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학당17

君子三愆(군자삼건) 《論語 季氏》 孔子曰: "侍於君子有三愆:言未及之而言謂之躁,言及之而不言謂之隱,未見顏色而言謂之瞽。" 《논어 계씨》 공자왈: "시어군자유삼건:언미급지이언위지조,언급지이불언위지은,미견안색이언위지고。" Confucius said, "There are three errors to which they who stand in the presence of a man of virtue and station are liable. They may speak when it does not come to them to speak - this is called rashness. They may not speak when it comes to them to speak - this is called concealment. They m.. 2023. 1. 16.
和而不同(화이부동) 《論語 子路》 子曰: 君子和而不同,小人同而不和。 《논어 자로》 자왈: 군자화이부동,소인동이부화。 군자는 화합하나 부화뇌동(附和雷同)하지 아니하고, 소인은 부화뇌동하나 화합하지 아니한다. The Master said, The superior man is affable, but not adulatory; the mean man is adulatory, but not affable. 2023. 1. 14.
君子不器(군자불기) 《論語 爲政》 子曰: 君子不器。 《논어 위정》 자왈: 군자불기。 The Master said, The accomplished scholar is not a utensil.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군자는 누구인가? 논어를 보면 군자에 대한 언급이 많다. 군자는 보통 이상적 인격을 가진 사람으로 묘사되며, 범부속자(凡夫俗子 평범한 사람)는 군자가 될 수 없다고 한다. 고대중국에서 군자는 응당 치국(治國)이나 국가를 안정시키고 공고하게 하는 임무와 같은 중임을 맡는다. 중임을 맡은 군주는 대내적으로는 각종의 정무를 타당하게 처리할 줄 알고, 대외적으로는 다른 나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 잘 대응을 하며, 어느 나라에 사신으로 가든지 임금을 욕되게 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한 가지 .. 2023. 1. 7.
君子三變(군자삼변) 《論語 子張》 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然,即之也溫,聽其言也厲。" 《논어 자장》 자하왈: "군자유삼변: 망지엄연,즉지야온,청기언야려。" Zi Xia said, "The superior man undergoes three changes. Looked at from a distance, he appears stern; when approached, he is mild; when he is heard to speak, his language is firm and decided." 군자는 세 번 변한다. 군자는 멀리서 보면 엄숙하고,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온화하고, 그 말씀을 들으면 명확한다. [단상] 군자는 세 가지의 서로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다. 우선 멀리서 보면 군자의 외모(外貌)는 이루 말할 수 없.. 2022.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