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 刻木录录也。象形。
o 각목을 깍아 다듬어 새기다.
o 상형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나무를 깍아 다듬어 새긴 모양을 상형한다.
o 彔는 彑氺, 즉 彑 돼지 머리 계와 氺 물 수로 구성된다.
o 录는 간체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彔의 부수는 彑(튼가로왈)이다.
[彔(새길 록)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㖨 잠깐 웃을 록(녹) 淥 밭을 록(녹) 𤊒 미상 祿 녹 록(녹) 天不生無祿之人(천불생무록지인) 綠 푸를 록(녹) 草綠同色(초록동색) 錄 기록할 록(녹), 사실할 려(여)
剝 벗길 박 𩓪 목 록(녹)
𦧽 미상
[English] lù
rough-hew
carved wood
[German]
Holz schnitzen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4. 秝 나무 성글 력 (0) | 2021.08.14 |
---|---|
253. 禾 벼 화 (0) | 2021.08.14 |
251. 克 이길 극 (0) | 2021.08.14 |
250. 鼎 솥 정 (0) | 2021.08.14 |
249. 片 조각 편 (0) | 2021.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