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三

59. 䇂 허물 건

by kimlaw 2022. 10. 5.

《說文》 辠也。辠、犯法也。从干二。会意。二古文上字。干上是犯法也。讀若愆。張林說。
o 죄를 짓다(crime, sin).
o 辠(罪) 허물 죄는 범법을 의미한다.
o 干 방패 간, 二 위 상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二 위 상은 고문으로 上 위 상과 같다.
o 干上(간상)은 범법을 가리킨다.
o 죄인에게 묵형(墨刑)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도구(a carving knife or a chisel)를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묵형(일본)

o 愆 허물 건과 같게 발음한다.
o 장림(張林)이라고 하는 학자의 주장이다.
o 䇂은 立丨, 즉 立 설 립과 丨 뚫을 곤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허물은 저지른 잘못, 결점을 의미한다.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䇂의 부수는 立(설립)이다.

[䇂部]
童 아이 동 《說文》 男有辠曰奴,奴曰童,女曰妾。从䇂,重省聲。
o 죄가 있는 남자(boy servant)는 奴 종 노라 하고, 奴 종 노는 童 아이 동과 같은 글자이다.
o 죄가 있는 여자는 妾 첩 첩이라고 한다.
o 䇂 허물 건을 따르고, 重 무거울 중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죄인의 이마에 뽀족한 도구(辛 a knife to mark prisoners)로 묵형을 새기는 모습을 상형한다.

商代
商-殷墟甲骨文

o 뽀쪽한 바늘(辛 needle)과 눈(目 eye), 무거운 물건(重 heavy thing)으로 구성되고, 바늘은 묵형을 하는 도구이며, 눈 위에 묵형을 한 죄인(prisoner) 혹은 노예(slave)가 무거운 물건을 옮기는 모양을 상형한다.

周中

o 뽀쪽한 바늘(辛)과 눈(目), 물건(東), 땅(土)으로 구성되고, 바늘은 묵형을 하는 도구이며, 눈 위에 묵형을 한 죄인 혹은 노예가 땅 위에 있는 물건을 옮기는 모양을 상형한다.

周-毛公鼎

o 童은 立里, 즉 立 설 립과 里 마을 리로 구성된다.
o 현재는 아이(child)를 의미하며, 兒童(아동 child), 童話(동화 children's story), 童謠(동요 a children's song, nursery rhyme)와 같이 사용된다.
o 학발동안(鶴髮童顏)은 머리는 학처럼 희나, 얼굴은 어린아이와 같다, 즉 나이에도 불구하고 건강하다(healthy in old age)는 의미이다.
妾 첩 첩 《說文》 有辠女子,給事之得接於君者。从䇂从女。《春秋》 云:女為人妾。妾,不娉也。
o 죄가 있는 여자이며, 시종으로 주인을 모시는 여노(女奴)이다.
o 첩(男子在妻以外娶的女子)을 가리키기도 한다.
o 䇂 허물 건을 따르고, 女 여자 여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䇂 허물 건은 고대중국에서 사용한 형도(刑刀)를 나타내고, 형도로 여자(女)의 이마에 묵형을 새기는 모양을 상형하고, 전쟁에서 끌려 온 포로나 죄인으로 이마에 묵형을 새겨 노예가 된 여자(woman slave)를 가리킨다.

周晩
周晩
묵형을 이마에 새긴 여인

o 갑골문에서는 여자 여의 머리 위에 매울 신의 생략형이 있고, 용 룡과 봉새 봉의 머리에 있는 머리장식과 같이 여자의 머리 위에 머리장식을 한 모양(a woman with a headdress)을 나타내는 상형문자로 볼 수 있다.

商-殷墟甲骨文

o 현재 사용하는 妾은 立女, 立 설 립과 女 여자 여로 구성되고, 서 있는 여자, 즉 곁에 서서 주인을 모시는 여자라는 의미이다.
o 《춘추》(春秋)에서 이르기를 여자는 남자의 첩이 된다고 한다.
o 첩(concubine)은 혼례를 치르지 아니한다.
o 남자가 여자를 예법으로 맞이하면 妻 아내 처가 되고, 예법 없이 맞이하여 아내 외에 데리고 사는 여자는 妾 첩 첩이 된다.
o 㛙 첩 첩은 같은 글자이다.

[English] qiān
crime
(ancient form) fault, sin
a knife to mark prisoners

[유사한자] 䇂辛幸㖖
䇂 허물 건
辛 매울 신
幸 다행 행 《說文》 吉而免凶也。从屰从夭。夭,死之事。luck(ily), favor, fortunately
㖖(㖕) 거절할 알

[참고] 죄수나 노예와 관련되는 한자
幸 다행 행, 계속하여 도둑질할 녑 《說文》 所以驚人也。一曰大聲也。一曰讀若瓠。一曰俗語以盜不止爲幸, 幸讀若籋。
o 갑골문에서는 죄인의 발에 채운 족쇄(shackle)를 상형하며, 계속하여 도둑질을 하다가 들키면 족쇄를 채운다는 의미이다.

商-殷墟甲骨文
족쇄

o 노예나 죄인이 되면 죽음을 면하기 어렵지만, 발에 족쇄를 차는 형벌을 받으면 죽음은 면하므로, 다행(lucky)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驛 역참 역 《說文》 置騎也。从馬睪聲。
o 역참에 말을 갖추어 두다.
o 馬 말 마를 따르고, 睪 엿볼 역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睪 엿볼 역은 다시 目 눈 목과 족쇄를 찬 죄인을 가리키는 幸 다행 행으로 구성된다.
o 족쇄를 찬 죄인(幸 the shackled prisoner)이 눈(目 eye)을 크게 뜨고 말(馬 horse)을 지키고 있다는 의미이다.
o 駅은 일본에서 쓰는 신자체(약자)이다.
o 驿은 간체자이다.

辛 매울 신 《說文》 秋時萬物成而孰;金剛,味辛,辛痛即泣出。从一从䇂。䇂,辠也。辛承庚,象人股。
o 辛 매울 신은 一䇂, 즉 一 한 일과 䇂 허물 건을 따르고, 䇂매울 신은 죄인이나 노예의 이마에 묵형을 새기는 도구(needle)를 가리킨다.
o 辛 매울 신도 역시 죄인이나 노예의 이마에 묵형을 하는 도구(a knife to mark prisoners)를 상형한다.

商代
商代

o 현재는 맵다(spicy), 고생하다(hard going)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僕 종 복 《說文》 給事者。从人从菐,菐亦聲。
o 시중을 드는 사람이다.
o 노예(slave) 혹은 종이나 하인(servant)을 의미한다.
o 僕은 人菐, 즉 人 사람 인을 따르고, 菐 번거로울 복을 따른다.
o 바늘 혹은 칼(辛 needle, a knife to mark prisoners)로 이마에 묵형을 새긴 죄인이 키(其 a winnowing basket)를 까불러 곡식(grain)에서 검불(chaff)을 걸러내는 모양을 상형하며, 키질은 노예나 종이 한다는 의미이다.

商-殷墟甲骨文
키질하는 사람(밀레, 1847-1848)

o 키질을 하는 사람을 자세하게 보면 꼬리(↟ 尾 tail)가 있고, 꼬리는 붙잡혀 있다는 의미이다.

周早

o 붙잡혀 있는 사람이고, 키에 날리는 검불처럼 하찮은(worthless) 존재이며, 이마에 묵형을 새긴 사람이므로, 노예를 가리킨다.
o 후에 키를 나타내는 其 그 기는 甾 장군 치 속에 포함되고, 두 손을 나타내는 廾 두 손으로 받들 공은 밑으로 옮겨 辛 매울 신으로 변하며, 노예를 의미하는 人 사람 인이 왼쪽에 변(lefr component)으로 옮기게 된다.

周早

o 더 후에는 辛 매울 신이 甾 장군 치와 합하여 丵 풀 무성할 착으로 변하고, 다시 丵이 廾 두 손으로 받들 공과 합하여 菐 번거로울 복으로 바뀐 후 변에 있는 人 사람 인(man)과 결합하여 僕 종 복이 되며, 菐 번거로울 복은 성부(phonetic component)로서의 기능을 한다.

民 백성 민 《說文》 眾萌也。从古文之象。
o 바늘로 눈을 찌르는 모양(an eye being stabbed by a needle)을 상형한다.

周早

o 옛날 노예에 대하여는 만약 도망을 가더라도 쉽게 노예라는 사실을 알아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한쪽 눈을 찌르는 형벌을 가하므로, 노예를 가리킨다.
o 民 백성 민이 처음 사용될 때에 백성은 민중(民衆)을 가리키지 않고, 죄인(罪人)이나 전쟁에서 붙잡은 포로, 혹은 통치귀족에 속한 노예를 의미하며, 후에 氓 백성 맹이라는 글자가 만들어져 노예와 같은 사람을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되게 되고, 民 백성 민은 현재와 같이 백성(people)을 의미하는 글자로 사용된다.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 㸚 밝을 모양 리(이), 그칠 려(여)  (0) 2021.06.28
96. 爻 점괘 효  (0) 2021.06.28
95. 用 쓸 용  (0) 2021.06.28
94. 卜 점 복  (0) 2021.06.27
93. 教 가르칠 교  (0) 2021.06.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