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土器已燒之總名。象形。
o 흙으로 구워 만든 그릇을 총칭한다.
o 지붕을 이는 기와를 의미하기도 하며, 와당(瓦當)이라 한다.
o 상형문자이다.
o 불로 구운 질그릇(fired earthenware pottery) 혹은 기와(tile)를 상형한다.
o 지붕에 기와가 맞물려 놓여져 있는 모양으로 볼 수도 있다.
o 고대중국에서 와기(瓦器)를 처음 만든 사람은 신농이다.
《周书》 神农作瓦器。
《주서》 신농작와기。
o 하나라에서 와기를 구운 사람은 곤오(昆吾)이다.
《礼记 有虞上陶世本云》 夏时 昆吾作瓦。
《예기 유우상도세본운》 하시 곤오작와。
o 瓦는 一𠄌㇈丶, 즉 一 한 일과 𠄌 장지 장, ㇈ 미상, 丶 점 주로 구성된다.
o 중국에서 瓦特(와특)은 전력의 단위 와트(watt)을 가리킨다.
o 부수나 자부로 들어갈 때에는 주로 밑(脚)이나 변(旁)에 놓이고, 의부로 들어가면 질그릇을 의미한다.
o 부수명칭은 「기와와」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かわら, 중국에서는 와자변(瓦字旁), 와자저(瓦字底)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tile이라 한다.
[瓦部]
瓬 옹기장이 방, 오지그릇 방 《說文》 周家搏埴之工也。从瓦方聲。讀若㧚破之㧚。
o 주나라에서 찰흙을 두드려 옹기를 만든 장인, 즉 웅기장이를 가리킨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方 모 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오지그릇은 도기의 하나로서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햇볕에 말리거나 구운 뒤에 다시 오짓물(윤이 나게 하기 위하여 그릇에 바르는 잿물)을 입혀 구운 그릇를 가리킨다.
甄 질그릇 견, 질그릇 진, 땅 이름 견, 밝을 계, 질그릇장인 진 《說文》 匋也。从瓦垔聲。
o 질그릇을 가리킨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垔 막을 인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甍 용마루 맹, 싹 맹 《說文》 屋棟也。从瓦,夢省聲。
o 용마루를 가리킨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夢 꿈 몽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용마루는 가옥에서 지붕의 중앙에 있는 가장 높은 마루를 가리킨다.
甑 시루 증 《說文》 甗也。从瓦曾聲。
o 시루를 가리킨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曾 일찍 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䰝 시루 증은 같은 글자이다.
甗 시루 언 《說文》 甑也。一曰穿也。从瓦鬳聲。讀若言。
o 시루(ancient cooking utensils)를 가리킨다.
o 일설은 밑이 뚫린 시루(甗一穿而大)를 의미한다고 본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鬳 솥 권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言 발씀 언과 같게 발음한다.
瓵 작은 독 이 《說文》 甌瓿謂之瓵。从瓦台聲。
o 목이 짧고 배가 부른 작은 단지를 瓵 작은 독 이라 한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台 별 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瓽 큰 동이 당 《說文》 大盆也。从瓦尚聲。
o 큰 동이를 가리킨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尚 오히려 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甌 사발 구 《說文》 小盆也。从瓦區聲。
o 작은 동이(small tray)를 가리킨다.
o 사발(bowl)이다.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區 구분할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瓯는 간체자이다.
瓮 독 옹 《說文》 罌也。从瓦公聲。
o 독(urn, earthen jar)을 가리킨다.
《广雅 释器》 瓮,瓶也。
《엄아 석기》 옹,병야。
o 瓦 기와 와를 따르고, 公 공별될 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독은 주둥이 작고 배가 부르며(小口大腹) 전이 달린 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을 가리킨다.
瓨 항아리 강 《說文》 似罌,長頸。受十升。讀若洪。从瓦工聲。
o 배가 부르고 목이 좁은 양병(洋甁)과 비슷하고, 목이 길다.
o 열 승(十升)을 담을 수 있다.
o 洪 넓을 홍과 같게 발음한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工 장인 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㼝 주발 완 《說文》 小盂也。从瓦夗聲。
o 작은 사발(bowl)을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夗 누워 딩굴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盌 주발 완은 같은 글자이다.
瓴 동이 령(영) 《說文》 瓮,似瓶也。从瓦令聲。
o 동이(earthenware used for filling with water)를 가리키고, 단지와 비슷하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令 하여금 령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㼰 질그릇 비 《說文》 罌謂之㼰。从瓦卑聲。
o 罌 양병 앵을 가리켜 㼰 질그릇 비라 한다.
o 㼰 방화수 독 비라고도 하고, 방화수를 저장하는 독(an earthenware jar used to store water for fire prevention in ancient times)을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卑 낮을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甂 자배기 변 《說文》 似小瓿。大口而卑。用食。从瓦扁聲。
o 작은 단지와 비슷하다.
o 입이 크고 낮다,
o 음식을 담을 때에 사용한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扁 납작할 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瓿 단지 부 《說文》 甂也。从瓦咅聲。
o 단지(jar, pot)를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咅 침 뱉을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㼸 질그릇 용 《說文》 器也。从瓦容聲。
o 질그릇(earthenware)을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容 얼굴 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甓 벽돌 벽 《說文》 瓴甓也。从瓦辟聲。《詩》曰 : 中唐有甓。
o 영벽(瓴甓), 즉 벽돌을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辟 임금 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중당유벽(中唐有甓)이라 한다.
甃 벽돌 추 《說文》 井壁也。从瓦秋聲。
o 우물을 쌓는 벽돌(brick wall of a well)을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秋 가을 추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㼙 벽돌 추는 같은 글자이다.
甈 항아리 계 《說文》 康瓠,破罌。从瓦臬聲。
o 큰 항아리이고, 깨진 항아리를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臬 말뚝 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㼽 그릇 닦을 창, 기왓장 상 《說文》 瑳垢瓦石。从瓦爽聲。
o 티끌이 있는 질그릇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대고 문지르는 돌이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爽 시원할 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㼽 반기와 상으로도 쓴다.
《玉篇 瓦部》 㼽,半瓦也。
《옥편 와부》 상,반와야。
㼲 기와 깨지는 소리 렵(엽) 《說文》 蹈瓦聲。从瓦耎聲。
o 기와가 깨지는 소리(sound of broken tiles)이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耎 가냘플 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𤬯 풀무자루 함 《說文》 治橐榦也。从瓦今聲。
𤭢 깨뜨러질 쇄 《說文》 破也。从瓦卒聲。
瓪 깨뜨릴 판, 암키와 판 《說文》 敗也。从瓦反聲。
o 깨뜨리다.
o 질그릇을 깨뜨리다(破瓦).
o 일설은 암키와(牝瓦 지붕의 고랑이 되도록 젖혀 놓는 기와)를 가리킨다고 본다.
《集韻》 一曰牝瓦。
《집운》 일왈빈와。
o 수키와(牡瓦)는 두 암키와 사이를 엎어 잇는 기와를 가리킨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反 돌이킬 반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瓷 오지그릇 자, 사기그릇 자 《說文》 瓦器。从瓦次聲。
o 와기(瓦器), 즉 오지그릇(porcelain)이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次 버금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甆 오지그릇 자 珁 사기그릇 자는 같은 글자이다.
瓻 술 단지 치 《說文》 酒器。从瓦,稀省聲。
o 술을 담는 단지(wine pot)이다.
o 瓦 질그릇 와를 따르고, 稀 드물 희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瓦(기와와)가 부수로 사용된 글자]
瓨 항아리 강 瓷 오지그릇 자 甁 병 병 甋 벽돌 적 甎 벽돌 전 甓 벽돌 벽 瓮 독 옹 甕 독 옹
[瓦(기와 와)가 자부로 들어간 글자]
佤 종족 이름 와 咓 사람 이름 와 㧚 물건 담을 와 珁 사기그릇 자 㽍 도가니 감 砙 벽돌 와 缻 질장군 부 𧧀 미상 䰛 다리 굽은 솥 력(역) 齀 움직일 올, 움직일 와
邷 땅 이름 와
旊 옹기장 방
[English] wǎ
earthenware
earthenware pottery
pottery
[English] wà
cover a roof with tiles
tile (roof covering)
[성어]
弄瓦之慶(농와지경)
실패(瓦)를 장난감으로 주어 놀게 하는 경사를 의미하며, 옛날 딸이 실패를 장남감처럼 가지고 논 풍습에서 유래한다.
딸을 낳은 경사를 가리킨다.
弄瓦之喜(농와지희 nòng wǎ zhī xǐ)라고도 한다.
the bliss of giving birth to a baby girl
弄璋之慶(농장지경)
농장(弄璋)은 구슬을 가지고 논다는 의미이며, 옛날 아들을 낳으면 구슬을 주어 놀게 한 풍습에서 유래한다.
아들을 낳은 경사를 가리킨다.
弄璋之喜(농장지희)라고도 한다.
he bliss of giving birth to a baby boy
瓦合之卒(와합지졸)
기와의 깨진 조각이 한데 모여 있는 모양처럼 전혀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
烏合之卒(오합지졸), 烏合之衆(오합지중)도 같은 의미이다.
'第十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4. 弜 강할 강 (0) | 2021.10.01 |
---|---|
463. 弓 활 궁 (0) | 2021.09.30 |
461. 甾 장군 치 (0) | 2021.09.29 |
460. 曲 굽을 곡, 가락 곡 (0) | 2021.09.29 |
459. 匚 상자 방 (0) | 2021.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