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1. 手 손 수
《說文》 拳也。象形。 o 손을 가리킨다. o 다섯 손가락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o 손을 쥐면 拳 주먹 권이고, 손을 펼치면 掌 손바닥 장이며, 각 손가락은 指 손가락 지이며, 손톱은 爪 손톱 조이다. o 다른 글자에 들어간 爫, ⺕, 扌, 又는 모두 손을 의미하며, 보통 爫는 머리, ⺕는 중간, 扌는 옆(변), 又는 발(밑)에 들어간다. o 手 손 수가 부수로 변에 들어갈 때에는 扌로 변하고, 부수명칭은 자형(字形)이 才 재주 재와 닮아서 「재방변」이라 하며, 혹은 「손수」라고도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て(手), てへん(手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수자저(手字底), 제수방(提手旁)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hand라고 한다. [手部] 掌 손바닥 장 《說文》 手中也。从手尚聲。 o 손바닥(..
2021. 9. 25.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