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七

249. 片 조각 편

by kimlaw 2021. 8. 14.

《說文》 判木也。从半木。
o 쪼개진 나무를 가리킨다.

o 木 나무 목의 반쪽을 따른다.

설문해자
商-殷墟甲骨文

o 지사문자이다.
o 爿 나뭇조각 장이 거울에 비쳐 생긴 모양(鏡像 mirror image)이다.
o 木 나무 목을 두 조각으로 쪼갠 경우에 좌측의 절반(left half of tree trunk)은 爿 나뭇조각 장이라 하고, 우측의 절반(right half of tree trunk)은 片 조각 편이라 한다.

爿-片

o 鼎 솥 정을 보면 위는 솥(目)이 있고, 아래에는 나무(木)를 쪼개 불을 때는 모양을 나타내며, 좌측에 爿 나뭇조각 장이 있고, 우측에 片 조각 편이 있다.

상-은허갑골문
清-王福庵
설문해자

o 片은 丿丄𠃍, 즉 丿 삐침 별과 丄 위 상, 𠃍 미상으로 구성된다.
o 부수명칭은 「조각편」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かた, かたへん(片偏)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片字旁(편자방)이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slice라 한다.

[片部]
版 널 판, 판목 판 《說文》 判也。从片反聲。
o 넓고 편편하게 켠 판목(writing slip)을 가리킨다.
o 片 조각 편을 따르고, 反 삼갈 판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𤗚 쪼갤 벽 《說文》 判也。从片畐聲。
牘 편지 독, 서찰 독 《說文》 書版也。从片賣聲。
o 글씨를 새긴 판목(writing tablet)을 가리킨다.
o 片 조각 편을 따르고, 賣 팔 매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牍는 간체자이다.
牒 서찰 첩, 편지 첩 《說文》 札也。从片枼聲。
o 서찰, 편지를 가리킨다.
o 片 조각 편을 따르고, 枼 나뭇잎 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서찰(書札)은 안부나 소식 따위의 알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적어 보내는 글을 가리킨다.
牑 널평상 편, 청널 변, 대삿자리 면 《說文》 牀版也。从片扁聲。讀若邊。
o 널평상, 즉 널빤지로 만든 평상을 가리킨다.
o 片 조각 편을 따르고, 扁 납작할 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邊 가 변과 같게 발음한다.
o 청널은 마룻바닥에 깔아 놓은 널조각을 가리킨다.
o 대삿자리는 얇게 쪼갠 대쪽으로 엇결리게 짜 지붕을 덮는 자리를 가리킨다.
牖 바라지 유, 들창 유 《說文》 穿壁以木為交窻也。从片、戶、甫。譚長以為:甫上日也,非戶也。牖,所以見日。
o 벽을 뚫어 나무로 만든 창을 교창(交窻)이라 한다.

o 벽에 있는 창은 牖 바라지 유라 하고, 지붕에 있는 창은 窗 창 창, 굴뚝 총이라 한다(在墙曰牖, 在屋曰窗).
o 片 조각 편, 戶 지게 호, 甫 채마밭 보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담장(譚長)은 甫 채마밭 보 위에 해(日)가 있다는 의미이고, 방문(室門)이 아니라고 본다.
o 바라지 혹은 들창(牖)을 통하여 해를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o 바라지는 햇빛을 받기 위하여 벽에 낸 자그마한 창을 가리킨다.
o 들창은 들어서 여는 창을 가리킨다.
牏 담틀 유, 담틀 투 《說文》 築牆短版也。从片俞聲。讀若俞。一曰若紐。
o 토담을 쌓을 때에 쓰는 담틀을 가리킨다.
o 片 조각 편을 따르고, 俞 대답할 유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俞 대답할 유와 같게 발음한다.
o 일설은 紐 맺을 뉴와 같다고 본다.
o 담틀은 토담을 쌓을 때에 흙을 다져 넣어 쌓을 수 있도록 공간을 두고 양쪽에 세운 널로 된 틀을 가리킨다.

[片(조각편)이 부수로 사용된 글자]
版 널 판 牌 패 패 牒 서판 첩

[片(조각 편)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扸 쪼갤 석, 자를 절 沜 물가 반, 녹을 반 㭊 쪼갤 석 䏒 반쪽 편 魸 메기 편
㲏 일어나는 모양 표 覑 슬쩍 볼 편

[English] piàn
piece
slice
fragment
chip
film, TV play, photograph, record

[참고] 형제한자
片爿
片 조각 편
爿 [pán] 나뭇조각 장 《說文》 判木也。从反片。指事。
o 쪼개진 나무(slit bamboo or chopped wood)를 가리킨다.

三爿石(中國 江郎山)

o 片 조각 편을 거꾸로 한 모양을 따른다.

설문해자
戰國

o 지사문자이다.
o 일설은 본래의 의미는 침대를 가리키고, 牀 평상 상의 생략형이라고 본다.

상-은허갑골문

o 설문해자에서는 본래 부수가 아니나, 강희자전에서는 부수(4획)에 해당하고, 부수명칭은 將 장수 장에서 변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장수장변」이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しょうへん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half tree trunk라 한다.
o 부수로 사용될 때에는 丬로 변하기도 하고, 특히 중국의 간체자나 일본의 신자체(약자)에서는 将 장수 장 壮 장할 장과 같이 爿 → 丬으로 된다.
o 예를 들어 將 장수 장 牀 평상 상 狀 형상 상 牆 담 장은 爿(장수장변)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이다.

旵㞱
旵 햇살 비칠 참

산 위에서 햇살이 비치다

㞱 저물 총

산 아래로 해가 저물다


杲杳
杲 밝을 고, 밝을 호
杳 아득할 묘, 아득할 요


嵓嵒
嵓 바위 암
嵒 바위 암

仄亾
仄 기울 측
亾 망할 망, 없을 무

易曶
易 바꿀 역, 쉬울 이
曶 새벽 홀, 새벽 물

仚㞤
仚 사람 산 위에 있을 헌, 신선 선
㞤 도울 음, 높을 잠

屳㞥
屳 신선 선
㞥 산속 깊이 들어갈 잠

旮旯
旮 아침 해 욱, 구석 욱
旯 구석 라(나)

 

㒵㒶

㒵 모양 모, 모사할 막

㒶 공평할 공


岜岊
岜 땅 이름 파
岊 산굽이 절

晨㫳
晨 새벽 신
㫳 새벽 신, 새벽 진

曱甴

바퀴벌레(曱甴 yuēyóu)

曱 가질 압
甴 쓸 삽, 연유할 유

忐忑
忐 맘 허할 탐
忑 맘 허할 특

凹凸 concave-convex 高低不平
凹 오목할 요
凸 볼록할 철

干士
干 방패 간
士 선비 사

未末
未 아닐 미

末 끝 말

春秋


土士
土 흙 토
士 선비 사

 

巿市

巿 슬갑 불

저자 시


乒乓

乒乓(table tennis)

乒 물건 부딪치는 소리 병, 물건 부딪치는 소리 핑
乓 풍 소리 병, 물건 부딪치는 소리 팡

甲由
甲 첫째 천간 갑
由 말미암을 유

杏呆
杏 살구나무 행
呆 어리석을 매, 어리석을 태, 지킬 보

㕣只
㕣 산속 늪 연
只 다만 지, 외짝 척

嵒喦
嵒 바위 암
喦 말 많을 녑(엽)

 

妃妀

왕비 비, 짝지을 배

여자 이름 기

 
加叻
加 더할 가
叻 싱가포르 력(역)

隕鄖
隕 떨어질 운, 둘레 원
鄖 땅 이름 운

陜郟
陜 좁을 합, 땅 이름 합, 좁을 협
郟 고을 이름 겹

妃妀
妃 왕비 비, 짝지을 배
妀 여자 의 자 기

隣鄰
隣 이웃 린(인)
鄰 이웃 린(인)

 

防邡

防 막을 방

邡 고을 이름 방


昶昹
昶 해 길 창, 트일 창
昹 별 이름 애

翅翄
翅 날개 시
翄 날개 시

孓孑

모기유충(孓孑 jiéjué)

孓 장구벌레 궐, 장구벌레 공, 짧을 궐
孑 외로울 혈, 외로울 결

卐卍

卐 만자 만
卍 만자 만

币帀
币 두를 잡, 도장 인, 화폐 폐
帀 두를 잡

屲冚
屲 바를 정
冚 덮개 감

日曰
日 해 일
曰 가로 왈

玉玊
玉 구슬 옥
玊 옥 다듬는 장인 숙, 구슬 옥

七𠤎
七 일곱 칠
𠤎 될 화

止疋
止 발 지

상-은허갑골문

疋 발 소, 필 필

周早

'第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1. 克 이길 극  (0) 2021.08.14
250. 鼎 솥 정  (0) 2021.08.14
248.  가시 자  (0) 2021.08.14
247. 齊 가지런할 제  (0) 2021.08.14
246. 𠧪 열매 주렁주렁 달릴 초, 열매 매달릴 유  (0) 2021.08.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