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一

5. 王 임금 왕

by kimlaw 2021. 6. 12.

《說文解字》 天下所歸往也。三者,天、地、人也,而參通之者王也。孔子曰:一貫三為王。
o 천하가 모두 왕에게 귀속한다.
o 세 개의 가로획은 하늘(天 Heaven), 땅(地 Earth), 사람(人 Person)을 가리키고, 세로획(丨)은 왕이며 천지인(天地人)을 연결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설문해자

o 공자는 이르기를 하나(丨)로써 세 가지(三)를 관통하는 지위가 왕이라 한다.

세종대왕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큰 도끼(斧 axe)를 본뜬 글자도 있다.

商-殷墟甲骨文
商代

o 왕관(crown)을 본뜬 글자도 있다.

戰國
戰國

o 강희자전에서는 부수가 아니고, 王의 부수는 王(구슬옥변)이다.

[王部]
閏 윤달 윤 《說文》 餘分之月,五歲再閏,告朔之禮,天子居宗廟,閏月居門中。从王在門中。
o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즉 윤달((intercalary month)을 일컫는다.
o 설문해자는 윤달은 5년마다 다시 온다고 하나, 통상 19태양년에 7번의 윤달을 두는 19년7윤법이 가장 많이 쓰이고, 19태양년은 태음력 235개월이 되므로, 태양력으로 만 3년이 채 못되어 윤달이 한 번씩 돌아온다.
o 매월 초하루에 고삭(告朔)의 제례를 행할 때에 천자는 종묘(宗廟)에 머물고, 윤달에는 문중(門中)에 머문다.
o 임금(王)이 문(門) 안에 있으므로, 윤달에는 임금이 문 안에 거처를 둔다는 의미이다.

戰國

o 閏은 門王, 즉 門 문 문(gate)과 王 임금 왕(king)으로 구성된다.

설문해자

o 閠(門玉) 윤달 윤도 같은 글자이다.
o 䦞 윤달 윤도 같은 의미이다.
o 闰은 간체자이다.
o 윤달을 여벌달, 공달 또는 덤달이라고도 부른다.
o 속담에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없다”고 할만큼 전혀 탈이 없는 달이라고 한다.
o 11월에는 거의 윤달이 들지 않으므로, “윤동짓달 초하룻날 한다”고 하면 거의 실현가능성이 없다는 의미이다.
皇 임금 황 《說文》 大也。从自。自,始也。始皇者,三皇,大君也。自,讀若鼻,今俗以始生子為鼻子。
o 위대하다(great).
o 自 스스로 자를 따른다.
o 自 스스로 자는 시초(始初)를 의미한다.
o 처음 임금이 된 사람은 삼황(三皇)이고, 모두 위대한 군주(emperor)이다.
o 복희(伏羲), 신농(神農), 수인(燧人)을 삼황이라 하기도 하고, 달리 복희, 여와(女媧), 신농을 삼황이라 하기도 한다.
o 현재는 주로 皇 임금 황으로 쓰이고, 군주(君主 ruler), 천자(天子 superior), 황제(皇帝 royal, imperial)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o 自 스스로 자는 鼻 코 비와 같게 발음한다.
o 지금은 속어로 시생자(始生子), 즉 처음 태어난 아들을 가리켜 비자(鼻子)라 한다.
o 비조(鼻祖)는 어떤 일을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을 가리킨다.
o 금문을 보면 촛대에 촛불이 눈이 부시도록 환하게 켜져 있는 모양(灯火辉煌)을 상형한다.

周-毛公鼎
戰國

o 위에 있는 세 개의 종획은 촛불이 위로 올라가는 모양을 나타내고, 중간은 접시와 같은 모양으로 된 촛농받침, 아래에 있는 土 흙 토는 촛대의 기둥을 나타낸다.
o 煌 빛 날 황의 고자(古字)이다.
o 皇 봉황 황으로도 쓰이고, 凰 봉황 황은 동자(同字)이다.
o 설문해자에서는 自 스스로 자를 따르고, 王 임금 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현재 사용되는 皇 임금 황은 白 흰 백(flame)을 따르고, 王 임금 왕은 성부이다.

李斯 《峄山刻石》

o 형성문자이다.
o 皇 임금 황을 분리하면 白 흰 백은 百 일백 백에서 一 한 일을 뺀 글자로 99가 되고, 王 임금 왕을 파자하면 一十一, 즉 더하면 12가 되며, 모두 합하여 111이 되므로, 111세를 황수(皇壽)라 한다.

[王(임금 왕)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仼 급히 갈 왕 㕵 나라 망, 나라 국 彺 급히 갈 왕 忹 부정할 왕 抂 어지러운 모양 광, 굽을 왕 汪 넓을 왕 狂 미칠 광, 개 달릴 곽 旺 왕성할 왕 枉 굽을 왕 蚟 귀뚜라미 왕 軖 물레 광
迋 속일 광, 갈 왕 尪 절름발이 왕 尫 절름발이 왕 㒬 앉은뱅이 왕 尩 절름발이 왕 䶭 옥 소리 롱(농)
頊(顼) 삼갈 욱, 뒤통수 옥 鳿 독수리 옥
兲 하늘 천 丟 아주 갈 주 弄 희롱할 롱(농)
主 주인 주 全 온전할 전 𦍌 양 양 呈 드릴 정, 한도 정 㞷 무성할 왕, 무성할 황 皇 임금 황, 갈 왕 䍿 깃춤 황, 봉황 황 望 바랄 망, 보름 망 聖 성인 성 朢 바랄 망, 보름 망
匡 바를 광, 앉은뱅이 왕
囯 나라 국
閏(闰) 윤달 윤
噩 놀랄 악
㝙 범 인, 세째 지지 인 寚 보배 보
㴏 못의 물이 흐르지 않을 왕
鬥 싸울 두, 싸울 투, 싸울 각

[English] wáng
king, monarch 国王 [guówáng]
ruler
prince
the highest rank of nobility
great
of a tremendous size
the strongest or most powerful
salutation of respect
audience with the ruler or emperor
a Korean family name
[English] wàng
rule
govern

[유사한자] 王𡈼壬玉主
王 임금 왕

商-殷墟甲骨文
春秋

𡈼 빼어날 정, 밝힐 징, 맑을 제
壬 북방 임
玉 구슬 옥
主 주인 주

[참고한자] 旺汪枉玍
旺 성할 왕
汪 넓을 왕
枉 굽을 왕
玍 까불 왕

[참고] 甲骨文(갑골문) oracle bone script
갑골문은 주로 은나라(BC 1766-1122)에서 거북의 등딱지나 짐승의 뼈에 새긴 문자를 가리킨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구갑수골문자(龜甲獸骨文字)라고 하나, 약칭하여 갑골문(甲骨文)으로 부른다. 달리 구갑문(龜甲文)이나 점(占)을 친 후에 복사나 점복(占卜)에 관한 일을 기록하면서 사용한 글자라는 의미에서 복사(卜辭) 혹은 정복문자(貞卜文字), 칼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로 새긴 글자라는 의미에서 계문(契文) 또는 은계(殷契) 등으로도 부른다.
청(淸)나라 때인 1899년 중국 허난성 샤오툰(河南省 小屯)이라는 마을에서 처음 글자가 새겨진 거북의 등딱지와 짐승의 뼈가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친 발굴과 연구를 통하여 은나라에서 주로 거북의 등딱지를 이용하여 길흉을 점치면서 그 점복이나 점사를 기록한 문자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된다. 갑골문은 칼처럼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거북의 등딱지나 짐승의 뼈에 새긴 문자로 현재까지 발굴된 조각은 약 10만여편이 넘는다고 하며 글자의 수로는 총 4,600여개에 이르고, 식별된 글자는 약 2,000개 가량이 된다.

갑골문

'第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珏 쌍옥 각  (0) 2021.06.12
6. 玉 구슬 옥  (0) 2021.06.12
4. 三 석 삼  (0) 2021.06.12
3. 示 보일 시, 알릴 시  (0) 2021.06.12
2.  丄 위 상  (0) 2021.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