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爲政》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三十而立,四十而不惑,五十而知天命,六十而耳順,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논어 위정》 자왈: 오십유오이지우학,삼십이립,사십이불혹,오십이지천명,육십이이순,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
The Master said, "At fifteen, I had my mind bent on learning. At thirty, I stood firm. At forty, I had no doubts. At fifty, I knew the decrees of Heaven. At sixty, my ear was an obedient organ for the reception of truth. At seventy, I could follow what my heart desired, without transgressing what was right."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고, 삼십에 똑바르게 서고, 사십에 미혹이 되지 않고, 오십에 하늘의 뜻을 알고, 육십에 듣는대로 따르게 되고, 칠십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게 된다.
[해설]
▯ 15세 - 志學(지학)
학문에 뜻을 두고 애쓰는 자세를 지학(志學)이라 한다. 공자(孔子)가 학문에 뜻을 둔 때가 열다섯 살이라 하므로, 15세는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라는 의미에서 지학(志學)이라 한다.
▯ 30세 - 而立(이립)
확고하고 똑바르게 서서 쉽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이립(而立)이라 한다. 공자가 확고하게 마음을 정하고 학문의 기초를 정립한 나이가 서른 살이라 하므로, 30세를 이립(而立)이라 한다.
▯ 40세 - 不惑(불혹)
어떤 유혹 앞에서도 마음이 쉽게 흔들리거나 흐려지지 아니하고, 세파에 부화뇌동하지 아니하는 상태를 불혹이라 한다. 공자가 어떤 유혹에도 홀리지 않게 된 나이가 마흔 살이라 하므로, 40세를 불혹(不惑)이라 한다.
▯ 50세 - 知命(지명), 知天命(지천명)
하늘의 뜻을 알고 받아들이는 자세를 지명(知命)이라 한다. 공자가 비로소 천명(天命), 즉 우주만물을 주관하는 하늘의 명령과 원리를 알게 된 때가 쉰 살이라 하므로, 50세를 지명(知命)이라 한다. 흔히 지천명(知天命)이라고도 한다.
▯ 60세 - 耳順(이순)
귀가 순하여 듣는 대로 모두 이해하고 거스르지 않는 상태를 이순(耳順)이라 한다. 공자가 천지만물(天地萬物)의 이치에 통달하게 되고, 남이 하는 말을 순순히 받아들이며 거스르지 않게 된 나이가 예순 살이라 하므로, 60세를 이순(耳順)이라 한다. 주희(朱熹)는 보충하여 설명하기를 이순이 되면 듣기만 하여도 마음이 통하여 어긋나거나 거스르지 않고 그대로 알게 되며, 생각하지 않아도 깨닫게 된다(聲入心通, 無所違逆, 知之之至, 不思而得)고 한다.
▯ 70세 - 從心(종심)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좇는 상태를 종심(從心)이라 한다. 공자가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을 하여도 대도(大道)에 크게 어긋나지 않게 된 나이가 일흔 살이라 하므로, 70세를 종심(從心)이라 한다.
'논어학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君君, 臣臣, 父父, 子子(군군, 신신, 부부, 자자) (0) | 2023.02.20 |
---|---|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군자구저기, 소인구저인) (0) | 2023.02.09 |
君子九思(군자구사) (0) | 2023.01.17 |
君子三愆(군자삼건) (0) | 2023.01.16 |
和而不同(화이부동) (0)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