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回也。象回帀之形。
o 둘레를 가리킨다.
o 둘러싼 모양(a fenced enclosure)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囗는 冂一, 즉 冂 멀 경과 一 한 일로 구성된다.
o 圍 에워쌀 위의 고자(ancient form)로 보는 견해도 있다.
o 國 나라 국과 같은 글자로 쓰기도 한다.
o 부수명칭은 「큰입구」, 「큰입구몸」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国 나라 국에서 둘러싸는 부수라는 의미에서 くにがまえ(国構え)라 하고, 중국에서는 大口框(대구광), 国字框(국자광)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enclosure라 한다.
[囗部]
圜 둥글 원, 두를 환 《說文》 天體也。从囗瞏聲。
o 하늘의 형상(sky)을 가리킨다.
o 둥글다(circle).
《墨子 經上》 圜,一中同長也。
《묵자 경상》 환,일중동장야。
o 천체와 같이 뒤섞여 둥글면 圜 둥글 원이라 하고(渾圓爲圜), 평평하게 둥글면 圓 둥글 원이라 한다(平圓爲圓).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瞏 놀라서 볼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團 둥글 단, 경단 단, 덩어리 단 《說文》 圜也。从囗專聲。
o 둥글다.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專 오로지 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채마밭(圃) 혹은 채소밭에서 채마나 채소를 심어 가꾸는 모양을 상형한다.
o 团는 간체자이다.
o 団는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약자)이다.
㘣 그림쇠 선, 그림쇠 현, 둥글 선 《說文》 規也。从囗肙聲。
o 하늘과 같이 둥글다(規卽象天體之圜也, round, circular).
《集韻》 與圜同。
《집운》 여환동。
o 원형(圓形)을 그리는 기구(compasses)를 가리킨다.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肙 장구벌레 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그림쇠는 지름이나 선의 거리를 재는 기구를 가리키기도 한다.
囩 돌 운 《說文》 回也。从囗云聲。
o 돌다.
o 고대중국에서 토지의 면적을 재는 단위이고, 12경(頃)에 해당한다.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云 구름 운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구름이 도는 모양을 나타낸다.
圓 둥글 원, 화폐 단위 엔 《說文》 圜全也。从囗員聲。
o 온전히 둥글다(round, circular].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員 둥글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方 모 방은 상대되는 글자이다.
o 하늘에 난 길을 둥글고, 땅에 난 길은 모가 난 모양이라고 한다.
《大戴禮記 曾子天圓》 天道曰圓,地道曰方。
《대대례기 증자천원》 천도왈원,지도왈방。
o 오른손으로는 원을 그리고, 왼손으로는 모를 그린다고 한다.
《韓非子》 右手畫圓,左手畫方。
《한비자》 우수화원,좌수화방。
o 円 화폐 단위 엔, 둥글 원 員 둥글 원 圎 둥글 원은 같은 글자이다.
o 圆은 간체자이다.
回 돌 회 《說文》 轉也。从囗,中象回轉形。
o 돌다.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중앙에서 회전하는 모양을 상형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囘 돌 회는 본자(本字)이다.
《字彙 口部》 囘,回本字。
《자휘 구부》 회,회본자。
o 하늘에서 구름이 도는 모양을 상형한다.
o 囬 돌 회는 속자(俗字)이다.
圖 그림 도 《說文》 畫計難也。从囗从啚。啚,難意也。
圛 맴돌 역 《說文》 回行也。从囗睪聲。
國 나라 국 《說文》 邦也。从囗从或。
o 나라(nation, country, state)를 가리킨다.
o 큰 나라는 邦 나라 방이라 하고, 작은 국가는 國 나라 국이라 한다(大曰邦, 小曰國).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或 나라 역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囗 둘레 위는 나라의 영토를 표시한다.
o 䆐 나라 국은 고자(古字)이다.
o 囗 나라 국은 역시 고자이다.
o 囯 나라 국 囶 나라 국 囻 나라 국 圀 나라 국 或 나라 역은 같은 글자이다.
o 国은 간체자이고,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약자)이다.
o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가족을 보살펴 가정을 화목하게 한 후에 나라를 다스려야 천하가 바르게 된다는 의이미다..
《大學》 物格而后知至,知至而后意誠,意誠而后心正,心正而后身脩,身脩而后家齊,家齊而后國治,國治而后天下平。
《대학》 물격이후지지,지지이후의성,의성이후심정,심정이후신수,신수이후가제,가제이후국치,국치이후천하평。
Things being investigated, knowledge became complete. Their knowledge being complete, their thoughts were sincere. Their thoughts being sincere, their hearts were then rectified. Their hearts being rectified, their persons were cultivated. Their persons being cultivated, their families were regulated. Their families being regulated, their States were rightly governed. Their States being rightly governed, the whole kingdom was made tranquil and happy.
𡈋 궁궐 안의 길 곤 《說文》 宮中道。从囗,象宮垣、道、上之形。
囷 곳집 균 《說文》 廩之圜者。从禾在囗中。圜謂之囷,方謂之京。
o 둥근 곳집(round-shaped storage bin for grain)이다.
o 囗 둘레 위 안에 벼(禾)가 있는 모양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곳집이 둥근 경우에는 囷 곳집 균이라 하고, 곳집이 네모난 경우에는 京 창고 경이라 한다.
o 둥근 곳집(round granary)은 囷 곳집 균이라 하고, 네모난 곳집은 鹿 곳집 록이라고 한다(圆曰囷, 方曰鹿).
圈 우리 권 《說文》 養畜之閑也。从囗卷聲。
o 가축을 키우는 우리(pen, fold, sty)를 가리킨다.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卷 책 권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囿 동산 유 《說文》 苑有垣也。从囗有聲。一曰禽獸曰囿。
o 담으로 둘러싸인 동산(garden with enclosing wall)을 가리킨다.
o 고대중국에서 제왕이 짐승을 키운 동산을 의미한다.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有 있을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금수(禽獸)를 일컬어 囿 동산 유라고 한다고 본다.
o 일설은 담이 있는 정원은 苑 나라 정원 원이라 하고, 담이 없는 정원은 囿 동산 유라고 한다고 보기도 한다,
《字林》 有垣曰苑,无垣曰囿。
《자림》 유원왈원,무원왈유。
園 동산 원 《說文》 所以樹果也。从囗袁聲。
o 열매가 열리는 나무를 심는 동산(garden)을 가리킨다.
《三蒼》 種樹曰園。
《삼창》 종수왈원。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袁 옷 길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园 동산 원 薗 동산 원은 같은 글자이다.
圃 채마밭 포, 밭 포 《說文》 穜菜曰圃。从囗甫聲。
o 채마(菜麻)를 심는 밭(cultivated field)을 圃 채마밭 포라고 한다.
o 囗 둘레 위를 따르고, 甫 남새밭 포, 채마밭 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圑 채마밭 포 甫 남새밭 포, 채마밭 포는 같은 글자이다.
因 인할 인 《說文》 就也。从囗、大。
o 자리를 잡다.
o 囗 둘레 위, 大 큰 대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大 큰 대는 사람을 가리킨다.
o 갑골문을 보면 사람이 수레 안에 깐 자리에 있는 모양(象人在车席子上)을 따르고, 茵 자리 인의 본자라고 본다.
o 금문에서는 옷을 입은 사람을 상형하고, 裀 겹옷 인의 초문(初文)으로 보기도 한다.
㘝 사사로이 취하는 모양 닙, 훔쳐갈 닙, 그물 남 《說文》 下取物縮藏之。从囗从又。
囹 옥 령 《說文》 獄也。从囗令聲。
圄 옥 어 《說文》 守之也。从囗吾聲。
囚 가둘 수 《說文》 繫也。从人在囗中。
固 굳을 고 《說文》 四塞也。从囗古聲。
圍 둘레 위, 에워쌀 위 《說文》 守也。从囗韋聲。
困 곤할 곤 《說文》 故廬也。从木在囗中。
圂 뒷간 혼 《說文》 廁也。从囗,象豕在囗中也。會意。
o 뒷간을 가리킨다.
o 囗 에워쌀 위를 따른다.
o 돼지(豕)가 우리(囗) 안에 있는 모양이다.
o 설문해자는 회의문자라고 본다.
o 본래 뒷간은 뒤쪽에 있는 방이라는 의미이나,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시설로 달리 측간(廁間), 칙간, 변소(便所), 절에서는 해우소(解憂所)라 부르기도 하며, 현재는 보통 화장실로 일컫는다.
囮 후림새 와 《說文》 譯也。从囗、化。率鳥者繫生鳥以來之,名曰囮。讀若譌。又音由。
[囗(큰입구)가 부수로 들어간 글자]
四 [sì] 넉 사(亖) 囚 [qiú] 가둘 수 囜 [nín] 어질 인 㘝 [niǎn] 사사로이 취하는 모양 닙 㘞 [huò] 배 끄는 소리 화 回(囘) [huí] 돌 회 因(囙) [yīn] 인할 인 囡 [nān] 아이 닙 囝 [jiǎn] 아이 건 囟 정수리 신 團(団 团) [tuán] 무리 단 㘟 구멍 창 圍(囗 围 囲) [wéi] 둘레 위 國(囗 囯 国 囶 囻 圀) [guó] 나라 국 country; state; nation 囱 굴뚝 창(창 창) 囪 굴뚝 창 困 [kùn] 괴로울 곤 tired out; exhausted 囤 [dùn] 창고 돈 囫 [hú] 온전할 홀 圇(囵) [lún] 완전할 륜(윤) whole 囥 [kàng] 숨을 강 囦 [yuān] 못 연 囧 [jiǒng] 창 창(빛날 경) 囨 [piān] 침 뱉는 소리 편 囩 [yún] 돌 운 囬 [huí] 돌 회 囮 [é] 후림새 와 圖(圗 图 図) [tú] 그림 도 sheme, design; picture 固 [gù] 굳을 고 囹 [líng] 옥 령(영) 囸 [rì] 날 일 囷 [qūn] 창고 균 囼 [tāi] 아이 밸 태 㘡 [xiá] 우리 합 㘠 [bì] 닫을 벽 囿 [yòu] 동산 유 㘢 [wěng] 둥근 구멍 옹 圓(圆 圎) [yuán] 둥글 원 園(园) [yuán] 동산 원 garden; park, orchard 圅 함 함 圃 [pǔ] 밭 포 圄 [yǔ] 옥 어 圂 [hùn] 뒷간 환 圁 [yín] 물 이름 은 㘣 [xuán] 둥글 선 圏(圈) [quān] 우리 권 圉 [yǔ] 마부 어 圊 [qīng] 뒷간 청 latrine 圐 [kū] 초지 고 圌 [chuán] 둥근 대그릇 천 圔 [yà] 낮은 소리 압 圕 [tú shū guǎn] 도서관 서 圑 [pǔ] 채마밭 포 圙 [lüè] 초지 략 圚 [huì] 문 궤 㘤 물이 소용돌이치는 모양 완 圜 [huán] 두를 환 圛 [yì] 맴돌 역 㘥 [yóu] 새 후릴 와 圝(圞) [luán] 둥글 란
[English] wéi
wall
enclosure - 圍 둘레 위
[English] guó
state
nation - 國 나라 국
[類似漢字] 口囗
口 입 구
囗 둘레 위, 나라 국, 에워쌀 위, 에운 담
'第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8. 貝 조개 패 (0) | 2021.07.25 |
---|---|
227. 員 인원 원 (0) | 2021.07.25 |
225. 㯻 전대 혼 (0) | 2021.07.25 |
224. 束 묶을 속 (0) | 2021.07.25 |
223. 桼 옻 칠, 나무진 칠 (0) | 2021.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