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三

95. 用 쓸 용

by kimlaw 2021. 6. 28.

《說文》 可施行也。从卜从中。衞宏說。
o 시행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다.
o 卜 점 복을 따르고, 中 가운데 중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점을 치고 있으므로, 점괘를 내는 시초(蓍草)를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o 위굉(衞宏)의 주장이다.
o 대나무를 엮어 만든 물통(water bucket)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o 桶 통 통의 본자라고 본다.
o 논이나 밭을 경계를 정하여 나눈 모양을 상형하고, 확대해석하여 사용하다, 나라를 다스리다, 부리다, 베풀다, 등용하다, 명사로는 재산이나 밑전, 연장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周早
周中
戰國
rice terrace(계단식 논, 중국)

o 일설은 종(鐘)과 같은 모양을 가진 악기를 상형하고, 鏞 종 용, 쇠북 용의 본자(本字)이며 자루가 달린 종을 의미하는 甬 꼭지 달린 종 용과 동자(同字)라고 본다.

周-散氏盘
용종
甬鐘

o 현재 사용하는 ⽤은 丨月, 즉 丨 뚫을 곤과 月 달 월로 구성된다.
o 부수명칭은 「쓸용」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もちいる, よう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use라 한다.

[用部]
甫 클 보, 남새밭 포, 채마밭 포 《說文》 男子美稱也。从用、父,父亦聲。
o 고대중국에서 남자에 대한 미칭(美稱 courtesy name)이다.
o 用 쓸 용, 父 아버지 부를 따른다.

설문해자

o 父 아버지 부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에서는 남새밭 혹은 채마밭에 채소를 심고, 그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상형한다.

商-殷墟甲骨文
春秋

o 금문에서는 田 밭 전이 用 쓸 용으로 바뀌고, 屮 싹날 철은 父 아버지 부로 변하며, 아버지가 남새밭 혹은 채마밭에서 채소를 가꾼다는 의미이다.

春秋

o 圃 채마밭 포는 같은 글자이다.
庸 쓸 용, 떳떳할 용 《說文》 用也。从用从庚。庚,更事也。《易》曰 : 先庚三日。
o 쓰다(use).
o 用 쓸 용을 따르고, 庚 별 경을 따른다.

周早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庚 별 경은 먼저 어떤 일을 한 후에 바꾸어 다른 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o 《주역》(周易)에서 이르기를 선경삼일 후경삼일(先庚三日 後庚三日), 즉 “어떤 일을 변경하기 전에 3일 동안 깊이 고민하고, 일을 변경한 뒤에는 3일 동안 생각한다”고 한다.
o 庸 떳떳할 용으로도 쓰이고, 㐯 떳떳할 용은 같은 글자이다.

備 갖출 비 《說文》 具也。从用,茍省。
o 갖추다.
o 用 쓸 용, 茍 빠를 극의 생략형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사람이 화살이 꽂혀 있는 통을 짊어지고 있는 모양을 상형하고, 통 안에 화살이 잘 꽂혀 있으므로, 모두 갖추다(complete), 준비가 잘 되어 있다는 의미가 된다.

상-은허갑골문
周早

o 用 쓸 용은 화살을 담는 통을 가리킨다.
o 俻 갖출 비 僃 갖출 비는 같은 글자이다.
o 备는 간체자이다.
o 유비무환(有備無患)은 미리 잘 준비하면 근심걱정이 없다는 의미이다.
甯 편안할 녕, 차라리 녕 《說文》 所願也。从用,寕省聲。
o 소원을 빈다, 즉 편안하길 바라고 원한다는 뜻이다.
o 用 쓸 용을 따르고, 寕 편안할 녕(peaceful, tranquil)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甯은 宀心用, 즉 宀 집 면과 心 마음 심, 用 쓸 용으로 구성된다.
o 寧 편안할 녕과 같은 글자이고, 宁은 간체자이다.
o 𡩋 편안할 녕 寗 편안할 녕은 같은 글자이다.

[用(쓸용)이 부수로 사용된 글자]
甩 던질 솔 甪 사람 이름 록 甫 클 보 甬 길 용, 대롱 동 甭 쓰지 않을 용 甮 말 용 甯 차라리 녕(영)

[用(쓸 용)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佣 품팔이할 용, 고를 충 𠖿 미상 𡛾 젖 내 𢘭 미상 拥 안을 옹 𣳔 미상 㶲 용량 단위 砽 미상 𥞖 미상 𥙓 미상 𧊊 미상 𨀍 미상
角 뿔 각 苚 풀 이름 용
痈 악창 옹

[English] yòng
use
employ
exert
effect
finance
need
eat / drink

[유사한자] 用甪甩
用 쓸 용
甪 사람 이름 록
甩 던질 솔

[成語]
▮ 用夏變夷(용하변이) [yòng xià biàn yí]
중국의 문화나 풍속으로써 이민족의 문화나 풍속을 바로 잡다.

 
《孟子 滕文公上》 吾聞用夏變夷者未聞變於夷者也

《맹자 등문공상》 오문용하변이자,미문변우이자야。

맹자가 이르기를 중국이의 문화와 풍속으로 오랑캐(이민족)를 변화시키고 있다고는 들어 본 적이 있어도, 중국이 오랑캐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다고는 아직 들어 본 적이 없다.    

I have heard of men using the doctrines of our great land to change barbarians, but I have never yet heard of any being changed by barbarians. 

 

[해설]
夏(하)
제하(諸夏)를 가리키며, 고대중국의 역사에서 중원지역을 차지한 주왕조(周王朝)로부터 분봉된 제후국가를 칭한다.
후에는 중국 혹은 중국민족(中国之人)을 지칭한다.
夷(이)
흔히 오랑캐라고 불리며, 중원지역 이외에 거주하는 이민족을 가리킨다.
설문해자는 동방에 사는 민족(東方之人)이라고 한다.

'第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 㸚 밝을 모양 리(이), 그칠 려(여)  (0) 2021.06.28
96. 爻 점괘 효  (0) 2021.06.28
94. 卜 점 복  (0) 2021.06.27
93. 教 가르칠 교  (0) 2021.06.27
92. 攴 칠 복  (0) 2021.06.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