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 工 장인 공
《說文》 巧飾也。象人有規榘也。與巫同意。
o 정교한 장식을 가리킨다.
o 사람이 원과 네모 등을 그릴 때 쓰는 규구(規榘 일종의 자 carpenter's square)를 가지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o 나무나 쇠로 만든 ‘T’와 같은 모양으로 굽은 자, 즉 곱자(曲尺)를 상형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o 巫 무당 무와 같은 의미이다.
o ⼯은 一丄, 즉 一 한 일과 丄 위 상으로 구성된다.
o ⼯은 丅一, 즉 丅 아래 하와 一 한 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o 㠪 장인 공, 㣉 장인 공은 같은 글자이다.
o 부수명칭은 「장인공」이다.
o 부수명칭을 일본에서는 こう(工), たくみ(工), たくみへん(工偏)이라 하고, 영어로는 radical work라 한다.
[工部]
式 법 식, 악할 특 《說文》 法也。从工弋聲。
o 법(law, moral standard)을 가리킨다.
o 工 장인 공을 따르고, 弋 주살 익은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o 弌 한 일 弐 두 이 弎 셋 삼은 혼동하기 쉬운 유사한자이다.
巧 공교할 교, 아름다울 교 《說文》 技也。从工丂聲。
o 기술이나 솜씨를 매우 재간 있게 부리다.
o 工 장인 공을 따르고, 丂 공교할 교는 성부이다.
o 형성문자이다.
巨 클 거, 어찌 거 《說文》 規巨也。从工,象手持之。
o 곱자(carpenter’s rule)를 가리킨다.
o 설문해자는 工 장인 공을 따르고, 손으로 곱자를 들고 있다고 본다.
o 사람이 곱자를 들고 있는 모양을 상형하기도 한다.
o 矩 곱자 구의 본자(本字)로 본다.
o 현재는 주로 巨 클 거(great, huge, enormous)로 사용된다.
《小尔雅》 巨,大也。
《소이아》 거,대야。
o 巨 어찌 거(Does it mean…? Shouldn't it be…?)로도 쓰고, 詎 어찌 거와 같은 글자이다.
o 㠪 클 거, 어찌 거 鉅 클 거, 어찌 거는 같은 글자이다.
[工(장인공)이 부수로 사용되는 한자]
巨 클 거 巧 공교할 교 左 왼 좌 巪 사람 이름 걱 巫 무당 무 差 어긋날 차
[工(장인 공)이 자부로 들어간 글자]
仜 배 클 홍 冮 성씨 강 叿 떠들썩할 홍 𡉎 미상 妅 여자의 자 홍 屸 산 이름 홍 𢓁 미상 扛 마주 들 강 江 강 강 杠 막대기 강, 땅 이름 공 灴 화톳불 홍 玒 옥 이름 강, 옥 이름 공 肛 항문 항, 항문 홍 矼 징검다리 강, 성실할 공 䉺 묵은 쌀 홍 紅(红) 붉을 홍, 상복 공 缸 항아리 항 舡 배 강, 배 선 虹 무지개 홍, 어지러울 항, 고을 이름 공 訌(讧) 어지러울 홍 䜫 깊은 골짜기 홍, 골짜기 이름 강 豇 광저기 강 䞑 살갗이 벌겋게 곪을 홍 釭 살촉 공, 등잔 강 䪦 큰소리 홍 魟 홍어 홍, 뱅어 공
㓛 공 공 㓚 낫 공 功 공 공 卭 수고할 공, 언덕 공 㣉 장인 공 邛 수고할 공, 언덕 공 攻 칠 공 瓨 항아리 강 項(项) 항목 항 䲨 기러기 홍, 원기 홍
䫹 바람 소리 홍
汞 수은 홍 𦏺 나는 소리 홍, 날아올 공 貢(贡) 바칠 공 𣒳 미상
仝 한가지 동 㒰 완전할 전 㞬 가까울 근 杢 목수 목 巠 물줄기 경 空 빌 공 笁 나라 이름 축, 두터울 독
匞 장인 장
式 법 식
疘 탈항증 공, 항문 항
噐 그릇 기
𠵋 미상 𡥴 미상 𦁻 미상 𠽇 미상 𡐘 미상 𢝘 미상 揑 모을 열, 꾸밀 날 湼 개흙 열(녈), 개흙 날 䛼 헐뜯을 훼, 성낼 녈(열)
毁 헐 훼
恐 두려울 공
𦅛 미상
滘 땅 이름 교, 땅 이름 규
壽 목숨 수 尋 찾을 심 㝷 찾을 심
[English] gōng
labour, work 工作 [gōngzuò]
laborer, worker 工人 [gōngrén]
industry, profession, trade
time used in doing a piece of work
engineering or building project
fine
delicate
be good at, be skilled in
[疊字] 工㠭
工 장인 공
㠭 펼 전, 정교할 전
[成語]
□ 士農工商(사농공상) [shì nóng gōng shāng]
선비(士), 농부(農夫), 공인(工匠), 상인(商人)과 같이 직업을 기준으로 신분을 네 가지로 구분한 계급
the four occupations of ancient Korea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merchants
□ 異曲同工(이곡동공) [yì qǔ tóng gōng]
곡은 달라도 교묘한 솜씨는 같다.
서로 다른 사람의 서로 다른 문장이나 언변, 노래, 회화 등이지만 한결같이 훌륭하다.
different approaches but equally satisfactory results
韩愈(唐) 《进学解》 子云相如,同工异曲。
한유(당) 《진학해》 자운상여,동공이곡。