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十40

373. 麤 거칠 추, 성길 추, 클 추 《說文》 行超遠也。从三鹿。 o 멀리 간다는 뜻이다. o 세 개의 鹿 사슴 록을 따른다. o 갑골문에서는 두 개의 사슴이 그려져 있고, 보통 같은 글자를 두 개 겹쳐 쓰면 ‘많다’ 혹은 ‘무리’를 의미하므로(예컨대 木 나무 목이 두 개이면 林 수풀 림이 되어 ‘나무가 많다’ 혹은 ‘나무의 무리’를 의미한다), 麤는 사슴의 무리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o 麁 거칠 추는 속자(俗字)이다. o 粗 거칠 조, 거칠 추 麄 거칠 추는 같은 글자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麤의 부수는 鹿(사슴록)이다. [麤部] 𪋻 티끌 진 《說文》 鹿行揚土也。从麤从土。 [동의한자] 粗 거칠 조, 거칠 추 蔍 거칠 추 麁 거칠 추 麄 거칠 추 麆 거칠 추 2021. 9. 13.
372. 鹿 사슴 록 《說文》 獸也。象頭角四足之形。鳥鹿足相似,从匕。 o 짐승이다.o 사슴(deer)의 머리와 뿔, 네 개의 다리를 상형한다.o 상형문자이다.o 새와 사슴의 다리는 서로 비슷하므로, 匕 비수 비를 따른다. o 현재 사용되는 鹿 사슴 록은 매우 추상화된 글자이며, 다리는 比 비수 비로 표현되고 있고, 약간 굽은 앞과 뒤의 다리를 상형한다.o 머리는 凸 볼록할 철이나 曲 굽을 곡과 비슷한 글자로 표현하고 있다. o 머리 위에 있는 가지진 뿔이나 입은 广 집 엄으로 표현한다. o 䴪 천록 록은 같은 글자이다. o 축록(逐鹿)은 제위(帝位)나 정권 따위를 잡으려고 다투는 모습을 사냥꾼이 사슴을 쫓는 모습에 비유하여 가리키는 표현이다. o 부수명칭은 「사슴록」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しか(鹿), しかへん(鹿偏)이.. 2021. 9. 13.
371. 廌 해태 치 《說文》 解廌,獸也,似山牛,一角。古者決訟,令觸不直。象形,从豸省。 o 해치(解廌)이고, 짐승이다. o 산에 사는 소와 비슷하고, 뿔이 하나이다. o 해태는 옛날 송사를 결정할 때에 정직하지 못한 사람을 뿔로 받게 한 동물이다 o 상형문자이고, 豸 해태 치의 생략형을 따른다. o 廌는 广コ丨丨㇉一灬, 즉 广 집 엄과 コ 미상, 두 개의 丨 뚫을 곤, ㇉ 미상, 一 한 일, 灬 불 화로 구성된다. o 獬豸(해치), 獬廌(해치), 獨角獸(독각수)라고도 불린다. o 해태는 시비나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는 전설 속 상상의 동물이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廌의 부수는 广(엄호)이다. [廌部] 韀 언치 천 《說文》 馬鞁具也。 o 언치를 가리킨다. o 廌 해태 치와 革 가죽 혁으로 구성된다. o 언치는 안장이.. 2021. 9. 12.
370. 馬 말 마 《說文》 怒也。武也。象馬頭髦尾四足之形。 o 힘을 쓰다. o 굳세다. o 상형문자이고, 말의 머리와 털, 꼬리, 네 개의 다리를 상형하며 말을 측면에서 본 모양을 상형한다. o 말이 머리를 돌려 왼쪽을 쳐다보고 있고, 목덜미에 난 갈기(mane)가 바람에 흩날리는 모습이다. o 말의 머리는 흔히 目 눈 목(eye)으로 표현하고, 후에는 다리를 네 개의 점(four dots), 즉 灬 연화발 화(火 불 화와는 아무런 관련도 없다)로 나타낸다. o 馬는 ㇉三丨灬, 즉 ㇉ 미상과 三 석 삼, 丨 뚫을 곤, 灬 연화발 화로 구성된다. o 马는 간체자이다. o 말을 중국에서는 고대로부터 사육한 가축에 해당하고, 육축(六畜 - 馬・牛・羊・鶏・犬・豚)에 속한다. o 말은 주로 마차(馬車)와 같이 사람이나 물건의 운반이.. 2021.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