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五63

193. 畐 가득할 복 《說文》 滿也。从高省,象高厚之形。 0 가득차다.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높고 두터운 술병(jug)의 모양을 상형한다. o 제사를 지낼 때에 술병에 술을 가득 담아 바치면 복이 돌아온다는 의미이다. o 畐는 一口田, 즉 一 한 일과 口 입 구, 田 밭 전으로 구성된다. o 福 복 복의 고자(古字)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畐의 부수는 田(밭전)이다. [畗部] 良 좋을 량, 어질 량, 무덤 랑, 도깨비 량 《說文》 善也。从畗省,亡聲。 o 어질다 o 선량(善良)은 어질고 착하다(good and honest)는 의미이다. o 畗 가득할 복의 생략형을 따르고, 亡 망할 망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은 옛날 농촌에서 곡식을 추수하여 탈곡한 후에 바람을 이용하여 곡물.. 2021. 7. 10.
192. 㫗 두터울 후 《說文》 厚也。从反亯。 o 두텁다. o 亯 누릴 향이 거꾸로 된 모양이다. o 㫗는 日子, 즉 日 날 일과 子 아들 자로 구성된다. o 厚 두터울 후와 동음동의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㫗의 부수는 日(날일)이다. [㫗部] 覃 미칠 담 《說文》 長味也。从㫗,鹹省聲。《詩》曰 : 實覃實吁。 o 깊고 오래가는 맛을 뜻한다. o 㫗 두터울 후를 따르고, 鹹 짤 함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에서는 단지(㫗 jug) 위에 소금(鹵)이 놓여 있는 모양이고, 본래는 부패하기 쉬운 음식 따위를 소금에 절여 단지 안에 담아둔다는 의미이다. o 소전(小篆)에서는 鹵 소금 로와 㫗 두터울 후를 따른다. o 鹵 소금 로와 早 이를 조를 따르기도 한다. o 《시경》(詩經)에서 이르기를 실담실우.. 2021. 7. 10.
191. 亯 드릴 향 《說文》 獻也。从高省,曰象進孰物形。《孝經》曰 : 祭則鬼亯之。 o 드리다, 바치다.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曰 날 일은 제사에 익힌 음식을 그릇에 담아 바치는 모양을 나타낸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사당(an ancestral shrine)을 본뜬 글자이다. o 《효경》(孝經)은 이르기를 제사는 귀신에게 바치는 행위라고 한다. o 亯 누릴 향으로도 쓰고, 享 누릴 향과 같은 글자이다. o 亯 형통할 형으로도 쓰고, 亨 형통할 형과 같은 글자이다. o 亯 삶을 팽으로도 쓰고, 亨 삶을 팽 享 삶을 팽 烹 삶을 팽과 같은 글자이다. o 亯는 亠口日,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口 입 구, 日 날 일로 구성된다. 0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亯의 부수는 亠(돼지해머리)이.. 2021. 7. 10.
190. 京 서울 경 《說文》 人所爲絕高丘也。从高省,丨象高形。 o 사람이 인공적으로 쌓은 매우 높은 언덕(artificial tall mound)을 가리킨다. o 高 높을 고의 생략형을 따르고, 丨뚫을 곤은 높은 모양을 나타낸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높은 구릉 위에 건물이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o 설문해자는 高 높을 고에서 밑에 있는 口 입 구가 丨 뚫을 곤으로 생략된 글자라고 본다( the lower 口 is reduced to 丨). o 京은 亠口小,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口 입구, 小 작을 소로 구성된다. o 亰 서울 경은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京의 부수는 亠(돼지해머리)이다. [京部] 就 이룰 취, 나아갈 취, 관대할 여 《說文》 就,高也。从京从尤。尤,異於凡也。 o 높다(Shuo.. 2021.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