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第一

12. 艸 풀 초

by kimlaw 2021. 6. 12.

《說文解字》 百芔也。从二屮。
o 백훼(百芔), 즉 모든 풀을 가리킨다.

o 두 개의 屮 싹날 철을 따른다.

설문해자

o 상형문자이고, 싹이 돋아난 모양을 성형한다.

邓石如

o 草 풀 초의 고자(古字 ancient form)이다.
o 부수나 자부로 사용될 때에는 艸가 艹(초두머리) 혹은 예를 들어 前 앞 전에서와 같이 䒑(초두머리)로 바뀐다.
o 부수에서 艹(초두머리)로 사용될 때에는 艹와 같이 十 두 개가 떨어져 있는 경우(일본에서는 4画くさかんむり라 한다)도 있고, 艹와 같이 두 개의 十에서 횡획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일본에서는 3画くさかんむり라 한다)도 있다.
o 설문해자에서는 초부(艸部)에 수록된 글자가 모두 457자(字)이다.
o 강희자전에서 가장 많은 한자에 사용된 부수는 艸 풀 초이며, 艸(풀초)가 부수로 사용된 글자로 모두 1,902자(characters)가 수록되어 있다(강희자전 140번째의 부수이다).
o 부수명칭은 「초두머리」라 한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くさかんむり(草冠), くさ(草), そうこう라 하고, 중국에서는 草字頭(초자두)라 하며 영어로는 radical grass라 한다.

[艸部]
莊 풀 성할 장, 씩씩할 장, 엄할 장, 전장 장 《說文》 上諱。
o 풀이 성하다(grassy).
o 艸 풀 초를 따르고, 壯 장할 장을 따른다.

설문해자

o 壯 장할 장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蓏 열매 라(나) 《說文》 在木曰果,在地曰蓏。从艸从㼌。
o 나무에 열린 열매는 果 실과 과라 하고, 땅에서 크는 열매는 蓏 열매 라라 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㼌 약할 유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식물의 뿌리가 땅속으로 뻗어 그 끝에 열매가 달린 모양을 나타낸다.
芝 지초 지 《說文》 神艸也。从艸从之。
o 신초(神艸), 즉 신령스러운 풀이다.
o 본래는 영지(灵芝 glossy ganoderma)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之 갈 지를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萐 상서풀 이름 삽 《說文》 萐莆,瑞艸也。堯時生於庖廚,扇暑而涼。从艸疌聲。
莆 서초 보, 서초 부, 부들 포 《說文》 萐莆也。从艸甫聲。
虋 차조 문 《說文》 赤苗,嘉穀也。从艸釁聲。
荅 좀콩 답 《說文》 小尗也。从艸合聲。
萁 콩깍지 기 《說文》 豆莖也。从艸其聲。
𧆑 어린 콩잎 곽, 푸른 콩 곽 《說文》 尗之少也。从艸靃聲。
莥 돌콩 뉴(유) 《說文》 鹿藿之實名也。从艸狃聲。
蓈 쭉정이 랑 《說文》 禾粟之𥝩,生而不成者,謂之蕫蓈。从艸郎聲。
莠 가라지 유, 씀바귀 수, 강아지풀 유 《說文》 禾粟下生莠。从艸秀聲。讀若酉。
萉 피할 비 《說文》 枲實也。从艸肥聲。
芓 암삼 자 《說文》 麻母也。从艸子聲。一曰芓卽枲也。
䔬 연교 이 《說文》 芓也。从艸異聲。
蘇 차조기 소, 되살아날 소 《說文》 桂荏也。从艸穌聲。
荏 들깨 임 《說文》 桂荏,蘇。从艸任聲。
䒨 쑥 시 《說文》 菜也。从艸矢聲。
䔇 물고사리 기 《說文》 菜之美者。雲夢之䔇。从艸豈聲。
葵 해바라기 규, 아욱 규 《說文》 菜也。从艸癸聲。
o 나물(아욱)을 뜻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癸 북방 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葵 해바라기 규로도 쓰인다.

Sunflowers(Vincent van Gogh, 1889)

䕬 생강 강 《說文》 禦溼之菜也。从艸彊聲。
蓼 여뀌 료 《說文》 辛菜,薔虞也。从艸翏聲。
䔃 푸성귀 조 《說文》 菜也。从艸祖聲。
𦼫 들깨같은 채소 거, 시화 거 《說文》 菜也。似蘇者。从艸豦聲。
薇 고비 미 《說文》 菜也。似藿。从艸微聲。
蓶 푸성귀 유 《說文》 菜也。从艸唯聲。
菦 미나리 근, 천연쑥 근 《說文》 菜,類蒿。从艸近聲。《周禮》有菦菹。
䖆 향유 양 《說文》 菜也。从艸釀聲。
莧 비름 현, 비름 한, 패모 한, 빙그레 웃는 모양 완 《說文》 莧菜也。从艸見聲。
芋 토란 우, 클 후 《說文》 大葉實根,駭人,故謂之芌也。从艸亏聲。
莒 감자 거, 땅 이름 려(여) 《說文》 齊謂芌為莒。从艸呂聲。
蘧 패랭이꽃 거, 패랭이꽃 구 《說文》 蘧麥也。从艸遽聲。
菊 국화 국 《說文》 大菊,蘧麥。从艸匊聲。
o 꽃이 커다란 국화(chrysanthemum)이고, 거맥(蘧麥)이라고도 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匊 움킬 국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위에는 艸 풀 초가 있고, 아래에는 米 쌀 미가 勹 쌀 포 안에 있는 모양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䕮 국화 국 蘜 국화 국은 같은 글자이다.
葷 매운 채소 훈 《說文》 臭菜也。从艸軍聲。
蘘 양하 양 《說文》 蘘荷也。一名葍蒩。从艸襄聲。
菁 우거질 청, 부추꽃 정 《說文》 韭華也。从艸青聲。
蘆 갈대 로(노), 절굿대 려(여) 《說文》 蘆菔也。一曰薺根。从艸盧聲。
o 노복(蘆菔)을 가리킨다.
o 일설은 제근(薺根)을 의미한다고 본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盧 성씨 로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芦 갈대 로 蘆 갈대 로는 같은 글자이다.
菔 무 복 《說文》 蘆菔。似蕪菁,實如小尗者。从艸服聲。
苹 개구리밥 평, 전차 이름 병, 부릴 병 《說文》 蓱也。無根,浮水而生者。从艸平聲。
茞 풀 이름 신 《說文》 艸也。从艸臣聲。
薲 네가래 빈 《說文》 大蓱也。从艸賓聲。
藍 쪽 람(남), 볼 감 《說文》 染青艸也。从艸監聲。
o 푸른색으로 물을 들이는 식물(indigo plant)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監 볼 감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蓝는 간체자이다.
o 청출어람(靑出於藍) 혹은 청출어람청어람(靑出於藍靑於藍)은 푸른 물감은 쪽에서 나오지만(the color blue is made out of indigo), 푸른색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표현으로 비유적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더 훌륭하다(the student has surpassed his or her teacher)는 의미이다.
《史記 三王世家》 青采出於藍 而質青於藍.
《사기 삼왕세가》 청채출어람 이질청어람.
藼 원추리 훤 《說文》 令人忘憂艸也。从艸憲聲。《詩》曰 : 安得藼艸?
𦵡 궁궁이 궁 《說文》 𦵡藭,香艸也。从艸宮聲。
藭 궁궁이 궁 《說文》 藭也。从艸窮聲。
蘭 난초 란(난) 《說文》 香艸也。从艸闌聲。
o 향초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闌 난간 란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兰은 간체자이다.
葌 띠 간 《說文》 艸,出吳林山。从艸姦聲。
葰 클 준, 생강 수, 생강 유, 고을 이름 사 《說文》 䕬屬。可以香口。从艸俊聲。
芄 왕골 환 《說文》 芄蘭,莞也。从艸丸聲。《詩》曰 : 芄蘭之枝。
虈 백지 효 《說文》 楚謂之蘺,晉謂之虈,齊謂之茝。从艸嚻聲。
o 초나라에서는 蘺 천궁 리라 하고, 진나라에서는 虈 백지 효라 하고, 제나라에서는 茝 궁궁이 채라 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嚻 시끄러울 효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䖀 백지 효는 같은 글자이다.
蘺 천궁 리(이) 《說文》 江蘺,蘼蕪。从艸離聲。
茝 궁궁이 채, 구릿대 지 《說文》 虈也。从艸𦣞聲。
蘪 천궁 미 《說文》 蘪蕪也。从艸麋聲。
薰 향초 훈 《說文》 香艸也。从艸熏聲。
o 향초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熏 연기낄 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𦺇 마디풀 독, 땅버들 독 《說文》 水萹茿。从艸从水,毒聲。讀若督。
萹 마디풀 편 《說文》 萹茿也。从艸扁聲。
茿 능수버들 축 《說文》 萹茿也。从艸,筑省聲。
𦼰 향초 걸, 수초 할 《說文》 芞輿也。从艸楬聲。
芞 향초 걸 《說文》 芞輿也。从艸气聲。
苺 딸기 매 《說文》 馬苺也。从艸母聲。
o 마매(馬苺)를 가리킨다.
o 딸기(berries)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母 어미 모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茖 달래 각 《說文》 艸也。从艸各聲。
苷 감초 감 《說文》 甘艸也。从艸从甘。
芧 상수리나무 서, 방동사니 저, 매자기 저 《說文》 艸也。从艸予聲。可以為繩。
藎 조개풀 신, 나머지 탄 《說文》 艸也。从艸盡聲。
蒁 봉아술 술, 봉아술 율 《說文》 艸也。从艸述聲。
荵 인동덩굴 인 《說文》 荵冬艸。从艸忍聲。
o 인동초를 가리킨다.

인동초

o 인동초는 추운 한 겨울에도 잘 견디는 강한 생명력을 가진 풀이고, 겨울을 살아서 넘어가는 덩굴이라는 의미에서 「겨우살이넌출」이라고도 부른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忍 참을 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萇 양도 장, 나무 이름 장 《說文》 萇楚,跳弋。一名羊桃。从艸長聲。
薊 삽주 계 《說文》 芺也。从艸魝聲。
荲 풀 이름 리(이) 《說文》 艸也。从艸里聲。讀若釐。
藋 명아주 조 《說文》 釐艸也。一曰拜商藋。从艸翟聲。
芨 말오줌나무 급 《說文》 堇艸也。从艸及聲。讀若急。
葥 질경이 전 《說文》 山苺也。从艸歬聲。
𦺒 독풀 무 《說文》 毒艸也。从艸婺聲。
蓩 취어초 모 《說文》 卷耳也。从艸務聲。
蓡 인삼 삼 《說文》 人薓,藥艸,出上黨。从艸𣹰聲。
䖂 순채 란(난) 《說文》 鳧葵也。从艸攣聲。
䓞 강아지풀 려(여) 《說文》 艸也。可以染留黃。从艸戾聲。
荍 당아욱 교 《說文》 蚍𧉈也。从艸收聲。
𦳈 다북쑥 피 《說文》 蒿也。从艸毗聲。
萭 풀 이름 우 《說文》 艸也。从艸禹聲。
荑 벨 이, 띠 싹 제, 삘기 제 《說文》 艸也。从艸夷聲。
薛 맑은 대쑥 설 《說文》 艸也。从艸辥聲。
苦 쓸 고 《說文》 大苦,苓也。从艸古聲。
o 크고 쓴 도꼬마리를 뜻한다.

도꼬마리

o 艸 풀 초를 따르고, 古 예 고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菩 보살 보, 향초 이름 배 《說文》 艸也。从艸咅聲。
𦺳 율무 의 《說文》 薏苢。从艸𠶷聲。一曰𦺳英。
芧 상수리나무 서, 방동사니 저, 매자기 저《說文》 菅也。从艸矛聲。
菅 골풀 관 《說文》 茅也。从艸官聲。
蘄 풀 이름 기 《說文》 艸也。从艸纥聲。江夏有蘄春亭。
莞 왕골 완 《說文》 艸也。可以作席。从艸完聲。
藺 골풀 린(인) 《說文》 莞屬。从艸閵聲。
蒢 까마종이 제 《說文》 黃蒢,職也。从艸除聲。
蒲 부들 포 《說文》 水艸也。可以作席。从艸浦聲。
o 물에서 자라는 풀(부들)이다.

부들

o 잎으로는 자리(돗자리), 방석을 만들기도 하고, 줄기로는 짚신 혹은 초가집의 지붕이나 담을 이기 위하여 이엉을 만들기도 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浦 개 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초여름에 꽃가루받이를 할 때에 몸체가 부들부들 떤다고 하여 「부들」이라 한다.
蒻 부들 약 《說文》 蒲子。可以為平席。从艸弱聲。
𦸂 부들 심 《說文》 蒲蒻之類也。从艸深聲。
蓷 익모초 퇴 《說文》 萑也。从艸推聲。《詩》曰 : 中谷有蓷。
萑 풀 많을 추 《說文》 艸多皃。从艸隹聲。
o 풀이 많은 모양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隹 새 추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새가 풀 속에 숨어 놀고 있으므로, 풀이 많은 모양을 나타낸다.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상-은허갑골문

茥 딸기 규 《說文》 缺盆也。从艸圭聲。
莙 버들말즘 군 《說文》 井藻也。从艸君聲。讀若威。
𦺊 골 환 《說文》 夫蘺也。从艸睆聲。
蒚 마늘 력(역) 《說文》 夫蘺上也。从艸鬲聲。
苢 질경이 이 《說文》 芣苢。一名馬舄。其實如李,令人宜子。从艸㠯聲。《周書》所說。
蕁 지모 담 《說文》 䒞藩也。从艸尋聲。
𦿓 풀 격 《說文》 艸也。从艸毄聲。
蓲 물억새 구 《說文》 艸也。从艸區聲。
䓢 풀 이름 고 《說文》 艸也。从艸固聲。
𦾮 벼줄기 간 《說文》 艸也。从艸榦聲。
藷 사탕수수 저 《說文》 藷蔗也。从艸諸聲。
蔗 사탕수수 자 《說文》 藷蔗也。从艸庶聲。
𧃱 양하 양 《說文》 牂𧃱,可以作縻綆。从艸𤕦聲。
𧀩 풀 이름 사 《說文》 艸也。从艸賜聲。
𦬕 풀 이름 중 《說文》 艸也。从艸中聲。 
萯 하눌타리 부 《說文》 王萯也。从艸負聲。
芺 엉겅퀴 요 《說文》 艸也。味苦,江南食以下气。从艸夭聲。
𦱁 풀 현 《說文》 艸也。从艸弦聲。
𧅲 풀 이름 유 《說文》 艸也。从艸𡈹聲。𡈹,籀文囿。
莩 풀 이름 부 《說文》 艸也。从艸孚聲。
蔩 쥐참외 인 《說文》 兎苽也。从艸寅聲。
荓 풀 이름 병, 마추 병 《說文》 馬帚也。从艸并聲。
o 마추, 즉 말을 먹이기 위한 풀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并 아우를 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蕕 누린내풀 유 《說文》 水邊艸也。从艸猶聲。
荌 풀 이름 안 《說文》 艸也。从艸安聲。
藄 고비 기 《說文》 綦月爾也。从艸綦聲。
莃 희나물 희 《說文》 兎葵也。从艸,稀省聲。
𦿏 대싸리 몽 《說文》 灌渝。从艸夢聲。讀若萌。
蕧 금불초 복 《說文》 盜庚也。从艸復聲。
苓 도꼬마리 령(영) 《說文》 卷耳也。从艸令聲。
𧆐 율무 공 《說文》 艸也。从艸𥫔聲。一曰薏苢。
藑 순채 경 《說文》 茅,葍也。一名蕣。从艸夐聲。
o 띠를 가리키고, 메꽃을 가리킨다.
o 일설은 무궁화(蕣)를 일컫는다고 본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夐 멀 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경모(藑茅)는 고서에 나오는 영초(靈草)로 붉은 꽃이 피고, 약재로도 사용하며, 그 줄기로는 점을 쳐서 앞날의 운수를 미리 알아보는 점복(占卜)에 사용한다고 한다.
䔰 메꽃 부 《說文》 葍也。从艸富聲。
o 메꽃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富 부유할 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葍 메꽃 복 《說文》 䔰也。从艸畐聲。
o 메꽃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畐 가득할 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蓨 싹 조, 수산 수, 기쁠 수 《說文》 苗也。从艸脩聲。
苖 참소리쟁이 적 《說文》 蓨也。从艸由聲。
𦳝 자리공 창 《說文》 艸。枝枝相値,葉葉相當。从艸昜聲。
薁 까마귀머루 욱 《說文》 嬰薁也。从艸奥聲。 
葴 쪽풀 침, 쪽풀 함, 사람 이름 겸 《說文》 馬藍也。从艸咸聲。
𧀦 지풍초 로(노) 《說文》 艸也。可以束。从艸魯聲。
𦳋 풀 이름 괴 《說文》 艸也。从艸㕟聲。
蔞 쑥 루(누) 《說文》 艸也。可以亨魚。从艸婁聲。
藟 등나무덩굴 류(유) 《說文》 艸也。从艸畾聲。《詩》曰 : 莫莫葛藟。一曰秬鬯也。
蒬 풀 이름 원 《說文》 棘蒬也。从艸冤聲。
茈 지치 자 《說文》 茈艸也。从艸此聲。
𧂀 작을 묘 《說文》 茈艸也。从艸䫉聲。
萴 바꽃 즉, 바꽃 측 《說文》 烏喙也。从艸則聲。
蒐 꼭두서니 수 《說文》 茅蒐,茹藘。人血所生,可以染絳。从艸从鬼。
茜 꼭두서니 천 《說文》 茅蒐也。从艸西聲。
蕼 풀 이름 사 《說文》 赤𧀳也。从艸、𨽸。
薜 승검초 벽, 줄사철나무 폐, 갈라질 박 《說文》 牡贊也。从艸辟聲。
莣 참억새 망 《說文》 杜榮也。从艸忘聲。
苞 그령 포, 쌀 포 《說文》 艸也。南陽以為麤履。从艸包聲。
艾 쑥 애, 다스릴 예 《說文》 冰臺也。从艸乂聲。
o 쑥이다.
o 쑥을 비비면 불을 붙일 수 있다고 하는 의미로 빙대(冰臺)라 한다.
o 쑥은 애엽(艾葉), 의초, 애고, 황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乂 벨 예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蔁 풀 이름 장 《說文》 艸也。从艸章聲。
芹 미나리 근 《說文》 楚葵也。从艸斤聲。
o 미나리(celery)이다.
o 미나리는 한자로 초규(楚葵), 근채(芹菜), 수근(水芹), 수영(水英)이라 부른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斤 근 근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䓅 미나리 근 斳 미나리 근 菦 미나리 근은 같은 글자이다.
薽 여우오줌풀 진 《說文》 豕首也。从艸甄聲。
蔦 담쟁이 조 《說文》 寄生也。从艸鳥聲。《詩》曰 : 蔦與女蘿。
芸 향초 이름 운 《說文》 艸也。似目宿。从艸云聲。《淮南子》說 : 芸艸可以死復生。
䔴 풀 이름 최, 풀이 나는 모양 체 《說文》 艸也。从艸𠭥聲。
葎 한삼덩굴 률(율) 《說文》 艸也。从艸律聲。
茦 풀가사리 책 《說文》 莿也。从艸朿聲。
䒷 괄루 괄, 하눌타리 괄 《說文》 䒷婁,果蓏也。从艸𠯑聲。
葑 순무 봉 《說文》 須從也。从艸封聲。
薺 냉이 제 《說文》 蒺棃也。从艸齊聲。《詩》曰 : 牆有薺。
莿 까끄라기 자, 까끄라기 책 《說文》 茦也。从艸刺聲。
o 까그라기(awn)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刺 찌를 자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까끄라기는 벼, 보리 따위의 낟알에 붙은 깔끄러운 수염를 가리킨다.
蕫 동독할 동, 황모 동 《說文》 鼎蕫也。从艸童聲。杜林曰 : 藕根。
蘻 풀 연접할 계 《說文》 狗毒也。从艸繫聲。
𦺋 닭의장풀 소, 애기닭의밑씻개 소, 애기닭의밑씻개 수 《說文》 艸也。从艸嫂聲。
芐 지황 하, 지황 호 《說文》 地黃也。从艸下聲。《禮記》鈃毛 : 牛、藿;羊、芐;豕、薇。是。
薟 가위톱 렴(염), 가위톱 험 《說文》 白薟也。从艸僉聲。
菳 풀 이름 금 《說文》 黃菳也。从艸金聲。
芩 풀이름 금 《說文》 艸也。从艸今聲。《詩》曰 : 食野之芩。
藨 쥐눈이콩 표 《說文》 鹿藿也。从艸麃聲。讀若剽。一曰𦳋屬。
𧅖 청모 역 《說文》 綬也。从艸鶪聲。《詩》曰「邛有旨𧅖」是。
蔆 마름 릉(능) 《說文》 芰也。从艸淩聲。楚謂之芰,秦謂之薢茩。
芰 세발 마름 기 《說文》 蔆也。从艸支聲。
薢 마름 해 《說文》 薢茩也。从艸解聲。
茩 초결명 구 《說文》 薢茩也。从艸后聲。
芡 가시연꽃 검, 가시연꽃 감 《說文》 雞頭也。从艸欠聲。
䕮 국화 국 《說文》 日精也。以秋華。从艸,𥶶省聲。
蘥 귀리 약 《說文》 爵麥也。从艸龠聲。
藗 띠 속 《說文》 牡茅也。从艸遬聲。遬,籀文速。
𦮺 띠꽃 사 《說文》 茅秀也。从艸私聲。
蒹 갈대 겸 《說文》 雚之未秀者。从艸兼聲。
o 황새의 꼬리가 수려한 모양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兼 겸할 겸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갈대는 습한 물가나 강가에서 자라고, 억새는 건조한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갈대(전남 순천만)
억새(장안산, 전북 장수)

薍 물억새 완, 달래 뿌리 란(난) 《說文》 𦵹也。从艸亂聲。八月薍為葦也。
菼 물억새 담 《說文》 雚之初生。一曰薍。一曰鵻。从艸剡聲。
薕 물억새 렴(염) 《說文》 蒹也。从艸廉聲。
薠 풀 이름 번 《說文》 青薠,似莎者。从艸煩聲。
䒢 창포 앙 《說文》 昌蒲也。从艸卬聲。益州云。
䓉 명협풀 야, 풀 이름 사 《說文》 䒢䓉也。从艸邪聲。
芀 갈대 이삭 초 《說文》 葦華也。从艸刀聲。
茢 갈대꽃 렬(열) 《說文》 芀也。从艸𠛱聲。
䓿 연꽃봉우리 함 《說文》 䓿𧂄也。从艸圅聲。
𧂄 연봉오리 담 《說文》 䓿𧂄。芙蓉華未發為䓿𧂄,已發為芙蓉。从艸閻聲。
蓮 연밥 련(연) 《說文》 芙蕖之實也。从艸連聲。
o 연꽃(芙蕖)의 열매를 가리킨다.

연밥(덕진연못, 전북 전주)

o 艸 풀 초를 따르고, 連 잇닿을 련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莲은 간체자이다.
茄 연줄기 가 《說文》 芙蕖莖。从艸加聲。
o 연꽃의 줄기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加 더할 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荷 연 하, 멜 하, 꾸짖을 하, 잗달 가 《說文》 芙蕖葉。从艸何聲。
o 연꽃의 잎이다.

연입

o 艸 풀 초를 따르고, 何 어찌 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蔤 연근 밀 《說文》 芙蕖本。从艸密聲。
o 연꽃의 밑동이다.

연근

o 艸 풀 초를 따르고, 密 빽빽할 밀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蕅 연뿌리 우 《說文》 芙蕖根。从艸、水,禺聲。
o 연꽃의 뿌리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禺 어리석을 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蘢 개여뀌 롱(농) 《說文》 天蘥也。从艸龍聲。
蓍 시초 시 《說文》 蒿屬。生十歲,百莖。《易》以為。天子蓍九尺,諸侯七尺,大夫五尺,士三尺。从艸耆聲。
o 쑥의 일종이다.
o 일지호(一枝蒿)라고 부르고, 입이 톱니처럼 생겨 톱풀(yarrow)이라 하거나 입이 가새(가위)을 닮아 가새풀이라고도 한다.

톱풀

o 자라나 10년이 되면 줄기가 100개가 된다.
《尚书大传》 蓍, 百年一本生百茎。
《상서대전》 시, 백년일본생백경。
o 《주역》에서는 시초의 수를 셈하여 나온 점괘에 따라 점을 친다(古代用其茎占卜).

시초

o 천자가 사용하는 시초(점대)는 그 길이가 9척이고, 제후는 7척, 대부는 5척, 사(士)는 3척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耆 늙을 기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菣 개사철쑥 긴, 개사철쑥 견 《說文》 香蒿也。从艸臤聲。
莪 지칭개 아 《說文》 蘿莪,蒿屬。从艸我聲。
蘿 무 라(나) 《說文》 莪也。从艸羅聲。
菻 쑥 름(늠) 《說文》 蒿屬。从艸林聲。
蔚 풀 이름 울, 성할 위 《說文》 牡蒿也。从艸𤈫聲。
蕭 맑은대쑥 소 《說文》 艾蒿也。从艸肅聲。
萩 사철쑥 추 《說文》 蕭也。从艸秋聲。
芍 함박꽃 작 《說文》 鳧茈也。从艸勺聲。
𦺍 산딸기 전 《說文》 王彗也。从艸𣾅聲。
蒍 애기풀 위 《說文》 艸也。从艸為聲。
䒞 풀 이름 침 《說文》 艸也。从艸冘聲。
蘜 국화 국 《說文》 治牆也。从艸鞠聲。
蘠 장미 장 《說文》 蘠靡,虋冬也。从艸牆聲。
芪 단너삼 기 《說文》 芪母也。从艸氏聲。
菀 자완 완 《說文》 茈菀,出漢中房陵。从艸宛聲。
莔 패모 맹 《說文》 貝母也。从艸,明省聲。
𦬸 삽주뿌리 출 《說文》 山薊也。从艸术聲。
蓂 명협 명 《說文》 析蓂,大薺也。从艸冥聲。
菋 오미자 미 《說文》 荎藸也。从艸味聲。
o 오미자(五味magnoliavine)를 가리킨다.

오미자

o 艸 풀 초를 따르고, 味 맛 미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열매를 먹어보면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 가지 맛이 나므로 오미자라 한다.
荎 오미자 치 《說文》 荎藸,艸也。从艸至聲。
o 오미자를 뜻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至 이를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藸 오미자 저 《說文》 荎藸也。从艸豬聲。
o 오미자를 뜻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豬 돼지 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葛 칡 갈 《說文》 絺綌艸也。从艸曷聲。
o 칡베(葛布)를 짜는 식물을 가리킨다.
o 칡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曷 어찌 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蔓 덩굴 만 《說文》 葛屬。从艸曼聲。
o 칡과 같이 길게 뻗어 나가는 식물(creeping plants)을 가리킨다.
o 덩굴(vine)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曼 길게 끌 만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䔌 풀 이름 고 《說文》 葛屬。白華。从艸皐聲。
莕 마름풀 행 《說文》 菨餘也。从艸杏聲。
菨 개연꽃 접 《說文》 菨餘也。从艸妾聲。
𧃣 향초 곤, 향풀 곤 《說文》 艸也。从艸𥊽聲。
芫 팥꽃나무 원 《說文》 魚毒也。从艸元聲。
o 독이 있는 식물(poisonous plant)이고, 여뀌를 가리킨다.
o 여뀌를 짓찧어 짜낸 즙을 냇물에 풀면 물고기가 그 독성에 기절하여 물 위로 떠오르므로(以投水中, 魚則死而浮出), 일명 어독(魚毒)이라 부른다.
《爾雅 釋木》 杬,魚毒。
《이아 석목》 원,어독。
o 艸 풀 초를 따르고, 元 으뜸 원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蘦 감초 령(영) 《說文》 大苦也。从艸霝聲。
o 매우 쓰다.
o 감초(甘草)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霝 비 올 령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蕛 돌피 제 《說文》 蕛苵也。从艸稊聲。
苵 돌피 질 《說文》 蕛苵也。从艸失聲。
艼 구장 정 《說文》 艼熒,朐也。从艸丁聲。
蔣 줄 장 《說文》 苽蔣也。从艸將聲。
苽 줄 고 《說文》 雕苽。一名蔣。从艸瓜聲。
𦱀 풀 육 《說文》 艸也。从艸育聲。
藣 쇠꼬리 피 《說文》 艸也。从艸罷聲。
䕼 풀 이름 연 《說文》 艸也。从艸難聲。
莨 수크령 랑(낭) 《說文》 艸也。从艸良聲。
葽 풀 이름 요 《說文》 艸也。从艸要聲。《詩》曰 : 四月秀葽。 劉向說 : 此味苦,苦葽也。
薖 풀 이름 과 《說文》 艸也。从艸過聲。
菌 버섯 균, 버섯 훤, 버섯 권 《說文》 地蕈也。从艸囷聲。
o 땅에서 자라는 버섯(mushroom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囷 곳집 균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蔨 버섯 균은 같은 글자이다.
蕈 버섯 심 《說文》 桑䓴。从艸覃聲。
o 뽕나무에 나는 버섯을 가리킨다.
o 且 또 차를 따르고, 覃 깊을 담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䓴 목이버섯 연 《說文》 木耳也。从艸耎聲。一曰萮茈。
o 목이버섯을 가리킨다.
o 且 또 차를 따르고, 耎 가냘플 연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유자(萮茈)라고 한다.
葚 오디 심 《說文》 桑實也。从艸甚聲。
o 뽕나무에 열리는 열매, 즉 오디(mulberry fruit)를 가리킨다.

오디

o 艸 풀 초를 따르고, 甚 심할 심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蒟 구장 구 《說文》 果也。从艸竘聲。
芘 풀 이름 비 《說文》 艸也。一曰芘茮木。从艸比聲。
蕣 무궁화 순 《說文》 木堇,朝華暮落者。从艸䑞聲。《詩》曰 : 顔如蕣華。
o 목근(木堇), 즉 무궁화를 가리키며, 아침에 꽃이 피고, 저녁에 떨어진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䑞 순임금 순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안여순화(顔如蕣華), 즉 “얼굴이 무궁화의 꽃과 같다”고 한다.
萸 수유 유 《說文》 茱萸也。从艸臾聲。
o 수유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臾 잠깐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茰 수유 유는 동음동의이다.
茱 수유 수 《說文》 茱萸,茮屬。从艸朱聲。
o 수유를 가리키고, 후추(茮)의 일종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朱 붉을 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茮 후추 초 《說文》 茮莍。从艸尗聲。
o 후추나무의 열매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朱 붉을 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莍 차조 출 《說文》 茮樧實裏如表者。从艸求聲。
o 후추나무나 오수유의 열매의 속살이 겉으로 터져 도톨도톨하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求 구할 구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荆 가시나무 형 《說文》 楚木也。从艸刑聲。
o 가시나무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刑 형벌 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荊 가시나무 형은 같은 글자이다.
o 초목(楚木) 혹은 형목(荆木)은 죄인의 볼기나 허벅다리를 치는 태형(笞刑)이나 장형(杖刑)을 가할 때에 사용하는 형구(곤장)로 사용한다.

菭 이끼 태 《說文》 水衣。从艸治聲。
芽 싹 아 《說文》 萌芽也。从艸牙聲。
o 식물에 새로 트는 싹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牙 어금니 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萌 싹 맹 《說文》 艸芽也。从艸明聲。
o 풀싹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明 밝을 명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茁 싹 줄, 풀 처음 나는 모양 줄, 싹틀 촬, 싹 절 《說文》 艸初生出地皃。从艸出聲。《詩》曰 : 彼茁者葭。
莖 줄기 경 《說文》 枝柱也。从艸巠聲。 
o 줄기(stem, stalk)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巠 물줄기 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茎은 간체자이다.
莛 줄기 정 《說文》 莖也。从艸廷聲。
葉 잎 엽 《說文》 艸木之葉也。从艸枼聲。
o 초목의 잎(leaf)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枼 나뭇잎 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초목의 줄기에 잎이 달려 있는 모양이다.

商代
春秋

o 䈎 대나무 잎 엽 枼 나뭇잎 엽은 같은 의미이다.
o 叶는 간체자이다.
𦺶 좀스러운 풀 계, 잔풀 계 《說文》 艸之小者。从艸㓹聲。㓹,古文銳字。讀若芮。
芣 질경이 부 《說文》 華盛。从艸不聲。一曰芣苢。
葩 꽃 파 《說文》 華也。从艸皅聲。
芛 죽순 순 《說文》 艸之葟榮也。从艸尹聲。
蘳 노란 꽃 휴 《說文》 黃華。从艸黊聲。讀若壞。
蔈 능소화 표 《說文》 苕之黃華也。从艸𤐫聲。一曰末也。
英 꽃부리 영 《說文》 艸榮而不實者。一曰黃英。从艸央聲。
o 꽃부리이고, 아직 열매는 달려 있지 않다.
o 일설은 황영(黃英)이라고 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央 선명한 모양 영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春秋

o 형성문자이다.
薾 번성할 이 《說文》 華盛。从艸爾聲。《詩》曰 : 彼薾惟何?
萋 우거질 처, 풀 성하게 우거진 모양 처 《說文》 艸盛。从艸妻聲。《詩》曰 : 菶菶萋萋。
菶 풀 무성할 봉 《說文》 艸盛。从艸奉聲。
薿 우거질 의, 우거질 억 《說文》 茂也。从艸疑聲。《詩》曰 : 黍稷薿薿。
蕤 드리워질 유 《說文》 艸木華垂皃。从艸甤聲。
葼 가늘 종 《說文》 青齊沇冀謂木細枝曰葼。从艸㚇聲。
䔟 시들 이 《說文》 艸萎䔟。从艸移聲。
蒝 퍼질 원, 줄기와 잎 퍼질 원 《說文》 艸木形。从艸原聲。
荚 풀 열매 협, 꼬투리 협 《說文》 艸實。从艸夾聲。
𦬆 가스랑이 망, 까끄라기 망 《說文》 艸耑。从艸亾聲。
䔺 꼭지 수, 쪽이삭 우 《說文》 藍蓼秀。从艸,隨省聲。
蔕 가시 체 《說文》 瓜當也。从艸帶聲。
荄 풀뿌리 해 《說文》 艸根也。从艸亥聲。
荺 연뿌리 윤 《說文》 茇也。茅根也。从艸均聲。
茇 풀뿌리 발 《說文》 艸根也。从艸犮聲。春艸根枯,引之而發土為撥,故謂之茇。一曰艸之白華為茇。
芃 무성할 봉, 풀 무성할 봉 《說文》 艸盛也。从艸凡聲。《詩》曰 : 芃芃黍苗。
o 풀이 무성하다(luxuriant growth).
o 艸 풀 초를 따르고, 凡 무릇 범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봉봉서묘(芃芃黍苗)라고 한다.
o 梵 무성한 모양 봉은 같은 의미이다.
𦺉 꽃 부, 꽃잎 까를 부 《說文》 華葉布。从艸傅聲。讀若傅。
蓻 풀 많이 날 집, 풀 많이 날 녁(역), 국화 국 《說文》 艸木不生也。一曰茅芽。从艸執聲。
o 초목이 나지 않다.
《集韵》 草不生也。
《집운》 초불생야。
o 달리 초목이 나오는 모양(艸木生皃)이라고 보기도 한다.
《唐韵》 草生多貌。
《당운》 초생다모。
o 일설은 모아(茅芽), 즉 띠싹을 가리킨다고 본다.
《玉篇》 茅芽也。
《옥편》 모아야。
o 艸 풀 초를 따르고, 執 잡을 집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商代

o 형성문자이다.
䓄 풀이 더부룩한 모양 은, 풀이 더부룩한 모양 의 《說文》 艸多皃。从艸㹞聲。江夏平春有䓄亭。
o 풀이 더부룩한 모양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㹞 으르렁거릴 은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강하(江夏)에 있는 평춘(平春)에 은정(䓄亭)이 있다.
茂 무성할 무, 우거질 무 《說文》 艸豐盛。从艸戊聲。
o 초목이 무성하게 우거지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戊 무성할 무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𧀄 풀 성할 창, 우거질 창 《說文》 艸茂也。从艸畼聲。
蔭 그늘 음 《說文》 艸陰地。从艸陰聲。
䔏 버금 추 《說文》 艸皃。从艸造聲。
茲 무성할 자 《說文》 艸木多益。从艸,兹省聲。
𦵦 가뭄에 말를 적, 초목 가물어 타 죽을 적 《說文》 艸旱盡也。从艸俶聲。《詩》曰 : 𦵦𦵦山川。
藃 풀 모양 호, 풀 모양 고 《說文》 艸皃。从艸歊聲。《周禮》曰 : 轂𡚁不藃。
蔇 풀 많을 기 《說文》 艸多皃。从艸旣聲。
薋 풀 더부룩할 자 《說文》 艸多皃。从艸資聲。
蓁 우거질 진 《說文》 艸盛皃。从艸秦聲。
莦 모진 풀 소 《說文》 惡艸皃。从艸肖聲。
芮 풀 뾰족뾰족 날 예, 성씨 예, 종족 이름 열 《說文》 芮芮,艸生皃。从艸內聲。讀若汭。
o 풀싹이 나서 뾰족뾰족하게 자라는 모양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內 안 내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汭 물굽이 예와 같게 발음한다.
茬 풀 모양 치 《說文》 艸皃。从艸在聲。濟北有茬平縣。
薈 무성할 회 《說文》 艸多皃。从艸會聲。《詩》曰 : 薈兮蔚兮。
䓮 잔풀이 더부룩하게 날 무, 잔풀이 더부룩하게 날 모 《說文》 細草叢生也。从艸敄聲。
芼 풀 우거질 모, 우거질 모 《說文》 艸覆蔓。从艸毛聲。《詩》曰 : 左右芼之。
蒼 푸를 창 《說文》 艸色也。从艸倉聲。
葻 풀 바람에 흔들리는 모양 람(남) 《說文》 艸得風皃。从艸、風。讀若婪。
萃 모일 췌, 버금 쵀 《說文》 艸皃。从艸卒聲。讀若瘁。
蒔 모종 낼 시 《說文》 更別種。从艸時聲。
苗 모 묘 《說文》 艸生於田者。从艸从田。
o 식물이 논밭에서 자라다.
o 묘(sprouts, seedlings of cereal crops)를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田 밭 전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을 보면 밭에서 식물의 새싹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을 상형한다.

상-은허갑골문
商代

苛 매울 가, 가혹할 가 《說文》 小艸也。从艸可聲。
蕪 거칠어질 무 《說文》 薉也。从艸無聲。
薉 거친 풀 예 《說文》 蕪也。从艸歲聲。
荒 거칠 황 《說文》 蕪也。从艸㠩聲。一曰艸淹地也。
o 거칠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㠩 거칠 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戰國

o 형성문자이다.
o 일설은 초엄지(艸淹地), 즉 황무지(wasteland)를 가리킨다고 본다.
o 蕪 거칠 무는 같은 의미이다.
𦺝 흐트러질 녕(영) 《說文》 艸亂也。从艸寍聲。杜林說 : 艸𦱊𦺝皃。
𦱊 풀 어지러운 모양 쟁, 풀이 이리저리 핀 모양 쟁 《說文》 𦱊𦺝皃。从艸爭聲。
落 떨어질 락(낙) 《說文》 凡艸曰零,木曰落。从艸洛聲。
o 무릇 풀에서 입이 떨어지면 零 떨어질 령이라 하고, 나뭇에서 잎이나 꽃이 떨어지면 落 떨어질 락이라 한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洛 물 이름 락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蔽 덮을 폐 《說文》 蔽蔽,小艸也。从艸敝聲。
蘀 낙엽 탁 《說文》 艸木凡皮葉落陊地為蘀。从艸擇聲。《詩》曰 : 十月隕蘀。
蕰 붕어마름 온, 쌓을 온 《說文》 積也。从艸温聲。《春秋傳》曰 : 蕰利生孽。
蔫 시들 언 《說文》 菸也。从艸焉聲。
菸 향초 어 《說文》 鬱也。从艸於聲。一曰𣨙也。
𦾵 풀 뒤얽힌 모양 경, 풀 뒤얽힌 모양 영 《說文》 艸旋皃也。从艸榮聲。《詩》曰 : 葛纍𦾵之。
蔡 거북 채 《說文》 艸也。从艸祭聲。
茷 무성할 벌, 깃발 패, 우거져 얽힐 발 《說文》 艸葉多。从艸伐聲。《春秋傳》曰 : 晉糴茷。
菜 나물 채 《說文》 艸之可食者。从艸采聲。
o 먹을 수 있는 식물이다.
o 나물(vegetable)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采 캘 채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손(爪)을 뻗어 나물을 캐는 모양을 나타낸다.

周中

荋 풀 많을 이 《說文》 艸多葉皃。从艸而聲。沛城父有楊荋亭。
䒦 풀이 물 위에 뜬 모양 범 《說文》 艸浮水中皃。从艸乏聲。
薄 엷을 박 《說文》 林薄也。一曰蠶薄。从艸溥聲。
苑 나라 동산 원, 막힐 울 《說文》 所以養禽獸也。从艸夗聲。
o 짐승을 키울 수 있다.
o 울타리를 쳐 소나 말과 같은 짐승을 키우는 동산(임목이 자라는 낮은 언덕이나 작은 산)을 가리킨다.
《三苍》 养牛马林木曰苑。
《삼창》 양우마림목왈원。
《字林》 有垣曰苑。
《자림》 유원왈원。
o 艸 풀 초를 따르고, 夗 누워 딩굴 원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藪 늪 수, 굴대 끼우는 구멍 추 《說文》 大澤也。从艸𢿙聲。九州之藪 : 楊州具區,荆州雲夢,豫州甫田,青州孟諸,沇州大野,雝州弦圃,幽州奚養,冀州楊紆,并州昭餘祁是也。
菑 묵정밭 치 《說文》 不耕田也。从艸、甾。《易》曰 : 不菑畬。
o 묵정밭, 즉 농사를 짓지 않고 버려두어 거칠어진 밭(field that has been under cultivation for one year)을 가리킨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甾 꿩 치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주역》에서 이르기를 불경확불치여(不耕穫不菑畬), 즉 “가꾸지 않아도 수확할 수 있고, 일구지 않아도 새밭”이라고 한다.
𧄎 풀 우거진 모양 요, 풀 더부룩한 모양 요 《說文》 艸盛皃。从艸繇聲。《夏書》曰 : 厥艸惟𧄎。
薙 깎을 치, 풀 후려쳐 벨 체, 목련 치 《說文》 除艸也。《明堂月令》曰 : 季夏燒薙。从艸雉聲。
䒹 풀이 많은 모양 뢰(뇌) 《說文》 耕多艸。从艸、耒,耒亦聲。
o 풀이 많이 자란 밭을 갈다.
o 艸 풀 초, 耒 쟁기 뢰를 따르고, 耒 쟁기 뢰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쟁기로 풀이 많은 밭을 가는 모양을 나타낸다.
𦳙 풀 클 치 《說文》 艸大也。从艸致聲。
蔪 쌀 점, 우거질 점, 벨 삼 《說文》 艸相蔪苞也。从艸斬聲。《書》曰 : 艸木蔪苞。
茀 풀 우거질 불 《說文》 道多艸,不可行。从艸弗聲。
o 길에 풀이 많아(overgrown with grass) 다닐 수 없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弗 아닐 불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이나 금문에서 ㄹ(혹은 弓 활 궁)은 길을 나타내고, 길에 林 수풀 림 혹은 두 그루의 木 나무 목이 있으므로, 길 위에 나무가 자라 다닐 수가 없다는 의미이다.

商-殷墟甲骨文
周早

苾 향기로울 필 《說文》 馨香也。从艸必聲。
蔎 향초 설 《說文》 香艸也。从艸設聲。
芳 꽃다울 방 《說文》 香艸也。从艸方聲。
o 향초, 즉 향기가 나는 화초(fragrant grass)을 가리킨다.
o 역시 화초의 향기(aroma, fragrance)를 의미하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方 모 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蕡 들깨 분 《說文》 雜香艸。从艸賁聲。
藥 약 약, 뜨거울 삭, 간 맞출 략(약) 《說文》 治病艸。从艸樂聲。
o 병을 다스리는 풀(medicinal herbs)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樂 노래 악은 성부이다.

周晩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䕻 달라붙을 려(여), 달라붙을 리(이) 《說文》 艸木相附䕻土而生。从艸麗聲。《易》曰 : 百榖艸木䕻於地。
蓆 자리 석 《說文》 廣多也。从艸席聲。
芟 벨 삼 《說文》 刈艸也。从艸从殳。
荐 거듭할 천 《說文》 薦蓆也。从艸存聲。
藉 깔개 자 《說文》 祭藉也。一曰艸不編,狼藉。从艸耤聲。
蒩 띠거적 조 《說文》 茅藉也。从艸租聲。《禮》曰 : 封諸侯以土,蒩以白茅。
蕝 띠 묶어 표할 절 《說文》 朝會束茅表位曰蕝。从艸絕聲。《春秋國語》曰 : 致茅蕝,表坐。
茨 가시나무 자 《說文》 以茅葦蓋屋。从艸次聲。
葺 기울 즙, 기울 집, 지붕 일 집 《說文》 茨也。从艸咠聲。
葢 덮을 개 《說文》 苫也。从艸盇聲。
苫 이엉 점 《說文》 蓋也。从艸占聲。
䔽 덮을 애 《說文》 蓋也。从艸渴聲。
䓛 쓸어버릴 굴, 쓸어버릴 골 《說文》 刷也。从艸屈聲。
藩 울타리 번, 덮을 번 《說文》 屏也。从艸潘聲。
菹 채소 절임 저 《說文》 酢菜也。从艸沮聲。
荃 향초 전, 붓꽃 손, 고운 베 철, 풀 이름 찰, 겨자 무침 전 《說文》 芥脃也。从艸全聲。
䔯 부추 고 《說文》 韭鬱也。从艸酤聲。
蘫 오아김치 람(남), 물 맑을 람(남) 《說文》 瓜菹也。从艸監聲。
䓜 김치 지 《說文》 菹也。从艸泜聲。
䕩 말린 매실 료(요) 《說文》 乾梅之屬。从艸橑聲。《周禮》曰 : 饋食之籩,其實乾䕩。後漢長沙王始煑艸為䕩。
𧆈 머귀나무 의 《說文》 煎茱萸。从艸𩕺聲。漢津 : 會稽獻𧆈一斗。
䔂 나물로 국 끓일 자, 나물 이름 재 《說文》 羹菜也。从艸宰聲。
若 같을 약 《說文》 擇菜也。从艸、右。右,手也。一曰杜若,香艸。
蓴 순채 순 《說文》 蒲叢也。从艸專聲。
𦭮 자리 인 《說文》 以艸補缺。从艸㐁聲。讀若陸。或以為綴。一曰約空也。
䔿 무성한 모양 준 《說文》 叢艸也。从艸尊聲。
莜 김매는 연장 조 《說文》 艸田器。从艸,條省聲。《論語》曰 : 以杖荷莜。今作蓧。
萆 비해 비 《說文》 雨衣。一曰衰衣。从艸卑聲。一曰萆藨,似烏韭。
𦳚 풀 시, 지모 시 《說文》 艸也。从艸是聲。
苴 신바닥 창 저 《說文》 履中艸。从艸且聲。
𧆓 짚신 추 《說文》 艸履也。从艸麤聲。
蕢 상할 괴 《說文》 艸器也。从艸䝿聲。
𦯈 덮을 침 《說文》 覆也。从艸,㑴省聲。
茵 자리 인 《說文》 車重席。从艸因聲。
芻 꼴 추 《說文》 刈艸也。象包束艸之形。
茭 꼴 교 《說文》 乾芻。从艸交聲。一曰牛蘄艸。
荹 짚북데기 초, 후추 초 《說文》 亂艸。从艸步聲。
茹 먹을 여 《說文》 飤馬也。从艸如聲。
莝 여물 좌 《說文》 斬芻。从艸坐聲。
萎 마를 위 《說文》 食牛也。从艸委聲。
蓛 말 사료 책 《說文》 以榖萎馬,置莝中。从艸敇聲。
䒼 잠박 곡 《說文》 蠶薄也。从艸曲聲。
蔟 섶 족, 작살 착, 대주 주 《說文》 行蠶蓐。从艸族聲。
苣 상추 거 《說文》 束葦燒。从艸巨聲。
蕘 땔나무 요, 풋나무 요 《說文》 薪也。从艸堯聲。
薪 섶나무 신 《說文》 蕘也。从艸新聲。
蒸 찔 증 《說文》 折麻中榦也。从艸烝聲。
蕉 파초 초 《說文》 生枲也。从艸焦聲。
𦳊 똥 시 《說文》 糞也。从艸,胃省。
薶 메울 매 《說文》 瘞也。从艸貍聲。
葠 인삼 삼 《說文》 喪藉也。从艸㑴聲。
㪿 꺾을 절 《說文》 斷也。从斤斷艸。譚長說。
卉 풀 훼 《說文》 艸之緫名也。从艸、屮。
o 풀에 대한 총칭(general term for plants)이다.
o 艸 풀 초, 屮 싹 날 철을 따른다.

설문해자

o 회의문자이다.
o 세 개의 屮 싹 날 철로 구성된다고도 본다.
o 芔 풀 훼, 풀 휘와 같은 글자이다.
艽 나라 끝 구 《說文》 逺荒也。从艸九聲。《詩》曰 : 至于艽野。
蒜 마늘 산, 마늘 선, 달래 산 《說文》 葷菜。从艸祘聲。
o 훈채(葷菜)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祘 산가지 산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祘 산가지 산은 땅 아래에 마늘과 뿌리가 달린 모양을 나타낸다.
o 훈채는 파나 마늘, 부추, 달래처럼 냄새가 강한 채소를 가리킨다.
芥 겨자 개 《說文》 菜也。从艸介聲。
蔥 파 총 《說文》 菜也。从艸悤聲。
蒮 부추 육, 앵두나무 욱 《說文》 艸也。从艸隺聲。《詩》曰 : 食鬱及蒮。
蕇 산겨자 전 《說文》 亭歴也。从艸單聲。
苟 진실로 구, 구차할 구 《說文》 艸也。从艸句聲。
o 풀(grass name)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句 글귀 구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蕨 고사리 궐 《說文》 鼈也。从艸厥聲。
莎 향부자 사, 사초 사, 비빌 사, 베짱이 수 《說文》 鎬侯也。从艸沙聲。
蓱 부평초 평 《說文》 苹也。从艸洴聲。
蓳 오랑캐꽃 근, 제비꽃 근, 진흙 근, 조금 근 《說文》 艸也。根如薺,葉如細桺,蒸食之甘。从艸堇聲。
菲 엷을 비, 짚신 비 《說文》 芴也。从艸非聲。
芴 황홀할 홀, 순무 물 《說文》 菲也。从艸勿聲。
𧅻 풀 사를 연 《說文》 艸也。从艸𪅀聲。
𦼉 익모초 추 《說文》 薍也。从艸萑聲。
葦 갈대 위 《說文》 大葭也。从艸韋聲。
葭 갈대 가 《說文》 葦之未秀者。从艸叚聲。
萊 명아주 래(내), 묵정밭 래(내) 《說文》 蔓華也。从艸來聲。
荔 타래붓꽃 려(여) 《說文》 艸也。似蒲而小,根可作㕞。从艸劦聲。
蒙 입을 몽 《說文》 王女也。从艸冡聲。
薻 조류 조 《說文》 水艸也。从艸从水,巢聲。《詩》曰 : 于以采薻?
菉 조개풀 록(녹) 《說文》 王芻也。从艸录聲。《詩》曰 : 菉竹猗猗。
蓸 풀 조 《說文》 艸也。从艸曹聲。
𦵵 풀 이름 유 《說文》 艸也。从艸𠧴聲。
菬 풀 이름 초 《說文》 艸也。从艸沼聲。
䓊 풀 이름 오, 들깨 어 《說文》 艸也。从艸吾聲。《楚詞》有䓊蕭艸。
范 풀 이름 범, 성씨 범, 법 범 《說文》 艸也。从艸氾聲。
艿 풀 이름 잉 《說文》 艸也。从艸乃聲。
䒸 꼭두서니 혈 《說文》 艸也。从艸血聲。
萄 포도 도 《說文》 艸也。从艸匋聲。
芑 흰 차조 기 《說文》 白苗嘉榖。从艸己聲。
藚 택사 속 《說文》 水舄也。从艸賣聲。《詩》曰 : 言采其藚。
苳 겨우살이 동 《說文》 艸也。从艸冬聲。
薔 장미 장, 여뀌 색 《說文》 薔虞,蓼。从艸嗇聲。
苕 능소화 초, 완두 초 《說文》 艸也。从艸召聲。
𦼪 풀 이름 무 《說文》 艸也。从艸楙聲。
萺 풀 이름 모 《說文》 艸也。从艸冒聲。
𦯆 순채 묘 《說文》 鳧葵也。从艸戼聲。《詩》曰 : 言采其𦯆。
荼 씀바귀 도 《說文》 苦荼也。从艸余聲。
𦾴 산 흰쑥 번 《說文》 白蒿也。从艸繁聲。
蒿 쑥 호 《說文》 菣也。从艸高聲。
蓬 쑥 봉 《說文》 蒿也。从艸逢聲。
藜 나라 이름 려(여) 《說文》 艸也。从艸黎聲。
蘬 털여뀌 귀, 냉이 씨 규 《說文》 薺實也。从艸歸聲。
葆 풀 더부룩할 보 《說文》 艸盛皃。从艸𠈃聲。
蕃 우거질 번 《說文》 艸茂也。从艸番聲。
茸 무성할 용 《說文》 艸茸茸皃。从艸,聦省聲。
葏 풀이 우거진 모양 전 《說文》 艸皃。从艸津聲。
o 풀이 우거진 모양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津 나루 진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䕺 떨기 총 《說文》 艸叢生皃。从艸叢聲。
o 풀이 더부룩하게 나는 모양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叢 떨기 총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樷 떨기 총 叢 떨기 총은 같은 글자이다.
草 풀 초 《說文》 草斗,櫟實也。一曰象斗子。从艸早聲。
o 초두(草斗)이고, 상수리나무의 열매를 가리킨다.
o 풀(herbaceous plant)을 총칭한다.

grass

o 살아있는 풀(grass)을 草 풀 초라 한다(生曰草).
o 일설은 두자(斗子), 즉 나무통(말)을 상형한다고 본다.

清-吴昌硕
石鼓文

o 艸 풀 초를 따르고, 早 새벽 조는 성부(phonetic)이다.

설문해자
邓石如

o 형성문자이다.
o 본래는 도토리(oak seed)를 나타내는 皂 하인 조와 같은 글자이나, 후에 풀(grass)를 의미하는 글자로 가차되어 艸 풀 초를 대신하여 사용되게 된다.
o 艸 풀 초는 본자이다.
o 草 풀 초는 愺 심란할 초, 騲 암말 초, 䓥 벌레 이름 랄(날) 등과 같은 글자에 자부로 들어간다.
菆 겨릅대 추 《說文》 麻蒸也。从艸取聲。一曰蓐也。 
蓄 쌓을 축, 모을 축, 겨울 푸성귀 휵 《說文》 積也。从艸畜聲。
o 쌓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畜 쌓을 축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o 稸 모을 축 畜 쌓을 축, 기를 휵, 짐승 축은 같은 의미이다.
萅 봄 춘 《說文》 推也。从艸从日,艸春時生也;屯聲。
𦱄 풀 우거진 모양 고 《說文》 艸多皃。从艸狐聲。江夏平春有𦱄亭。
菿 초목 거꾸러질 도 《說文》 艸木倒。从艸到聲。
芙 부용 부, 연꽃 부 《說文》 芙蓉也。从艸夫聲。
o 부용(芙蓉)을 가리킨다.
o 연꽃(lotus)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夫 지아비 부는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蓉 부용 용, 연꽃 용 《說文》 芙蓉也。从艸容聲。
o 부용(芙蓉)을 가리킨다.
o 연꽃(lotus)이다.
o 艸 풀 초를 따르고, 容 얼굴 용은 성부이다.

설문해자

o 형성문자이다.
薳 애기풀 원, 애기풀 위 《說文》 艸也。《左氏傳》 : 楚大夫薳子馮。从艸逺聲。
荀 풀 이름 순 《說文》 艸也。从艸旬聲。
莋 풀 먹을 작 《說文》 越嶲縣名,見《史記》。从艸作聲。
蓀 향초 이름 손 《說文》 香艸也。从艸孫聲。
蔬 푸성귀 소 《說文》 菜也。从艸疏聲。
芊 풀 무성할 천 《說文》 艸盛也。从艸千聲。
茗 차 싹 명 《說文》 荼芽也。从艸名聲。
薌 곡식 냄새 향 《說文》 榖气也。从艸鄉聲。
藏 감출 장 《說文》 匿也。
蕆 경계할 천 《說文》 《左氏傳》 : 以蕆陳事。杜預注云 : 蕆,敕也。从艸未詳。
蘸 담글 잠 《說文》 以物没水也。此蓋俗語。从艸未詳。

[艸(풀초)가 艹(초두머리, 䒑로도 사용된다)로 변하여 부수로 사용된 글자]
苦 쓸 고 苟 진실로 구 若 같을 약 茂 우거질 무 芬 향기로울 분 茫 아득할 망 荒 거칠 황 莊 풀 성할 장 莫 없을 막, 저물 모, 고요할 맥 芳 꽃다울 방 节(節) 마디 절 莊 풀 성할 장 落 떨어질 락(낙) 萬 일만 만 葬 장사지낼 장 著 분명할 저 蓋 덮을 개 蒸 찔 증 蒼 푸를 창 蓄 쌓을 축 蒙 입을 몽 蔽 덮을 폐 薄 엷을 박 薦 천거할 천 藏 감출 장 藥 약 약 藝 심을 예 蘇 되살아날 소 苑 나라 동산 원 芳 꽃다울 방

[참고] 艸 - 6劃
+0劃(strokes)
艸, 艹, 䒑
+1劃
艺, 龷
+2劃
艻, 艼, 艽, 艾, 艿, 芀, 芁, 节, 䒒, 䒓, 䒔, 𦫿
+3劃
芃, 芄, 芅, 芆, 芇, 芈, 芉, 芊, 芋, 芌, 芍, 芎, 芏, 芐, 芑, 芒, 芓, 芔, 芕, 芖, 芗, 䒕, 䒖, 䒗, 䒘, 䒙, 𦬅, 𦬊, 𦬑
+4劃
芘, 芙, 芚, 芛, 芜, 芝, 芞, 芟, 芠, 芡, 芢, 芣, 芤, 芥, 芦, 芧, 芨, 芩, 芪, 芫, 芬, 芭, 芮, 芯, 芰, 花, 芲, 芳, 芴, 芵, 芶, 芷, 芸, 芹, 芺, 芻, 芼, 芽, 芾, 苀, 苁, 苂, 苃, 苄, 苅, 苆, 苇, 苈, 苉, 苊, 苋, 苌, 苍, 苎, 苏, 茾, 䒚, 䒛, 䒜, 䒝, 䒞, 䒟, 䒠, 䒡, 䒢, 䒣, 䒤, 䒥, 𦬓, 𦬕, 𦬣, 𦬨, 𦬶
+5劃
芿, 苐, 苑, 苒, 苓, 苔, 苕, 苖, 苗, 苘, 苙, 苚, 苛, 苜, 苝, 苞, 苟, 苠, 苡, 苢, 苣, 苤, 若, 苦, 苧, 苨, 苩, 苪, 苫, 苬, 苭, 苮, 苯, 苰, 英, 苲, 苳, 苴, 苵, 苶, 苷, 苸, 苹, 苺, 苻, 苼, 苽, 苾, 苿, 茀, 茁, 茂, 范, 茄, 茅, 茆, 茇, 茈, 茉, 茊, 茋, 茌, 茍, 茎, 茏, 茐, 茑, 茓, 茔, 茕, 䒦, 䒧, 䒨, 䒩, 䒪, 䒫, 䒬, 䒭, 䒮, 䒯, 𦭐, 𦭑, 𦭒, 𦭓, 𦭛, 𦭜, 𦭞, 𦭦, 𦭧, 𦭪
+6劃
茒, 茖, 茗, 茘, 茙, 茚, 茛, 茜, 茞, 茟, 茠, 茡, 茢, 茤, 茥, 茦, 茧, 茨, 茩, 茪, 茫, 茬, 茭, 茮, 茯, 茰, 茱, 茲, 茳, 茴, 茵, 茶, 茷, 茸, 茹, 茺, 茻, 茼, 茽, 茿, 荀, 荁, 荂, 荃, 荄, 荅, 荆, 荇, 荈, 草, 荊, 荋, 荌, 荍, 荎, 荏, 荐, 荑, 荒, 荔, 荕, 荖, 荗, 荘, 荙, 荚, 荛, 荜, 荝, 荞, 荟, 荠, 荡, 荢, 荣, 荤, 荥, 荦, 荧, 荨, 荩, 荪, 荫, 荬, 荭, 荮, 药, 䒰, 䒱, 䒲, 䒳, 䒴, 䒵, 䒶, 䒷, 䒸, 䒹, 䒺, 䒻, 䒼, 䒽, 䒾, 䒿, 䓀, 䓁, 𦭵, 𦭽, 𦮝, 𦮲, 𦮳, 𦮴
+7劃
茝, 茣, 荰, 荱, 荲, 荳, 荴, 荵, 荶, 荷, 荸, 荹, 荺, 荻, 荼, 荽, 荾, 荿, 莀, 莁, 莂, 莃, 莄, 莅, 莆, 莇, 莈, 莉, 莊, 莋, 莌, 莍, 莎, 莏, 莐, 莑, 莒, 莓, 莔, 莕, 莖, 莗, 莘, 莙, 莚, 莛, 莜, 莝, 莞, 莟, 莠, 莡, 莢, 莣, 莤, 莥, 莦, 莧, 莨, 莩, 莪, 莫, 莬, 莮, 莯, 莰, 莱, 莲, 莳, 莴, 莵, 莶, 获, 莸, 莹, 莺, 莻, 莼, 莽, 鿊, 䓂, 䓃, 䓄, 䓅, 䓆, 䓇, 䓈, 䓉, 䓊, 䓋, 䓌, 䓍, 䓎, 䓏, 䓐, 䓑, 䓒, 䓓, 䓔, 䓖, 𦯀, 𦯬, 𦯷, 𦰟, 𦰠, 𦰡, 𦰢, 𦰣, 𦰤, 𦰦, 𦰩
+8劃
荓, 莾, 莿, 菀, 菁, 菂, 菃, 菄, 菅, 菆, 菇, 菈, 菉, 菊, 菋, 菌, 菍, 菎, 菏, 菐, 菑, 菒, 菓, 菔, 菕, 菖, 菗, 菘, 菙, 菚, 菛, 菜, 菝, 菞, 菟, 菠, 菡, 菢, 菣, 菤, 菥, 菦, 菧, 菨, 菩, 菪, 菫, 菬, 菭, 菮, 華, 菰, 菱, 菲, 菳, 菴, 菵, 菶, 菷, 菸, 菹, 菺, 菻, 菼, 菽, 菾, 菿, 萀, 萁, 萂, 萃, 萄, 萅, 萆, 萇, 萈, 萉, 萊, 萋, 萌, 萍, 萎, 萏, 萐, 萑, 萒, 萓, 萔, 萕, 萖, 萗, 萘, 萙, 萚, 萛, 萜, 萝, 萞, 萟, 萠, 萡, 萢, 萣, 萤, 营, 萦, 萧, 萨, 著, 龿, 䓕, 䓗, 䓘, 䓙, 䓚, 䓛, 䓜, 䓝, 䓞, 䓟, 䓠, 䓡, 䓢, 䓣, 䓤, 䓥, 䓦, 䓧, 䓨, 䓩, 䓪, 䓫, 䓬, 䓭, 𦱀, 𦱁, 𦱆, 𦱳, 𦱿, 𦲀, 𦲁, 𦲂, 𦲒, 𦲞, 𦲤, 𦲵, 𦲷, 𦲸, 𦲹, 𦲺, 𦲻, 𦲼, 𦲽, 𦲾, 𦲿, 𦳀
+9劃
莭, 萩, 萪, 萫, 萭, 萮, 萯, 萰, 萱, 萲, 萳, 萴, 萵, 萶, 萷, 萸, 萹, 萺, 萻, 萼, 落, 萾, 萿, 葀, 葁, 葂, 葃, 葄, 葅, 葆, 葇, 葈, 葉, 葊, 葋, 葌, 葍, 葎, 葏, 葐, 葑, 葒, 葓, 葔, 葕, 葖, 葘, 葙, 葚, 葛, 葜, 葝, 葞, 葟, 葠, 葡, 葢, 董, 葤, 葥, 葦, 葧, 葨, 葩, 葪, 葫, 葬, 葭, 葮, 葯, 葰, 葱, 葲, 葳, 葴, 葵, 葶, 葷, 葸, 葹, 葺, 葻, 葼, 葽, 葾, 葿, 蒀, 蒁, 蒂, 蒃, 蒄, 蒅, 蒆, 蒇, 蒈, 蒉, 蒊, 蒋, 蒌, 蒍, 蒎, 蒏, 䓮, 䓯, 䓰, 䓱, 䓲, 䓳, 䓴, 䓵, 䓶, 䓷, 䓸, 䓹, 䓺, 䓻, 𦳃, 𦳑, 𦳙, 𦳝, 𦳥, 𦴋, 𦴢, 𦴣, 𦴤, 𦴥, 𦴦, 𦴧, 𦴨, 𦴩, 𦴪, 𦵑, 𦵗, 𦵘, 𦵙, 𦵚, 𦵛, 𦵜, 𦵠
+10劃
蒐, 蒑, 蒒, 蒓, 蒔, 蒕, 蒖, 蒗, 蒘, 蒙, 蒚, 蒛, 蒜, 蒝, 蒞, 蒟, 蒠, 蒡, 蒢, 蒣, 蒤, 蒥, 蒦, 蒧, 蒨, 蒩, 蒪, 蒫, 蒬, 蒭, 蒮, 蒯, 蒰, 蒱, 蒲, 蒳, 蒴, 蒵, 蒶, 蒷, 蒹, 蒺, 蒻, 蒼, 蒽, 蒾, 蒿, 蓀, 蓁, 蓂, 蓃, 蓄, 蓅, 蓆, 蓇, 蓈, 蓉, 蓊, 蓋, 蓌, 蓍, 蓎, 蓏, 蓐, 蓑, 蓒, 蓓, 蓔, 蓕, 蓖, 蓗, 蓘, 蓙, 蓚, 蓛, 蓜, 蓝, 蓞, 蓟, 蓠, 蓡, 蓢, 蓣, 蓤, 蓦, 䓼, 䓽, 䓾, 䓿, 䔀, 䔁, 䔂, 䔃, 䔄, 䔅, 䔆, 䔇, 䔈, 䔉, 䔊, 䔋, 䔌, 䔍, 𦵧, 𦵴, 𦶇, 𦶠, 𦶡, 𦶢, 𦶣, 𦶤, 𦶥, 𦶦, 𦶧, 𦶮, 𦷜, 𦷨, 𦷩, 𦷪, 𦷫, 𦷬, 𦷭, 𦷮, 𦷯, 𦷰, 𦷾
+11劃
蓥, 蓧, 蓨, 蓩, 蓪, 蓫, 蓬, 蓭, 蓮, 蓯, 蓰, 蓱, 蓲, 蓳, 蓴, 蓵, 蓶, 蓷, 蓸, 蓹, 蓺, 蓻, 蓼, 蓽, 蓾, 蓿, 蔀, 蔁, 蔂, 蔃, 蔄, 蔅, 蔆, 蔇, 蔈, 蔉, 蔊, 蔋, 蔌, 蔍, 蔎, 蔏, 蔐, 蔑, 蔒, 蔓, 蔔, 蔕, 蔖, 蔗, 蔘, 蔙, 蔚, 蔛, 蔜, 蔝, 蔞, 蔟, 蔠, 蔡, 蔢, 蔣, 蔤, 蔥, 蔦, 蔧, 蔨, 蔩, 蔪, 蔫, 蔬, 蔭, 蔮, 蔯, 蔰, 蔱, 蔲, 蔳, 蔴, 蔵, 蔶, 蔷, 蔸, 蔹, 蔺, 蔻, 蔼, 䔎, 䔏, 䔐, 䔑, 䔒, 䔓, 䔔, 䔕, 䔖, 䔗, 䔘, 䔙, 䔚, 䔛, 䔜, 䔝, 䔞, 䔟, 䔠, 䔡, 䔢, 䔣, 䔤, 䔥, 䔦, 䔧, 䔨, 䔩, 䔪, 䔫, 䔬, 𦸀, 𦸃, 𦸅, 𦸇, 𦸒, 𦹀, 𦹂, 𦹃, 𦹄, 𦹅, 𦹥, 𦹮, 𦹯, 𦹰, 𦹱, 𦹲, 𦹳, 𦹴, 𦹵, 𦹶, 𦹷, 𦹸, 𦹹, 𦹺, 𦹻, 𦺄
+12劃
蔽, 蔾, 蔿, 蕀, 蕁, 蕂, 蕃, 蕄, 蕅, 蕆, 蕇, 蕈, 蕉, 蕊, 蕋, 蕌, 蕍, 蕎, 蕏, 蕐, 蕑, 蕒, 蕓, 蕔, 蕕, 蕖, 蕗, 蕘, 蕙, 蕚, 蕛, 蕜, 蕝, 蕞, 蕟, 蕠, 蕡, 蕢, 蕣, 蕤, 蕥, 蕦, 蕧, 蕨, 蕩, 蕪, 蕫, 蕬, 蕭, 蕮, 蕯, 蕰, 蕱, 蕲, 蕳, 蕴, 蕵, 䔭, 䔮, 䔯, 䔰, 䔱, 䔲, 䔳, 䔴, 䔵, 䔶, 䔷, 䔸, 䔹, 䔺, 䔻, 䔼, 䔽, 䔾, 䔿, 䕀, 䕁, 䕂, 䕃, 䕄, 𦺈, 𦺋, 𦺓, 𦺙, 𦻐, 𦻑, 𦻒, 𦻓, 𦻔, 𦻕, 𦻖, 𦻗, 𦼃, 𦼇, 𦼔, 𦼚, 𦼛, 𦼜, 𦼝, 𦼞, 𦼟, 𦼠, 𦼥, 𦼦, 𦼨
+13劃
蕶, 蕷, 蕸, 蕹, 蕺, 蕻, 蕼, 蕽, 蕾, 蕿, 薀, 薁, 薂, 薃, 薄, 薅, 薆, 薇, 薈, 薉, 薊, 薋, 薌, 薍, 薎, 薏, 薐, 薑, 薒, 薓, 薔, 薕, 薖, 薗, 薘, 薙, 薚, 薛, 薜, 薝, 薞, 薟, 薠, 薡, 薢, 薣, 薤, 薥, 薦, 薧, 薨, 薪, 薫, 薬, 薮, 龩, 䕅, 䕆, 䕇, 䕈, 䕉, 䕊, 䕋, 䕌, 䕍, 䕎, 䕏, 䕐, 䕑, 𦼮, 𦽔, 𦽰, 𦽳, 𦽴, 𦾔, 𦾟, 𦾠, 𦾡, 𦾢, 𦾣, 𦾤, 𦾥, 𦿸, 﨟
+14劃
薩, 薭, 薯, 薰, 薱, 薲, 薳, 薴, 薵, 薶, 薷, 薸, 薹, 薺, 薻, 薼, 薽, 薾, 薿, 藀, 藁, 藂, 藃, 藄, 藅, 藆, 藇, 藈, 藉, 藊, 藋, 藌, 藍, 藎, 藏, 藐, 藑, 藒, 藓, 蘤, 䕒, 䕓, 䕔, 䕕, 䕖, 䕗, 䕘, 䕙, 䕚, 䕛, 䕜, 䕝, 𦿆, 𦿞, 𦿟, 𦿶, 𦿷, 𧀎, 𧀏, 𧀐, 𧀑, 𧀒, 𧀓, 𧀞, 𧀟
+15劃
藔, 藕, 藖, 藗, 藘, 藙, 藚, 藛, 藜, 藝, 藞, 藟, 藠, 藡, 藢, 藣, 藤, 藥, 藦, 藧, 藨, 藩, 藪, 藫, 藬, 藭, 藯, 藰, 藱, 藲, 藳, 藴, 藵, 䕞, 䕟, 䕠, 䕡, 䕢, 䕣, 䕤, 䕥, 𧀨, 𧁋, 𧁒, 𧁓, 𧁴, 𧁵, 𧁶, 𧁷, 𧁸, 𧁹, 𧁺, 𧃌
+16劃
藮, 藶, 藷, 藸, 藹, 藺, 藻, 藼, 藽, 藾, 藿, 蘀, 蘁, 蘂, 蘃, 蘄, 蘅, 蘆, 蘇, 蘈, 蘉, 蘊, 蘋, 蘌, 蘍, 蘎, 蘏, 蘐, 蘑, 蘓, 蘔, 蘢, 䕦, 䕧, 䕨, 䕩, 䕪, 䕫, 䕬, 䕭, 䕮, 䕯, 䕰, 䕱, 䕲, 𧂁, 𧂄, 𧂈, 𧂐, 𧂭, 𧂮, 𧂯, 𧃋
+17劃
蘒, 蘕, 蘖, 蘗, 蘘, 蘙, 蘚, 蘛, 蘜, 蘝, 蘞, 蘟, 蘠, 蘡, 蘣, 蘥, 蘦, 蘧, 蘨, 蘩, 蘪, 蘫, 蘬, 蘭, 蘮, 蘯, 蘰, 䕳, 䕴, 䕵, 䕶, 䕷, 𧃍, 𧃒, 𧃰, 𧃴, 𧃵, 𧃶, 𧃷, 𧃸, 𧃽, 𧄈, 𧄉, 𧄊, 𧄌
+18劃
蘲, 蘳, 蘴, 蘵, 蘶, 蘷, 䕸, 䕹, 䕺, 𧄍, 𧄦, 𧄧, 𧄲, 𧄳, 𧄴, 𧄵
+19劃
蘱, 蘸, 蘹, 蘺, 蘻, 蘼, 蘽, 蘾, 蘿, 虀, 虁, 䕻, 䕼, 䕽, 𧄸, 𧄹, 𧅕
+20劃
虂, 虃, 虄, 虅, 䕾, 𧅤, 𧅥, 𧅫, 𧅬, 𧅭
+21劃
虆, 虇, 虈, 虉, 䕿, 䖀
+22劃
䖁, 𧆄
+23劃
虊, 䖂, 䖃, 䖄
+24劃
䖅, 䖆, 𧅵
+25劃
虋, 虌
+29劃


[English] cǎo
grass

[疊字] 屮艸芔茻
屮 [chū/cǎo] 싹날 철
艸 [cǎo] 풀 초
芔(卉) [huì] 풀 훼 《說文》 草之總名也。
茻 [mǎng] 잡풀 우거질 망
 
[유사한자] 艸丱卝
艸 풀 초
丱 쌍상투 관
卝 북상투 관

[참고] 식물과 관련하여 艹(초두머리)가 들어간 글자
芽 싹 아 花 꽃 화 苗 모 묘 菊 국화 국 葉 잎 엽 英 꽃부리 영 菌 버섯 균 華 꽃 화 草 풀 초 蘭 난초 란(난) 蓮 연밥 련(연) 艾 쑥 애 蒿 쑥 호 芋 토란 우 芒 까끄라기 망 芙 부용 부 芡 가시연 검 芢 씨 인 芯 등심초 심 苡 질경이 이 芝 지초 지 芹 미나리 근 芥 겨자 개 筮 점대 서 芐 지황 하 藍 쪽 람(남) 荷 연 하 茶 차 다 菜 나물 채 蔬 풍성귀 소 莓 나무딸기 매 苺 딸기 매 芦 지황 호 蔥 파 총 蒜 달래 산, 마늘 산 葫 마늘 호 芭 파초 파 蕉 파초 초 葡 포도 포 萄 포도 도 茱 수유 수 萸 수유 유 葛 칡 갈 藤 등나무 등 葵 [kuí] 해바라기 규

[참고] 꽃이나 식물을 나타내는 한자
해바라기 - 向日葵(향일규) [xiàngrìkuí]

sunflower

상추 - 千金菜(천금채) 상추의 씨앗은 하도 귀하여 천금을 주고도 씨앗을 사서 심는 채소
배추 - 靑白菜(청백채) 입이 푸르고 줄기가 흰 채소
부추 - 起陽草(기양초) 양기를 불러일으키는 풀
다래 - 獼猴桃(미후도) 원숭이가 좋아하는 복숭아
산딸기 - 覆盆子(복분자) 동이를 뒤엎어 버리는 열매
금은화 - 忍冬草(인동초) 혹독한 추위의 겨울을 이겨내는 풀

[동의한자]
芼 풀 모
蕈 풀 담
卉 풀 훼
草(艸) 풀 초 《說文解字》 草斗,櫟實也。一曰象斗子。从艸早聲。

[English] cǎo
grass / straw / thatch
herbal grasses, herbs
weed
coarse / crude
sloppy, hasty
draft (of writing), sketch 草稿 草案
script type of Chinese calligraphy 草書(草书) [cǎoshū] cursive script, grass script

草书-李志敏(1925-1994)

(by extension) any such green, leafy plant without any bark (plants, not trees)
(chemistry) oxalic

[用例]
▯ 不老草(불로초) a herb of eternal youth
먹으면 늙지 않는다는 상상의 약초

▯ 冬蟲夏草(동충하초) cordyceps, vegetable wasp, plant worm
겨울에는 벌레이다가 여름에는 풀로 변하는 버섯

동충하초


▯ 忘憂草(망우초) Day lily
일명 원추리라고 한다. 높이 1미터 내외로 자라며,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나와서 끝이 갈라져 여섯 개 내지 여덟 개의 꽃이 총상으로 피는 식물이다. 꽃이 피어 단 하루밖에 가지 않아서 영어로 Day lily라고 한다. 한편 근심과 걱정을 모두 잃게 하는 꽃이라는 의미에서 망우초(忘憂草)라 부른다.

원추리


▯ 牛膝草(우슬초) hyssop
식물줄기에 있는 마디의 모양이 소의 무릎과 유사하다고 하여 일명 쇠무릎이라 한다. 우슬초의 뿌리를 우슬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부정을 없애는 의식을 행할 때에 쓰는 히솝풀, 특히 유대인이 귀신이나 재앙을 물리치는 의식에서 제물(祭物)의 피를 묻혀 뿌릴 때에 사용한 식물이다.

쇠무릅


[成語]
▮ 草菅人命(초관인명)
인명을 초개같이 여기다.
풀 베듯 사람을 함부로 죽이다.

 



'第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茻 잡풀 우거질 망, 무성한 풀 망  (0) 2021.06.12
13. 蓐 요 욕, 깔개 욕  (0) 2021.06.12
11. 屮 싹 날 철  (0) 2021.06.12
10. 丨 뚫을 곤  (0) 2021.06.12
9. 士 선비 사  (0) 2021.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