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言 말씀 언
《說文》 直言曰言,論難曰語。從口䇂.
o 직접 말하는 경우를 言 말씀 언(直言)이라 하고, 논란하는 경우, 즉 상세하게 의론하고 논박하는 경우를 語 말씀 어(論也)라 한다.
o 설문해자는 口 입 구와 䇂 허물 건(정확하게는 죄인에게 형벌로 묵형을 가하는 도구를 의미하는 辛 매울 신)을 따른다고 해설하나, 잘못된 해석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o 䇂 허물 건은 立 설 립과丨 뚫을 곤이므로, 서서 똑바로 말한다, 즉 직언(直言)을 가리킨다고 본다.
o 갑골문자를 보면 혀를 움직이며 말을 한다는 의미로 舌 혀 설에 점(mark)를 찍거나 선(一)을 그은 모양으로, 지사문자(指事文字)라고 본다.
o 言은 亠二口, 즉 亠 돼지해머리 두와 二 두 이, 口 입 구로 구성된다.
o 言은 二二口, 즉 두 개의 二 두 이와 口 입 구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고, 二二는 고문으로 上 위 상과 下 아래 하를 가리키므로, 입(口)을 위와 아래로 움직이며 말을 한다는 의미이다.
o 言은 亖口, 즉 亖 넉 사와 口 입 구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머리(top)에 亠를 쓰기도 하고, 二를 쓰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중국이나 대만, 홍콩에서는 亠를 쓰고, 강희자전을 따르는 한국, 일본에서는 二를 쓴다.
o 부수로 변(left Chinese radical)에 들어갈 때에는 訁(讠)으로 변하기도 한다.
o 설문해자에서는 언부(說文解字 言部)에 속한 글자가 254자이고, 강희자전에서 言(말씀언)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는 모두 861자이다.
o 부수명칭은 「말씀언」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ごんべん(言偏)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speech라 한다.
[言部]
譻 소리 앵, 새 지저귈 앵 《說文》 聲也。从言賏聲。
o 소리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賏 목치장 영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嚶 새 지저귈 앵은 같은 글자이다.
謦 기침 경 《說文》 欬也。从言殸聲。殸,籒文磬字。
o 기침을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殸 경쇠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殸 경쇠 경은 주문(籒文)으로 磬 경쇠 경과 같은 글자이다.
語 말씀 어 《說文》 論也。从言吾聲。
o 서로 의견을 주고받다.
o 기탄없이 바로 말하는 경우를 言 말씀 언이라 하고(直言曰言), 어떤 문제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주장하며 다투는 경우를 語 말씀 어라 한다(论难曰语).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吾 나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에서는 吾 나 오를 五 다섯 오를 위와 아래로 겹쳐 쓰기도 한다.
o 《논어 옹야》에서 공자가 이르기를 범인(凡人) 이상이면 수준이 높은 주제를 놓고 논의할 수 있고, 범인보다 못하면 수준이 높은 주제에 대하여 의논할 수 없다고 한다.
《論語 雍也》 子曰 : 中人以上,可以語上也;中人以下,不可以語上也。
《논어 옹야》 자왈 : 중인이상,가이어상야;중인이하,불가이어상야。
The Master said, "To those whose talents are above mediocrity, the highest subjects may be announced. To those who are below mediocrity, the highest subjects may not be announced."
o 《논어 향당》에서 이르기를 공자는 식사를 할 때에는 대화를 나누지 않고, 잠을 잘 때에는 말을 하지 아니한다고 한다.
《論語 鄉黨》 食不語,寢不言。
《논어 향당》 식불어,침불언。
When eating, he did not converse. When in bed, he did not speak.
o 语는 간체자이다.
談 말씀 담 《說文》 語也。从言炎聲。
o 논의하다(talk).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炎 불곷 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谈은 간체자이다.
謂 이를 위 《說文》 報也。从言胃聲。
o 말과 글로 이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胃 위장 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谓는 간체자이다.
諒 믿을 량(양), 살펴 알 량(양) 《說文》 信也。从言京聲。
o 믿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京 서울 경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谅은 간체자이다.
詵 많을 선, 많을 신 《說文》 致言也。从言从先,先亦聲。《詩》曰 : 螽斯羽詵詵兮。
o 드러내어 말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先 먼저 선을 따른다.
o 先 먼저 선은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종사우선선혜(螽斯羽詵詵兮), 즉 “날개를 퍼득이는 메뚜기가 무리처럼 많다”(자손의 번성을 가리킨다)고 한다.
請 청할 청, 받을 정 《說文》 謁也。从言青聲。
o 말씀드려 아뢰다.
o 배알(拜謁), 즉 공경하는 마음으로 정중하고 조심스럽게 누구를 만나 뵙고, 배알할 때에는 보통 의도가 있으므로, 원하는 행위나 물건을 청한다(request)는 의미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青 푸를 청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请은 간체자이다.
謁 뵐 알, 아뢸 알 《說文》 白也。从言曷聲。
o 나이가 많은 사람이나 계급이 높은 사람에게 아뢰다([report to one's superior].
《尔雅》 谒,告也。
《이아》 알,고야。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曷 어찌 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谒은 간체자이다.
許 허락할 허, 이영차 호 《說文》 聽也。从言午聲。
o 들어 주다, 허락하다(allow, permit).
o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답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午 낮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갑골문을 보면 절굿공이로 곡물을 빻을 때에 나오는 소리를 나타낸다.
o 許 이영차 호로도 쓰고, 여러 사람이 모여 일을 할 때에 장단에 맞추어 내는 함성을 의미한다.
o 许는 간체자이다.
諾 허락할 락(낙), 대답할 락(낙) 《說文》 譍也。从言若聲。
o 응답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若 같을 약은 성부이다.ㅅ
o 형성문자이다.
o 계포일락(季布一諾)은 “계포가 한 번 한 승낙”, 즉 초(楚)나라의 계포라는 사람은 한 번 승낙하면 꼭 약속을 지킨다는 의미이다.
譍 응답할 응, 응할 응 《說文》 以言對也。从言鷹省聲。
o 말로써 대답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鷹 매 응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應 응할 응 噟 대답할 은은 같은 글자이다.
讎 원수 수, 짝 수 《說文》 猶譍也。从言雔聲。
o 마땅히 대답하다.
《玉篇 言部》 讎,對也。
《옥편 언부》 수,대야。
《詩經 大雅》 無言不讎、無德不報。
《시경 대아》 무언불수、무덕불보。
Every word finds its answer; Every good deed has its recompense.
말은 대답이 없을 수 없고, 덕은 갚지 않을 수 없다.
o 원수를 가리킨다.
《韵会》 仇也。
《운회》 구야。
o 言 말씀 언(argue)을 따르고, 雔 새 한 쌍 수(two birds)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금문을 보면 새 한쌍이 서로 마주보고 마구 지저귀는 모양을 나타낸다.
o 말을 많이 하면 서로 오해가 생겨 원수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o 仇 원수 구 讐 원수 수는 같은 글자이다.
o 雠는 간체자이다.
諸 모든 제 《說文》 辯也。从言者聲。
o 이리저리 둘러대며 말을 잘 한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者 사람 자를 따른다.
o 者 사람 자는 사람을 가리킨다.
o 여러 사람이 함께 말을 하므로, 諸 모두 제, 모든 제라 한다.
o 诸는 간체자이다.
詩 시 시 《說文》 志也。从言寺聲。
o 마음(mind)이다.
o 마음에 두기만 하면 감정이라 하고, 감정을 말로 표현하면 詩 시 시라 하며(在心为志,发言为诗), 말을 가락에 맞추어 부르면 歌 노래 가라 한다.
《尚书 舜典》 诗言志,歌永言。
《상서 순전》 시언지,가영언。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寺 절 사는 성부이다.
o 금문에서는 寺 절 사를 止 발 지와 寸 마디 촌으로 쓰기도 한다.
o 형성문자이다.
o 诗는 간체자이다.
讖 예언 참, 참서 참 《說文》 驗也。从言韱聲。
諷 풍자할 풍, 욀 풍 《說文》 誦也。从言風聲。
o 그대로 외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風 바람 풍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讽은 간체자이다.
o 풍자(諷刺 satire)는 어떤 현상을 비유나 과장 등과 같은 수단을 동원하여 얕보거나 비웃으면서 비판한다는 의미이다.
誦 욀 송 《說文》 諷也。从言甬聲。
o 외다(recite).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甬 길 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诵은 간체자이다.
讀 읽을 독 《說文》 誦書也。从言賣聲。
o 책을 큰 소리로 읽다(read aloud).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賣 팔 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读은 간체자이다.
𠶷 쾌할 억 《說文》 快也。从言从中。
訓 가르칠 훈, 길 순 《說文》 說教也。从言川聲。
o 가르치다(instruct).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川 내 천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말로 가르치므로, 言 말씀 언을 따른다.
o 川 내 천은 물이 흐르듯이 순리(順理)대로 가르친다는 의미이다.
o 训은 간체자이다.
誨 가르칠 회 《說文》 曉教也。从言每聲。
o 가르쳐 깨닫게 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每 매양 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譔 가르칠 선, 지을 찬 《說文》 專教也。从言巽聲。
o 가르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巽 부드러울 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譬 비유할 비 《說文》 諭也。从言辟聲。
o 비유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辟 비유할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謜 천천히 말할 원 《說文》 徐語也。从言原聲。《孟子》曰 : 故謜謜而來。
o 천천히 말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原 근원 원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맹자》에서 이르기를 고원원이래(故謜謜而來)라고 한다.
詇 슬기로울 앙 《說文》 早知也。从言央聲。
o 어려서부터 알다.
o 슬기롭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央 가운데 앙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諭 타이를 유, 깨우칠 유 《說文》 告也。从言俞聲。
o 깨우쳐 주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俞 대답할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詖 치우칠 피 《說文》 辯論也。古文以為頗字。从言皮聲。
o 판별하여 논하다.
o 고문에서는 頗 치우칠 파로도 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皮 가죽 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諄 타이를 순 《說文》 告曉之孰也。从言享聲。讀若庉。
o 자세하게 알려 깨닫게 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享 누릴 향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庉 곳간 돈과 같게 발음한다.
謘 말 느릴 지 《說文》 語諄謘也。从言屖聲。
詻 다툴 액 《說文》 論訟也。《傳》曰 : 詻詻孔子容。从言各聲。
誾 온화할 은 《說文》 和說而諍也。从言門聲。
謀 꾀 모 《說文》 慮難曰謀。从言某聲。
o 어려운 일을 헤쳐나갈 방도를 생각하는 경우를 謀 꾀 모라 한다.
o 마음 속으로 생각하면 謀 꾀 모이다.
《论衡 超奇》 心思为谋。
《논형 초기》 심사위모。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某 아무 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谋는 간체자이다.
謨 꾀 모 《說文》 議謀也。从言莫聲。《虞書》曰 : 咎繇謨。
訪 찾을 방 《說文》 汎謀曰訪。从言方聲。
諏 꾀할 추 《說文》 聚謀也。从言取聲。
論 논할 론(논), 조리 륜(윤) 《說文》 議也。从言侖聲。
o 서로 의견을 주고받다(discuss).
o 言 말씀 언을 다르고, 侖 조리세울 륜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论은 간체자이다.
議 의논할 의 《說文》 語也。从言義聲。
o 의논하다(talk about).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義 옳을 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议는 간체자이다.
訂 바로잡을 정 《說文》 平議也。从言丁聲。
o 평의(平議)를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丁 고무래 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詳 자세할 상, 거짓 양 《說文》 審議也。从言羊聲。
o 심의를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羊 양 양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諟 이 시, 살필 체 《說文》 理也。从言是聲。
o 바로잡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是 이 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諦 살필 체는 같은 글자이다.
諦 살필 체, 울 제 《說文》 審也。从言帝聲。
o 살피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帝 임금 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諟 살필 체는 같은 글자이다.
o 谛는 간체자이다.
識 알 식, 적을 지, 깃발 치 《說文》 常也。一曰知也。从言戠聲。
o 깃발을 가리킨다.
o 일설은 知 알 지와 같은 의미라고 본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戠 찰흙 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识는 간체자이다.
訊 물을 신 《說文》 問也。从言卂聲。
o 묻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卂 빨리 날 신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詧 살필 찰, 옳은 말 철, 옳은 말 절 《說文》 言微親詧也。从言,察省聲。
謹 삼갈 근 《說文》 愼也。从言堇聲。
o 삼가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堇 진흙 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䚮 후할 잉 《說文》 厚也。从言乃聲。
o 후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乃 이에 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諶 미더울 심, 참 심 《說文》 誠諦也。从言甚聲。《詩》曰 : 天難諶斯。
o 정성으로 살피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甚 심할 심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천난심사(天難諶斯)라고 한다.
信 믿을 신 《說文》 誠也。从人从言。會意。
o 성실(誠實)을 가리킨다.
o 人 사람 인을 따르고, 言 말씀 언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㐰 믿을 신 䚱 믿을 신 孞 믿을 신 訫 믿을 신은 같은 글자이다.
訦 성실할 우, 성실할 심 《說文》 燕、代、東齊謂信訦。从言冘聲。
o 연(燕)나라, 대(代)나라, 동제(東齊)에서는 信 믿을 신을 訦 성실할 우라 한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冘 망설일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誠 정성 성 《說文》 信也。从言成聲。
o 정성을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成 이룰 성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誡 경계할 계 《說文》 敕也。从言戒聲。
o 단단히 타일러서 경계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戒 경계할 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誋 경계할 기 《說文》 誡也。从言忌聲。
o 경계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忌 꺼릴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諱 숨길 휘, 꺼릴 휘 《說文》 誋也。从言韋聲。
o 꺼리어 감추거나 숨기다.
o 은휘(隱諱)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韋 다룸가죽 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誥 고할 고 《說文》 告也。从言告聲。
o 고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告 고할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告 고할 고는 같은 글자이다.
o 윗사람에게 고하면 告 고할 고라 하고, 아랫사람에게 내리면 誥 고할 고라 한다.
《韻會》 告上曰告,發下曰誥。
《운회》 고상왈고,발하왈고。
o 诰는 간체자이다.
詔 조서 조, 고할 조, 소개할 소 《說文》 告也。从言从召,召亦聲。
o 고하다.
o 言 말씀 언(word, speech)을 따르고, 召 대추 조, 부를 소를 따른다.
o 召 대추 조, 부를 소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诏는 간체자이다.
誓 맹세할 서 《說文》 約束也。从言折聲。
o 약속을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折 다시 이을 설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䤱 맹세할 서는 같은 글자이다.
譣 간사한 말 험, 간사한 말 섬, 따져 물을 섬 《說文》 問也。从言僉聲。《周書》曰 : 勿以譣人。
o 따져 묻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僉 다 첨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주서》에서 이르기를 물이험인(勿以譣人)이라 한다.
詁 주낼 고 《說文》 訓故言也。从言古聲。《詩》曰詁訓。
o 주내다, 즉 고서의 자구에 해석을 붙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古 예 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일컫기를 고훈(詁訓)이라 한다.
藹 우거질 애, 우거진 모양 애, 우거진 모양 알, 열매 많이 열릴 애 《說文》 臣盡力之美。从言葛聲。《詩》曰 : 譪譪王多吉士。
o 신하가 진력으로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는 아름다운 모양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葛 칡 갈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시경》에서 이르기를 애애왕다길사(譪譪王多吉士)라고 한다.
誎 독촉할 속 《說文》 餔旋促也。从言束聲。
o 저녁밥을 먹기 위하여 귀가를 재촉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束 묶을 속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諝 슬기 서 《說文》 知也。从言胥聲。
o 슬기를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胥 서로 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証 증거 증, 간할 정 《說文》 諫也。从言正聲。
o 간하다.
《廣韻 勁韻》証,諫証。
《광운 경운》증,간증。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正 바를 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證 증거 증(proof)은 같은 글자이다.
《正字通 言部》証,與證通。
《정자통 언부》증,여증통。
諫 간할 간, 헐뜯을 란(난) 《說文》 証也。从言柬聲。
o 간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柬 가릴 간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讕 헐뜯을 란은 같은 글자이다.
o 谏는 간체자이다.
諗 고할 심 《說文》 深諫也。从言念聲。《春秋傳》曰 : 辛伯諗周桓公。
課 공부할 과, 과정 과, 매길 과 《說文》 試也。从言果聲。
試 시험할 시 《說文》 用也。从言式聲。《虞書》曰 : 明試以功。
諴 화할 함 《說文》 和也。从言咸聲。《周書》曰 : 不能諴于小民。
䚻 노래 요, 좇을 유 《說文》 徒歌。从言、肉。
詮 설명할 전 《說文》 具也。从言全聲。
訢 기뻐할 흔, 화평할 은, 교합할 희《說文》 喜也。从言斤聲。
o 기뻐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斤 도끼 근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欣 기쁠 흔은 같은 글자이다.
o 䜣는 간체자이다.
說 말씀 설, 달랠 세, 기뻐할 열, 벗을 탈 《說文》 說,釋也。从言、兌。一曰談說。
o 說 기뻐할 열은 釋 기뻐할 역과 같은 글자이고, 기뻐하다, 기쁘다는 의미이다.
o 言 말씀 언, 兌 기쁠 태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일설은 서로 주고받는 말씀을 가리킨다고 본다.
o 悅 기쁠 열은 같은 글자이다.
o 説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신자체(약자)이다.
o 说는 간체자이다.
計 셀 계, 꾀 계 《說文》 會也。筭也。从言从十。
o 계산하여 내다.
o 筭 꾀 산과 같은 글자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十 열 십을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计는 간체자이다.
諧 화할 해 《說文》 詥也。从言皆聲。
o 화하다(harmonize).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皆 다 개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谐는 간체자이다.
o 팔음극해(八音克諧)는 여덟 가지의 음이 서로 잘 어울리다는 의미이다.
詥 화할 합 《說文》 諧也。从言合聲。
o 화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合 합할 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調 고를 조, 아침 조 《說文》 和也。从言周聲。
o 화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周 두루 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调는 간체자이다.
䛡 말할 화, 말씀 화 《說文》 合會善言也。从言𠯑聲。《傳》曰 : 告之話言。
諈 번거로울 추, 번거롭게 할 추 《說文》 諈諉,纍也。从言垂聲。
諉 번거로울 위, 번거롭게 할 위 《說文》 纍也。从言委聲。
警 경계할 경 《說文》 戒也。从言从敬,敬亦聲。
謐 고요할 밀 《說文》 靜語也。从言𥁑聲。一曰無聲也。
謙 겸손할 겸, 흡족할 겁, 혐의 혐 《說文》 敬也。从言兼聲。
𧧼 옳을 의 《說文》 人所宜也。从言从宜,宜亦聲。
詡 자랑할 후 《說文》 大言也。从言羽聲。
諓 교묘히 말할 전 《說文》 善言也。从言戔聲。一曰謔也。
誐 좋을 아 《說文》 嘉善也。从言我聲。《詩》曰 : 誐以溢我。
詷 한 가지 동 《說文》 共也。一曰譀也。从言同聲。《周書》曰 : 在夏后之詷。
設 베풀 설 《說文》 施陳也。从言从殳。殳,使人也。
護 보호할 호 《說文》 救視也。从言蒦聲。
譞 영리할 현 《說文》 譞,慧也。从言,圜省聲。
誧 도울 포 《說文》 大也。一曰人相助也。从言甫聲。讀若逋。
諰 두려워할 시 《說文》 思之意。从言从思。
託 부탁할 탁 《說文》 寄也。从言乇聲。
記 기록할 기 《說文》 疏也。从言己聲。
譽 기릴 예, 명예 예 《說文》 稱也。从言與聲。
譒 펼 파 《說文》 𢾭也。从言番聲。《商書》曰 : 王譒告之。
謝 사례할 사 《說文》 辤去也。从言䠶聲。
謳 노래할 구 《說文》 齊歌也。从言區聲。
詠 읊을 영 《說文》 歌也。从言永聲。
諍 간할 쟁 《說文》 止也。从言爭聲。
𧦝 부를 호 《說文》 召也。从言乎聲。
謼 부를 호 《說文》 𧦝謼也。从言虖聲。
訖 이를 흘, 이를 글 《說文》 止也。从言气聲。
o 이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气 기운 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讫는 간체자이다.
諺 언문 언, 속담 언, 자랑할 안 《說文》 傳言也。从言彥聲。
訝 맞을 아 《說文》 相迎也。从言牙聲。《周禮》曰 : 諸侯有卿訝發。
詣 이를 예 《說文》 𠋫至也。从言旨聲。
講 익힐 강 《說文》 和解也。从言冓聲。
謄 베낄 등 《說文》 迻書也。从言朕聲。
訒 말 더듬을 인 《說文》 頓也。从言刃聲。《論語》曰 : 其言也訒。
訥 말 더듬거릴 눌 《說文》 言難也。从言从內。
o 말을 더듬거리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內 안 내를 따른다.
o 형성문자이다.
o 㕯 말 더듬을 눌 吶 밀 더듬을 눌은 같은 글자이다.
o 讷는 간체자이다.
謯 저주할 저 《說文》 謯,娽也。从言虘聲。
𧧹 기다릴 혜 《說文》 待也。从言伿聲。讀若䭆。
譥 소리 지를 교 《說文》 痛呼也。从言敫聲。
譊 떠들 뇨(요) 《說文》 恚呼也。从言堯聲。
謍 작은 소리 영 《說文》 小聲也。从言,熒省聲。《詩》曰 : 謍謍青蠅。
諎 큰 소리 책, 응답할 착 《說文》 大聲也。从言昔聲。讀若笮。
諛 아첨할 유 《說文》 諂也。从言㬰聲。
讇 아첨할 첨 《說文》 諛也。从言閻聲。
諼 속일 훤 《說文》 詐也。从言爰聲。
謷 헐뜯을 오 《說文》 不肖人也。从言敖聲。一曰哭不止,悲聲謷謷。
訹 꾀일 수 《說文》 誘也。从言术聲。
詑 자랑할 이 《說文》 沇州謂欺曰詑。从言它聲。
謾 속일 만, 속일 면 《說文》 欺也。从言曼聲。
譇 말다툼할 차 《說文》 譇拏,羞窮也。从言奢聲。
𧧻 부끄러운 말 자 《說文》 慙語也。从言作聲。
謺 말 수다할 집 《說文》 謺讘也。从言執聲。
謰 말 얽힐 련(연) 《說文》 謰謱也。从言連聲。
謱 곡진할 루(누) 《說文》 謰謱也。从言婁聲。
詒 보낼 이 《說文》 相欺詒也。一曰遺也。从言台聲。
謲 서로 성낼 참 《說文》 相怒使也。从言參聲。
誑 속일 광 《說文》 欺也。从言狂聲。
譺 희롱할 의 《說文》 騃也。从言疑聲。
𧬮 서로 그릇할 과 《說文》 相誤也。从言𥈀聲。
訕 헐뜯을 산 《說文》 𧩂也。从言山聲。
譏 나무랄 기 《說文》 誹也。从言幾聲。
誣 무고할 무 《說文》 加也。从言巫聲。
o 더하거나 보태어 없지만 있다고 하다(以無爲有也).
o 무고하다(make false accusation).
《玉篇》 欺罔也。
《옥편》 기망야。
《廣韻》 誣,枉也。
《광운》 무,왕야。
《正韻》 詐也,衊也,謗也。
《정운》 사야,멸야,방야。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巫 무당 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诬는 간체자이다.
誹 헐뜯을 비 《說文》 謗也。从言非聲。
o 헐뜯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非 아닐 비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诽는 간체자이다.
謗 헐뜯을 방 《說文》 毀也。从言㫄聲。
o 헐뜯다(slander, libel).
《廣雅》 惡也。
《광아》 악야。
《玉篇》 誹也,對也。
《옥편》 비야,대야。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㫄 곁 방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谤는 간체자이다.
譸 저주할 주 《說文》 詶也。从言壽聲。讀若醻。《周書》曰 : 無或譸張為幻。
o 저주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壽 목숨 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醻 갚을 수와 같게 발음한다.
o 《주서》에서 이르기를 무혹주장위환(無或譸張為幻)이라 한다.
o 诪는 간체자이다.
詶 저주할 주, 대답할 수 《說文》 譸也。从言州聲。
o 저주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州 고을 주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呪 저주할 주는 같은 의미이다.
詛 저주할 저, 저주할 조 《說文》 詶也。从言且聲。
o 저주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且 또 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謯 저주할 저, 저주할 조는 같은 글자이다.
o 诅는 간체자이다.
䛆 빌 주, 저주할 주 《說文》 詶也。从言由聲。
o 저주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由 말미암을 유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呪 저주할 주는 같은 의미이다.
誃 헤어질 치, 협문 이, 속일 타 《說文》 離別也。从言多聲。讀若《論語》跢予之足。周景王作洛陽誃臺。
o 헤어지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多 많을 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논어》에 나오는 다여지족(跢予之足)과 같게 발음한다.
o 낙양에 치대(誃臺)을 만든 사람은 주(周)나라 경왕(景王)이라고 한다.
o 詑 속일 타 䛂 협문 이, 헤어질 치, 속일 타 謻 협문 이, 헤어질 치는 같은 글자이다.
o 협문(夾門)은 대문이나 정문 옆에 있는 작은 문을 가리킨다.
誖 어지러울 패 《說文》 亂也。从言孛聲。
o 어지럽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孛 살별 패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䜌 어지러울 련(연), 어지러울 란(난) 《說文》 亂也。一曰治也。一曰不絕也。从言、絲。
o 어지럽다.
o 일설은 다스리다는 의미를 가지는 治 다스릴 치와 같은 글자라고 본다.
o 일설은 말이 끊어지지 않다는 의미라고 본다.
o 言 말씀 언, 絲 실 사를 따른다.
o 회의문자이다.
o 실이 풀리는 모양과 같이 말이 끊어지지 않고 게속된다( continuous)는 의미이다.
o 䜌는 糸言糸, 즉 糸 가는 실 명과 言 말씀 언, 糸 가는 실 멱으로 구성된다.
誤 그르칠 오, 그릇할 오 《說文》 謬也。从言吳聲。
o 그르치다(mistake).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吳 성씨 오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误는 간체자이다.
詿 그르칠 괘 《說文》 誤也。从言圭聲。
誒 탄식할 희 《說文》 可惡之辭。从言矣聲。一曰誒然。《春秋傳》曰 : 誒誒出出。
譆 감탄할 희 《說文》 痛也。从言喜聲。
詯 말소리 우렁찰 회 《說文》 膽气滿聲在人上。从言自聲。讀若反目相睞。
謧 말 수다할 리(이) 《說文》 謧詍,多言也。从言离聲。
詍 수다스러울 예 《說文》 多言也。从言世聲。《詩》曰 : 無然詍詍。
訾 헐뜯을 자 《說文》 不思稱意也。从言此聲。《詩》曰 : 翕翕訿訿。
䛬 빌 도 《說文》 往來言也。一曰小兒未能正言也。一曰祝也。从言匋聲。
𧧛 휘철휘청할 염 《說文》 𧧛𧧛,多語也。从言冄聲。樂浪有𧧛邯縣。
䜚 다그쳐 말할 답 《說文》 語相反䜚也。从言遝聲。
誻 망령되게 말할 답 《說文》 䜚誻也。从言沓聲。
詽 다투는 소리 현, 나무라는 모양 천, 말다툼할 안 《說文》 諍語詽詽也。从言幵聲。
讗 장담할 획 《說文》 言壯㒵。一曰數相怒也。从言巂聲。讀若畫。
訇 큰소리 굉 《說文》 騃言聲。从言,勻省聲。漢中西城有訇鄉。又讀若玄。
諞 말 교묘히 할 편 《說文》 便巧言也。从言扁聲。《周書》曰 : 𢧵𢧵善諞言。《論語》曰 : 友諞佞。
𧭹 짝 빈 《說文》 匹也。从言頻聲。
𧥣 칠 구 《說文》 扣也。如求婦先𧥣叕之。从言从口,口亦聲。
誽 떠볼 나 《說文》 言相誽司也。从言兒聲。
誂 꾈 조 《說文》 相呼誘也。从言兆聲。
譄 더할 증 《說文》 加也。从言,从曾聲。
詄 잊을 질 《說文》 忘也。从言失聲。
諅 꺼릴 기 《說文》 忌也。从言其聲。《周書》曰 : 上不諅于凶德。
譀 허탈할 함 《說文》 誕也。从言敢聲。
誇 자랑할 과 《說文》 譀也。从言夸聲。
誕 낳을 탄, 거짓 탄 《說文》 詞誕也。从言延聲。
䜕 허풍칠 매, 다투며 화낼 해 《說文》 譀也。从言萬聲。
謔 희롱거릴 학 《說文》 戲也。从言虐聲。《詩》曰 : 善戲謔兮。
詪 시끄럽게 다툴 현 《說文》 眼戾也。从言𥃩聲。
訌 무너질 홍 《說文》 䜋也。从言工聲。《詩》曰 : 蟊賊內訌。
䜋 그칠 회 《說文》 中止也。从言貴聲。《司馬法》曰 : 師多則人䜋。䜋,止也。
𧬨 소리 홰 《說文》 聲也。从言歲聲。《詩》曰 : 有𧬨其聲。
諣 게으를 과, 빠르게 말할 화 《說文》 疾言也。从言咼聲。
𧮓 시끄러울 퇴 《說文》 譟也。从言魋聲。
譟 시끄러울 조 《說文》 擾也。从言喿聲。
訆 부르짖을 규 《說文》 大呼也。从言丩聲。《春秋傳》曰 : 或訆于宋大廟。
諕 속일 하, 부르짖을 효, 깜짝 놀랄 획 《說文》 號也。从言从虎。
讙 시끄러울 환 《說文》 譁也。从言雚聲。
譁 시끄러울 화 《說文》 讙也。从言華聲。
謣 망령되이 말할 우 《說文》 妄言也。从言雩聲。
譌 거짓말 와 《說文》 譌言也。从言為聲。《詩》曰 : 民之譌言。
謬 그릇될 류(유) 《說文》 狂者之妄言也。从言翏聲。
o 미친 사람의 망언, 즉 이치에 맞지 않고 허황된 말을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翏 높이 날 류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谬는 간체자이다.
詤 잠꼬대 황 《說文》 夢言也。从言巟聲。
謈 하소연할 포 《說文》 大呼自勉也。从言,暴省聲。
訬 재빠를 초 《說文》 訬,擾也。一曰訬,獪。从言少聲。讀若毚。
諆 속일 기 《說文》 欺也。从言其聲。
譎 속일 휼 《說文》 權詐也。益、梁曰謬欺,天下曰譎。从言矞聲。
詐 속일 사 《說文》 欺也。从言乍聲。
訏 클 우, 시끄러울 호 《說文》 詭譌也。从言于聲。一曰訏,𧪰。齊、楚謂信曰訏。
𧪘 탄식할 차 《說文》 咨也。一曰痛惜也。从言差聲。
讋 두려워할 섭 《說文》 失气言。一曰不止也。从言,龖省聲。傅毅讀若慴。
謵 익힐 습 《說文》 言謵讋也。从言習聲。
䛩 서로 헐뜯을 오 《說文》 相毀也。从言亞聲。一曰畏亞。
䜐 서로 헐뜯을 수, 포갤 휴 《說文》 相毀也。从言,隨省聲。
𧮑 잔말할 답 《說文》 嗑也。从言闒聲。
詾 송사할 흉 《說文》 說也。从言匈聲。
訟 송사할 송 《說文》 爭也。从言公聲。曰 : 謌訟。
謓 성낼 진 《說文》 恚也。从言眞聲。賈侍中說 : 謓,笑。一曰讀若振。
讘 속삭일 섭 《說文》 多言也。从言聶聲。河東有狐讘縣。
訶 꾸짖을 가 《說文》 大言而怒也。从言可聲。
𧧰 들추어낼 기 《說文》 訐也。从言臣聲。讀若指。
訐 들추어낼 알, 거리낌 없이 말할 계 《說文》 面相厈罪,相告訐也。从言干聲。
訴 호소할 소, 헐뜯을 척 《說文》 告也。从言,厈省聲。《論語》曰 : 訴子路於季孫。
譖 참소할 참 《說文》 愬也。从言朁聲。
讒 참소할 참 《說文》 譖也。从言毚聲。
譴 꾸짖을 견 《說文》 謫問也。从言遣聲。
謫 귀양 갈 적 《說文》 罰也。从言啻聲。
諯 서로 사양할 전 《說文》 數也。一曰相讓也。从言耑聲。讀若專。
讓 사양할 양 《說文》 相責讓。从言襄聲。
譙 꾸짖을 초 《說文》 嬈譊也。从言焦聲。讀若嚼。
𧧒 자주 나무랄 자 《說文》 數諫也。从言朿聲。
誶 욕할 수 《說文》 讓也。从言卒聲。《國語》曰 : 誶申胥。
詰 물을 힐, 꾸짖을 힐 《說文》 問也。从言吉聲。
𧫢 서로 책망할 망 《說文》 責望也。从言望聲。
詭 속일 궤 《說文》 責也。从言危聲。
證 증거 증 《說文》 告也。从言登聲。
詘 굽힐 굴 《說文》 詰詘也。一曰屈襞。从言出聲。
𧧁 위로할 원, 위안할 원 《說文》 尉也。从言夗聲。
詗 염탐할 형 《說文》 知處告言之。从言冋聲。
讂 구할 현 《說文》 流言也。从言夐聲。
詆 꾸짖을 저 《說文》 苛也。一曰訶也。从言氐聲。
誰 누구 수 《說文》 何也。从言隹聲。
諽(경계할 격) 《說文》 飾也。一曰更也。从言革聲。讀若戒。
讕 헐뜯을 란(난) 《說文》 怟讕也。从言闌聲。
診 볼 진, 진찰할 진 《說文》 視也。从言㐱聲。
𧪷 슬퍼하는 소리 서 《說文》 悲聲也。从言,斯省聲。
訧 허물 우 《說文》 罪也。从言尤聲。《周書》曰 : 報以庶訧。
誅 벨 주 《說文》 討也。从言朱聲。
討 칠 토 《說文》 治也。从言从寸。
諳 욀 암 《說文》 悉也。从言音聲。
讄 뇌사 뢰(뇌) 《說文》 禱也。累功德以求福。《論語》云 : 讄曰 : 禱尔于上下神祇。从言,纍省聲。
諡 시호 시 《說文》 行之迹也。从言、兮、皿。闕。
誄 뇌사 뢰(뇌) 《說文》 諡也。从言耒聲。
謑 창피 줄 혜 《說文》 恥也。从言奚聲。
詬 꾸짖을 후 《說文》 謑詬,恥也。从言后聲。
諜 염탐할 첩 《說文》 軍中反閒也。从言枼聲。
該 갖출 해, 마땅 해 《說文》 軍中約也。从言亥聲。讀若心中滿該。
譯 변역할 역 《說文》 傳譯四夷之言者。从言睪聲。
訄 급할 구 《說文》 迫也。从言九聲。讀若求。
謚 웃을 익, 시호 시 《說文》 笑皃。从言益聲。
譶 말이 유창할 답, 지껄일 집 《說文》 疾言也。从三言。讀若沓。
詢 물을 순 《說文》 謀也。从言旬聲。
讜 곧은 말 당 《說文》 直言也。从言黨聲。
譜 계보 보 《說文》 籍録也。从言普聲。《史記》从並。
o 연보(年谱) 혹은 가보(家谱), 식보(食谱), 채보(菜谱) 따위와 같이 어떤 일이나 사물에 관하여 과거로부터 서로 연관되어 내려오는 핵심적인 내용을 차례대로 적은 도서를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普 두루 보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사기》(史記)에서는 並 아우를 병을 따른다고 본다.
o 谱는 간체자이다.
詎 어찌 거 《說文》 詎犹豈也。从言巨聲。
o 詎 어찌 거는 犹 오히려 유, 豈 어찌 개와 같은 의미이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巨 클 거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𧩮 작을 소 《說文》 小也。誘也。从言叜聲。《禮記》曰 : 足以𧩮聞。
謎 수수께끼 미 《說文》 隱語也。从言、迷,迷亦聲。
o 은어(隱語)를 가리킨다.
o 言 말씀 언, 迷 미혹할 미를 따른다.
o 迷 미혹할 미는 또한 성부이다.
o 회의문자이고, 형성문자이다.
o 詸 수수께끼 미는 같은 글자이다.
o 谜는 간체자이다.
誌 기록할 지 《說文》 記誌也。从言志聲。
o 기록하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志 뜻 지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訣 이별할 결, 결정할 계 《說文》 訣别也。一曰法也。从言,決省聲。
o 결별하다.
o 일설은 法 법 법을 가리킨다고 본다.
o 言 말씀 언을 따르고, 決 결단할 결의 생략형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言(말씀언)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
計 꾀 계 訂 바로잡을 정 記 기록할 기 討 칠 토 訓 가르칠 훈 訪 찾을 방 設 베풀 설 訟 송사할 송 許 허락할 허 詐 속일 사 詞 말씀 사 訴 하소연 할 소 詠 읊을 영 評 꼲을 평 誇 자랑할 과 詳 자세할 상 詩 시 시 試 시험할 시 該 그 해 話 말할 화 誦 욀 송 說 말씀 설, 기쁠 열, 달랠 세, 벗을 탈 誠 정성 성 語 말씀 어 誤 그릇할 오 誘 꾈 유 訇 큰소리 굉 訃 부고 부 訄 급할 구 認 알 인 誌 기록할 지 課 매길 과 談 말씀 담 訕 헐뜯을 산 詵 많을 선 諒 믿을 량(양) 論 말할 론(논) 誰 누구 수 調 고를 조 請 청할 청 諾 대답할 낙 謀 꾀할 모 謁 아뢸 알 謂 이를 위 諸 모든 제 講 익힐 강 謙 겸손할 겸 謝 사례할 사 謠 노래 요 謹 삼갈 근 識 알 식 證 증거 증 警 경계할 경 譜 계보 보 議 의논할 의 譽 기릴 예 護 보호할 호 讀 읽을 독 變 변할 변 讓 사양할 양 讚 기릴 찬 訔 논쟁할 은 譍 응할 응
[言(말씀 언)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信 믿을 신 唁 위문할 언 娮 여자의 자 언 𡥪 믿을 신 𢚘 미상 狺 으르렁거릴 은 這 이 저 𤉘 미상 琂 옥돌 언 𤯆 미상 䂴 갈 연, 벼루 연 𨦼 미상 䩧 단단히 묶을 혈
𠟸 미상
悥 가득할 억 㝘 화할 옹 䓂 풀 이름 언 䇾 큰 퉁소 언 𦎍 착할 선 霅 비 올 삽, 번개 칠 잡, 빛날 합
㢇 미상 䴦 짐승 이름 은 擔 멜 담
獄 옥 옥 㯎 어리석을 논 辯 말씀 변, 고를 평, 두루 미칠 편
燮 불꽃 섭 夑 불꽃 섭 爕 불꽃 섭
𣚞 미상
𤅗 미상
圁 물 이름 은
[English] yán
speech
say
talk
speak
words
mean / express
language / dialect
tongue
[疊字] 言誩譶
言 말씀 언
誩 [jìng] 말다툼할 경 《說文》 競言也。从二言。讀若競。quarrel, wrangle
譶 [tà] 유창할 답, 지껄일 집 《說文》 疾言也。从三言。讀若沓。
[관련한자]
言 말씀 언
말하는 사람으로부터 직접 발언된 말을 가리킨다.
語 말씀 어
다른 사람의 말에 대하여 답하는 말 혹은 서로 대화하며 나눈 말을 가리킨다.
謂 이를 위
말한 사람을 끌어들여 ‘...라고 한다’고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曰 가로 왈
말한 내용을 인용할 때에 사용한다.
[成語]
《詩經 小雅 桑扈之什 賓之初筵》 匪言勿言 匪由勿語。
《시경 소아 상호지십 빈지초연》 비언물언 비유물어。
하지 말아야 할 말은 하지 말고, 근거가 없는 말도 하지 말라.
Do not speak what you ought not to speak; do not say what you have no occasion to say.
《論語 子張》 子貢曰 : 君子一言以為知,一言以為不知,言不可不慎也。
《논어 자장》 자공왈 : 군자일언이위지,일언이위부지,언불가불신야。
군자는 한 마디 말로 지혜롭게도 하고, 또한 한 마디 말로 지혜롭지 않게도 하므로, 말을 조심하지 않을 수 없다.
Zigong said: "The superior person, by one word, is taken as wise, by one word is taken as unwise; one cannot afford to be careless with words.
君子言出如山(군자언출여산)
군자가 한 말은 산과 같다.
한번 한 말에 대하여는 신용을 지켜야 하므로, 함부로 바꾸어서는 안 된다.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과 같은 의미이다.
A gentleman must keep his promises.
良言一句三冬暖, 惡語傷人六月寒(양언일구삼동난, 악어상인육월한)。
한 마디의 좋은 말은 한겨울도 따뜻하게 하고, 암담을 하여 상처를 주면 한여름도 춥게 느껴진다.
言出必行(언출필행)
한번 한 말은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言者無罪 聞者足械(언자무죄 문자족계) [yán zhě wú zuì, wén zhě zú jiè]
말하는 사람은 죄가 없고, 듣는 사람은 경계로 삼으면 족하다.
《詩經 周南 關雎序》 言之者無罪,聞之者足以戒。
《시경 주남 관저서》 언지자무죄,문지자족이계。
酒後吐眞言(주후토진언)
술을 마신 후에 본심을 드러내기 쉽다.
술자리에서는 말을 조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