있는 모양(並)이다.
o 회의문자이다.
o 暜 두루 보는 본자(本字)이다.
曉 새벽 효, 밝을 효 《說文》 明也。从日堯聲。
o 밝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堯 요임금 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暁 새벽 효 皢 새벽 효(dawn, daybreak)는 같은 글자이다.
o 晓는 간체자이다.
昕 아침 흔 《說文》 旦明,日將出也。从日斤聲。讀若希。
o 밝은 아침을 가리키고, 해가 막 떠오르고 있다는 의미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斤 도끼 근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아침이 되어 창문으로 햇빛이 들어오는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o 希 바랄 희와 같게 발음한다.
曈 동틀 동 《說文》 曈曨,日欲明也。从日童聲。
o 어슴프레 먼동이 트다(twilight just before sunrise), 즉 날이 새어 해가 밝아 오려 한다는 의미이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童 아이 동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晍 먼동 틀 동은 같은 글자이다.
曨 어스레할 롱(농) 《說文》 曈曨也。从日龍聲。
o 어스레하다, 즉 조금 어둑한 듯하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龍 용 룡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昽는 간체자이다.
昈 환히 호 《說文》 明也。从日戶聲。
昉 마침 방 《說文》 明也。从日方聲。
晙 밝을 준 《說文》 明也。从日夋聲。
晟 밝을 성 《說文》 明也。从日成聲。
昶 밝을 창, 해 길 창, 트일 창 《說文》 日長也。从日、永。會意。
o 해가 길다.
o 日 해 일, 永 길 영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暈 무리 훈, 어지러울 운 《說文》 日月气也。从日軍聲。
晬 돌 수 《說文》 周年也。从日、卒,卒亦聲。
映 비출 영 《說文》 明也。隱也。从日央聲。
曙 새벽 서 《說文》 曉也。从日署聲。
昳 기울 질 《說文》 日𣅦也。从日失聲。
曇 흐릴 담 《說文》 雲布也。从日、雲。會意。
o 구름이 퍼지다(become cloudy).
o 日 해 일, 雲 구름 운을 따른다.

설문해자

o 구름이 해를 가리고 있으므로, 흐리다(overcast)는 의미이다.

구름 위에는 여전히 햇빛이 있다

o 회의문자이다.
o 昙은 간체자이다.
曆 책력 력(역) 《說文》 厤象也。从日厤聲。《史記》通用歷。
o 해와 달과 별의 운행을 헤아리다.
o 日 해 일을 따르고, 厤 책력 력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사기》에서는 歷 지낼 력(calendar)과 같은 글자로 통용된다.
o 历은 간체자이다.
昂 오를 앙, 임금 덕 높을 앙, 밝을 앙 《說文》 舉也。从日卬聲。
o 오르다(raise).
o 日 해 일을 따르고, 卬 나 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昻 밝을 앙은 같은 글자이다.
昇 오를 승 《說文》 日上也。从日升聲。古只用升。
o 해가 떠 오르다.

일출(호미곶, 경북 포항)

o 日 해 일를 따르고, 升 오를 승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고대에는 단지 升 오를 승만으로 쓰기도 한다.
o 陹 오를 승은 같은 글자이다.

[日(날일)은 변에 부수로 들어간 글자]
明 밝을 명 昭 밝을 소 映 비출 영 昨 어제 작 時 때 시 晩 저물 만 晴 갤 청 暇 겨를 가 暖 따뜻할 난 暗 어두울 암 曜 빛날 요 曉 새벽 효

[日(날일)이 머리에 부수로 들어간 글자]
旦 아침 단 早 새벽 조 旱 가물 한 昇 오를 승 易 바꿀 역 昌 창성할 창 是 옳을 시 星 별 성 晨 새벽 신 暑 더울 서 暢 펼 창 暮 저물 모 暴 사나울 포 景 볕 경

[日(날일)이 발에 부수로 들어간 글자]
昔 예 석 旬 열흘 순 昏 어두울 혼 晝 낮 주 春 봄 춘 普 널리 보 智 슬기 지 暫 잠시 잠 曆 책력 력(역)

[日(날 일)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𡥌 미상 抇 어지럽힐 골, 팔 홀 汨 골몰할 골, 물 이름 멱 阳 볕 양 衵 속속곳 일 𥿀 미상 蚎 팽월 월 𧿭 미상 鈤 게르마늄 일 馹(驲) 역말 일 䵒 차질 닐(일)
欥 오직 율, 기뻐할 일 炚 빛 광 甠 날이 갤 청
圼 막을 녈(열) 妟 편안할 안 杲 밝을 고, 밝을 호 炅 빛날 경, 연기 날 영, 연기날 계
㒲 재물 재, 저물 모 㞱 저물 총 䒤 풀 이름 일 杳 아득할 묘, 아득할 요 沓 겹칠 답 㸓 미상 者 사람 자 香 향기 향 音 소리 음, 그늘 음 亯 드릴 향, 형통할 형, 삶을 팽 耆 늙을 기, 이룰 지 孴 성한 모양 의, 모이는 모양 닙(입), 많은 모양 읍 稥 미상 𡾡 미상
𨑨 가까울 질 䖑 백호 멱 䫻 큰 바람 율
氜 볕 양
𤵖 미상
間(间) 사이 간

[English] rì
sun

태양

day, twenty-four hours
daily, every day, day-to-day
daytime, time between sunrise and sunset
Japan, Japanese 日本

일본


[疊字] 日昍晶
日 날 일, 해 일

日(해)

昍 [xuān] 밝을 훤

日日(해해)

晶 [jīng] 밝을 정 《說文》 精光也。从三日。brilliant, glittering

日日日(해해해)


[관련한자] 旵昗昃
旵(日出山上) [chǎn] 햇살 비칠 참

旵-해가 산 위에서 환하게 비추다

昗(太陽偏西) [zè] 해 기울 측

昗-오후 6시에 본 황혼(黃昏)

昃(太陽西斜) [zè] 기울 측 post meridian, oblique

昃-해가 서쪽으로 기울다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6. 晶 밝을 정  (0) 2021.07.31
235. 冥 어두울 명  (0) 2021.07.31
234. 㫃 깃발 나부낄 언  (0) 2021.07.31
233. 倝 햇빛이 빛나는 모양 간  (0) 2021.07.31
232. 旦 아침 단  (0) 2021.07.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